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장면 한 그릇

2022.03.24 13:47:49 제960호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557)

80년대 말 ‘우동 한 그릇’이란 일본 단편소설이 유명했다. 매년 마지막 날에 소바를 먹는 풍습이 있는 일본에서, 어느 우동가게에 영업 종료 전 초라한 행색의 엄마가 어린 두 아들을 데리고 들어와 미안한 기색으로 소바 한 그릇만 주문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가난한 엄마는 돈이 부족하여 한 그릇으로 세 명이 나눠 먹으려 했고, 주인장은 모르는 척하고 국수를 더 많이 넣어주고 해마다 그들 세 모자를 위해 자리를 비워두었다. 나중에 성장한 아들들이 성공해 국수 가게를 찾아오는 것으로 마무리되는 내용으로, 당시 실화를 바탕으로 해 큰 감동을 준 소설이었다. 그 후 실화가 아니라는 후문과 작가의 사기 행각 등으로 일본에서는 퇴색된 소설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아동 추천 도서에 실리곤 한다.

 

며칠 전, 여대생으로 보이는 고객이 자장면이 배달되지 않았다고 주장해 경찰이 출동했다는 기사가 있었다. 고객은 못 받았다고 주장하고 배달라이더는 문 앞에 전달했다고 말하며 서로 이해가 충돌했다. 라이더는 억울한 마음에 동네 쓰레기통을 모두 뒤졌고, 자신이 배달한 자장면을 고객이 먹고 버린 흔적을 발견하고는 경찰에 신고했다. 과학수사팀까지 동원됐고 결국 고객은 배달이 늦게 와서 홧김에 거짓말을 했다고 진술했다. 라이더가 일하지 못한 시간을 배상하는 것으로 9만원을 주고 합의했다.

 

기사를 읽는 동안 가슴이 먹먹했다. 이는 ‘우동 한 그릇’에서 느끼는 감동과 정반대되는 먹먹함이다. 어쩌다 우리 사회가 이 지경까지 이르렀나 하는 참담함이다. 이 사건은 여중생이 아이를 낳고 유기하는 것과는 또 다른 문제다. 청소년이 출산하고 아기를 유기하는 것은 두려움 때문이라면, 이 사건은 기다리면서 화가 난 것을 타인에게 화풀이한 것이다. 가해자는 그저 골탕 정도의 장난이며, 자신을 화나게 했으니 피해자는 그 정도는 당해도 된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물론 그녀 행동이 지금 20대 여성을 대표하는 모습은 아니다. 하나의 특수한 상황을 전체적으로 일반화시키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란 것을 필자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과거 20년 전이었다면 발생하기 어려운 사건이기 때문이다.

 

예전엔 10~20대 여성이 가장 싫어하는 것 중 하나가 아줌마들의 ‘창피함을 모르는 행동’이었다. 약간의 이익을 위해 창피함을 감수하는 아줌마들의 행동을 젊은 여성들이 가장 싫어했다. 그런데 지금 자장면을 먹고도 못 받았다고 우기는 그녀 행동에는 그런 ‘창피함’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창피함이란 부끄러움과 함께 가장 기본적인 내면의 느낌이며 양식이다. 통상 양심에서 부끄러움이 나오고 수치심에서 창피함이 나온다고 말하지만 정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감정이다.

 

후안무치(厚顔無恥)는 얼굴이 두꺼워서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고사성어다. 여기서 恥는 마음이 부끄러우면 귀가 빨개지는 것을 형상화한 것으로 부끄러움과 창피함을 모두 담고 있다. 비록 한 명일지라도 20대 여성이 ‘창피함’을 잃어버린 것은 생각할 여지가 많다. 여성을 특별히 강조해 비하하는 것이 아니고, 여성이 남성보다 좀 더 감수성과 감정이 예민하기 때문에 ‘창피함’을 느끼는 정도가 남성보다는 섬세하기 때문이다. 남성이 ‘창피함’을 모르는 것은 예전부터 있었기 때문이다.

 

도덕성의 마지막 보루가 무너진 듯한 느낌이다. 단순하게 그녀 개인의 성격 문제로 볼 수도 있으나, 그런 사회가 되어버렸지 않았나 하는 노파심이 생긴다. 매일 뉴스에서 접하는 ‘내로남불’을 어떤 창피함도 없이 행하는 정치인들의 모습이 정서적으로 성숙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학습효과로 나타나 ‘창피함 불감증’을 만들어 낸 것 같은 우려가 있다. 인성교육이 무너진 교단과 교육이란 용어가 사라진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이 보고 듣는 것이 온통 후안무치다 보니 ‘창피함’에 대한 역치가 높아졌을 가능성도 있다. 즉 웬만해선 ‘창피함’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가 된 듯하다. 결국 그녀 한 사람의 문제라기보다는 우리 사회가 지니고 있는 총체적인 문제점이 표출된 한 부분일 수 있다. 우동 한 그릇과 자장면 한 그릇이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