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것과 얻을 수 있는 것

2022.04.28 15:33:41 제965호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562)

젊은 외국인 여성 환자가 한국인 남편과 내원했다. 비영어권이었고 무슨 연유가 있는지 모르지만 남편도 간단한 소통이 어려워 구글 전용 앱으로 대화를 진행했다. 환자는 본국에서 1년 전에 교정치료를 시작했고 한국서 계속 치료받고 싶다고 했다. 일단 구강을 살펴보니 비발치로 진행되었으며, 전치는 배열되었으나 순측 경사되어 오버젯이 있었고, 좌측 구치부에 반대교합이 있었다. 통역이 없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태였으나 겨우 통역앱을 통해 환자가 상악 전치 두 개가 측절치와 같은 위치로 들어가길 원한다는 것을 알았다.

 

필자 경험으로 보면 환자는 골격성 2급형 얼굴에서 비발치로 치료해 입이 돌출돼 보이는 것이 싫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확실한 소통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뭐라고 말하기 어려웠다. 결국 병원 국제통역부 지원을 받기로 하고 통역 예약이 가능한 날짜를 잡고 돌아갔다. 발치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비발치로 진행하면 전치부가 순측 경사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골격성 2급 얼굴에서 입이 돌출돼 보일 수 있는 것도 당연하다. 물론 담당의는 발치와 비발치의 장단점을 설명해주었을 것이고, 선택은 본인이나 부모님이 했을 것이다. 이런 경우에 시간이 지날수록 환자의 만족도는 점점 떨어지고 심지어는 환자와 분쟁이 생기는 경우도 발생한다.

 

입이 들어가는 것과 비발치라는 상반된 두 마리 토끼를 다잡는 것은 모순이다. 통상 비발치는 잡지만 돌출입이 개선되지 않는 토끼는 놓친다. 이런 경우라면 필자는 언제든지 발치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치료를 시작하고 환자가 요구하면 바로 발치를 시행해 분쟁을 차단한다. 하지만 이 외국인 환자는 본인이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필자에게 전달하지 못했다. 필자 또한 그녀에게 해결하여 줄 수 있는 것과 못하는 것을 전달할 수 없었다. 차후에 통역이 동반되어 온다면 필자는 우선 비발치로 인한 치아의 순측 경사를 이해시켜야하고, 본인이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구치부 반대교합을 설명해야하고, 입이 나와 보이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발치가 필요한 것까지 설명해야한다. 그나마 처음 치료계획을 세우고 치료를 시작한 의사가 한국 사람이 아니라서 말하기 좀 편한 것은 다행이다.

 

입이 들어가길 원하면서도 발치하지 않으려는 환자는 종종 있다. 이런 경우에 필자는 “공부하지 않고 놀면서 시험을 잘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뭔가를 얻기 위해서는 다른 뭔가는 포기해야하는 것이 세상 이치가 아닌가요? 시험을 잘 보려면 노는 것을 포기해야하고, 노는 것을 선택하면 시험을 포기하면 됩니다. 둘 다를 얻으려면 두 개 모두 어정쩡해지기 쉽습니다”라고 이야기한다. 안면 비대칭이나 골격성 3급 환자들처럼 뚜렷한 목표를 지닌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 환자는 선택 장애를 호소한다. 골격성 환자들은 소통이 수월하고 이해도가 높다. 환자들 자신이 평생 해결하고 싶었던 것이 있어서 많은 고민과 해결 방법을 모색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조금만 개선하길 원하는 환자는 만족시키기 어렵다. 약간의 변화는 그리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이다. 또 앞에서 언급한 외국인 환자처럼 환자가 인식하는 것과 의사가 인식하는 것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치료 후에 환자가 만족하기 어렵다.

 

치료 후에 환자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인테리어를 하는 것과 같다. 치과 인테리어를 하다보면 미리 계획하고 진행하지만 때때로 색깔이 마음에 안 들거나 동선이 겹치는 등으로 뜯어내고 다시하거나 색을 다시 칠하는 경우도 있고 조명을 바꾸거나 벽을 통째로 없애는 경우도 있다. 인테리어를 해보면 언제나 처음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는다. 20여년 인테리어를 해보고 생긴 노하우는 끝날 때까지 절대로 처음 세운 계획을 바꾸지 않는 것이다. 중간에 계획을 절대로 바꾸지 않기까지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하지만 환자들은 그리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기대치가 높고 높은 만큼 실망도 클 수 있다.

 

환자의 기대치를 현실에 맞게 낮추는 것도 치과의사의 역할이다. 환자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면서 기대치를 낮출 수 있다면 진정한 프로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