[SIDEX 2020] 임플란트, 어렵나요? SIDEX에서 총정리하세요!

2020.05.29 11:31:26 제874호

김남윤·김도영·김성균·권용대·김선종 ‘SIDEX 2020 Consensus’
6월 7일 오후 2시 / 오디토리움(3층)


[치과신문_김인혜 기자 kih@sda.or.kr] 학술대회 둘째 날 GBR 등 임플란트 수술에 대해 총정리하는 ‘SIDEX 2020 Consensus’를 만나볼 수 있을 전망이다.

 

‘SIDEX 2020 Consensus’는 서울시치과의사회 학술위원회(위원장 권민수)가 올해 새롭게 기획한 강연프로그램 중 하나로 개최 전부터 남다른 기대를 받고 있다. 특히 구강악안면외과, 치주, 보철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인정받고 있는 저명 연자들이 대출동할 예정으로 더욱 관심을 모은다.


김남윤 원장(김남윤치주과치과), 김도영 원장(김&전치과), 김성균 교수(서울치대), 권용대 교수(경희치대), 김선종 교수(이대서울병원)가 연자로 나서며 ‘성공적 임플란트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주제로 각자의 노하우와 임상 팁을 전할 예정이다.


먼저 김남윤 원장은 발치즉시 임플란트 식립의 A to Z를 파헤쳐보는 시간을 갖는다. 김남윤 원장은 “임플란트 치료가 많이 보급되며 치료 기간을 줄이려는 임상의들의 노력이 꾸준히 이어져왔다. 그중 하나가 발치 즉시 식립”이라며 “발치 즉시 식립은 발치와의 치유를 기다리는 시간을 줄이고 발치와의 빠른 치유능력을 이용하는 한편, 임플란트 식립의 이상적인 위치를 발치와가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초기 고정을 얻기가 수월하지 않고, 발치와 주변 치조골의 흡수량을 예측하기 힘들며 연조직 피판의 일차 유합이 힘든 것이 단점이지만, 현재는 발치와 골이식술이나 치조제 보존술이 필요한 임상증례가 아니면 임상에서 거의 대부분 발치 즉시 임플란트 식립을 시행하고 있다”면서 “발치 즉시 임플란트 식립에 대해 다루는 이번 강의에서는 부위별 드릴링 프로토콜과 술후 합병증 등에 대해서도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도영 원장은 임플란트 주위염의 효과적인 처치법에 대해 전한다. 김 원장은 임플란트 주위질환을 치은염에 해당하는 ‘임플란트 주위점막염’과 치주염에 해당하는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구분한 후, 임플란트 주위질환을 조기 발견해 진행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그는 “임플란트의 표면은 나사선을 갖고 있으므로 치근활택술을 이용한 임플란트 표면 세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임플란트 주위염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전신적인 항생제 요법, 국소적 약물전달, 치은연한 세척법, 레이저 치료, 광역학요법 등 다양한 부가적인 처치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성균 교수는 임플란트 로딩과 수복에 관한 치과보철학적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다. 김성균 교수는 “임플란트 치료는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고려할 사항이 많다. 이에 치과의사는 각각의 사항에 따라 제반되는 지식을 갖고 치료에 임해야 할 것”이라며 “그간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이번 강연에서는 기능력의 부하와 보철 임상적 차이에 따른 포괄적인 정리를 시도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Critical pathway for sinus floor elevation; 첫 만남에서 임플란트 식립까지’를 주제로 강연을 펼칠 권용대 교수는 “상악구치부 수복을 위한 치료옵션에서 상악동골이식술은 vital option으로 잘 자리잡았다. 특히 crestal approach에 대한 다양한 개발이 이어지면서 이에 대한 indication은 점차 넓어지는 추세”라며 “다양한 기술이나 기구들의 개발은 술자를 편하게 했지만 환자가 갖고 있는 시스템 리스크는 아직 별개다. 환자의 기본적인 평가와 치유과정 예측은 환자와의 첫 만남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며 결과의 책임은 치과의사에게 있다. 따라서 patient screening은 전신적, 국소적인 측면 모두에서 시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Systemic risk에 대한 screening △Local risk에 대한 screening △접근 방법의 선택과 수술기법 등을 차례로 다룰 예정이다.


마지막 대미는 김선종 교수가 장식한다. 그는 약물관련 턱뼈괴사 및 상악동 골이식 합병증의 단계별 치료원칙 등에 대해 전한다. 김선종 교수는 “임플란트 상담 시 노인 환자들의 약물 복용과 관련한 내과적 문제, 약물관련 골괴사증(MRONJ)의 가능성과 치료법에 대해 늘 고민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내외에서 MRONJ 진단 및 치료, 그리고 예방에 관련된 지침서가 발표되고 있다. 최근 MRONJ에 대한 치료는 골재생 치료의학 등을 이용한 치유 유도를 통해 성공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면서 "이번 강연에서는 상악동 골이식술 후 발생한 상악동염의 단계별 치료원칙 요약 및 하악골·상악동과 연관된 MRONJ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이비인후과, 내분비내과 등 타과 협진과 L-PRF, rh-BMP,rh-PTH를 적용한 치료 증례, 후향적 임상연구 등을 기반으로 Clinical Recommendation을 제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인혜 기자 kih@sda.or.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