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 지혜의 치아

2021.11.26 16:14:57 2021FW

글 / 박상은 편집위원

 

‘이사금’ 이라는 왕호는 신라 유리왕대부터 사랑니를 뜻하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이사금’이란 ‘치리(齒理)’라는 뜻이라고 밝히고 있다. 서양문화에서도 사랑니를 ‘wisdom tooth’라고 명명한 것을 보면, 사랑니를 지혜의 상징이라고 여긴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였다고 볼 수 있다.

 

사람에게는 보통 32개(28개+사랑니 4개)의 치아가 있다. 과거 신라시대 초기에는 치아의 개수로 임금을 결정하였는데, 이는 치아의 개수가 많을수록 연장자라고 믿었던 탓이며, 연장자는 성스럽고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믿음은 1,500여년이 지난 지금에 이르러서는 정반대로 바뀌었다. 사랑니는 통증을 유발하는 거추장스러운 존재일 뿐이며, 치아교정을 위해 사랑니를 먼저 뽑기도 한다. 과거 지혜의 상징에서 현재는 천덕꾸러기 신세로 전락한 것이다.

 

이렇게 된 원인을 설명하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지만, 가장 유력한 것은 식습관의 변화 때문이라고 보는 학설이다. ‘불’을 다루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생식보다는 화식(火食) 위주로 음식이 바뀌고, 음식 자체가 예전보다 부드러워지면서 진화론적으로 치아와 턱이 예전처럼 발달하지 못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치아와 턱을 많이 쓸 일이 사라지면서 턱도 작아지고 치아의 개수도 예전처럼 많을 필요가 없어졌다는 설이다.

 

실제로 우리나라 정부에서 발행하는 표준성장곡선 등을 분석해보면, 식문화가 서구화되기 시작하면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평균 키나 체형이 서구화되고 있고, 육류 섭취가 늘어나면서 성인들의 암 발병 부위나 종류가 서양과 비슷한 추세로 닮아가고 있다. 얼굴형도 둥글넓적한 형태에서 달걀형의 갸름한 형태로 변모하고 있어, 음식문화와 얼굴 및 턱뼈의 발달 정도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겠다.

 

그렇다면, 과연 사랑니는 꼭 뽑아야 하는 것인가?

뽑아야 한다면 언제 뽑아야 하는 것인가?

위쪽 사랑니는 크게 문제되는 경우가 많지 않다. 아무래도 제일 안쪽 깊숙이 위치한 치아라서 양치가 쉽지 않기 때문에 충치가 생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 충치가 심해져 통증 때문에 뽑게 되는 경우가 대다수다. 또 충치는 없어도 사랑니가 올바로 나오지 못하고, 볼 쪽의 잇몸이나 아래턱 쪽 잇몸을 찍어누르는 방향으로 독특하게 나온 경우, 잇몸이 손상되어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 어쩔 수 없이 발치를 하는 수밖에 없다. 간혹 사랑니가 똑바로 잘 나온 상태고, 충치도 없이 잘 유지 관리되고 있다면 꼭 발치할 필요는 없다.

 

 

문제는 아래쪽 사랑니이다. 아래턱에 사랑니가 날 공간이 부족해지면서 사랑니가 옆으로 누워있거나, 똑바로 나오지 못하고 경사져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사랑니 앞쪽의 큰 어금니와의 사이에 있는 미세한 공간에 음식물이 잘 낄 수밖에 없는데, 이렇게 음식물이 끼면서 모든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음식물이 낀 자리에 아래쪽 사랑니와 그 앞의 어금니가 같이 썩는 일이 많고, 사랑니 쪽 잇몸이 붓는 경우도 생긴다. 이렇게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가급적이면 사랑니를 뽑는 것이 좋다. 가끔 이런 통증을 약으로 버티다가, 갑자기 사랑니 쪽 얼굴이 많이 부어서 일요일에 급하게 내원하는 환자도 종종 볼 수 있다.

 

 

아래쪽 사랑니 통증의 또 다른 특징 중의 하나는 1~2주 아프다가 스스로 괜찮아지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통증이 잊을만하면 생기는 경우로, 길게는 수년, 짧게는 몇 개월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반복되기도 한다. 이는 매복된 사랑니가 주기적으로 움직이면서 유발하는 통증인 경우가 많은데, 과연 이 사랑니를 꼭 뽑아야 할지는 가까운 치과에서 정확한 원인과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