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심리학이야기

사람을 믿나요?

URL복사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427)

최근 ‘사람을 믿는가?’라는 설문조사에 60% 이상이 ‘사람을 믿지 않는다’고 답했다. 특히 20~30대에서는 65% 이상이 믿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는 ‘뉴스를 믿는가?’라는 조사에서 ‘가짜뉴스가 많다’고 85%가 답변하고, 사실 확인을 하는 이가 59%라는 결과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이 결과를 그대로 해석해보면 서로가 서로를 믿지 않는 세상에 살고 있는 셈이다. 한마디로 슬픈 사회를 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꿈과 희망을 실현하려 노력해야 하는 20~30대에서 불신이 더 깊다는 것이다. 젊은 그들이 이런 생각을 하도록 만든 기성세대들은 통렬하게 반성해야 한다. 모든 분야에서 자신들의 이권에만 눈이 어두워 젊은이들에게 미래를 제시하지 못한 기성세대와 기득권자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혼탁하게 한 책임을 인식하고 철저하게 반성해야 한다. 옳고 그름을 떠나 그저 싸움만 하는 정치권도, 서로 우위를 선점하려고 치고받는 언론권력도, 사회정의는 고사하고 휘둘리는 검경도, 방향을 잃은 교육계도 모두 반성해야 한다. 서로가 60% 이상 믿지 않는 사회를 어떻게 정상 사회라고 하겠는가. 뉴스 검색에서 필자의 눈에 이 결과가 눈에 띄어 기억해놓고 이 글을 쓰려고 다시 찾으니 검색되지 않는다. 순간 필자에게 언론을 의심하는 마음이 먼저 떠올랐다. 아마도 필자에게도 이미 사회를 인식하는 것이 긍정보다는 부정적인 요소가 더욱 많아진 모양이다.

 

페이스북을 중단하면서 SNS나 매체로부터 멀어진 지 벌써 1년이 넘고 보니 사회 속에서 자연인으로 살 수 있었다. 그동안 내면에 집중할 수 있었고 윤리학, 종교학, 철학 등 많은 인문학을 공부할 수 있어 좋았다. 하지만 사람을 믿지 못하는 사회에 대한 기사를 보고 반성을 해보았다. 필자를 포함한 기성세대들이 무슨 짓을 하였는지를 생각해 보았다. 자식 세대가 살아야 할 세상이 더이상 혼탁하지 않고 믿을 수 있는 사회로 맑아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이 땅의 기성세대들이 해야 할 일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사회가 한 사람의 힘으로 변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한 사람이라도 방향을 제시한다면 최소한 잘못된 길에 대한 반성이나 더 많은 사람의 동참으로 더 이상의 진행은 막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제 방관자에서 다시 사회로 복귀해야 할 것 같다. 페이스북도 하고 SNS도 하고 작지만 작은 목소리라도 기성세대들에게 아님과 잘못되었음을 말하고 통렬히 반성할 것을 주문해야 하겠다. 필자의 생각이 늘 옳은 것은 아닐 것이지만 이젠 옳고 그름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나이의 지혜가 조금은 생겼다.

 

지금 우리에게 미래의 먹거리도 중요하지만 사람에 대한 신뢰도 중요하다. 최소한 사람에 대하여 ‘믿을 수 있다’가 ‘믿을 수 없다’보다는 더 많은 사회에서 살아야 한다. 후손들이 살아야 할 세상을 믿을 수 있는 사회로 만들어 내는 것도 기성세대들의 몫이다. 필자가 아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성세대이니 이제 그들을 만나보려 한다. 그들에게 따져 물어봐야겠다. 60% 이상 믿지 못하는 사회가 되도록 무엇을 했는지, 그리고 기성세대가 사라질 20~30년 뒤에 그들의 자식 세대에게 어떤 사회를 물려주고 싶은지를 물어봐야겠다.

 

이제 이글부터 시작해본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 가운데 기성세대라고 생각하는 분들에게 “후손들이 살아갈 세상을 위해 지금 해 줄 일이 무엇이 있을까요?”, “우리 기성세대들이 무엇을 해야 믿을 수 있는 사회로 변할 수 있을까요?”라고 질문을 던져 본다. 하지만 사회는 늘 그렇듯이 행하는 자는 침묵하고 사익에 밝은 자가 요란하다. 다수는 묵묵히 자신의 일을 수행하고 목소리 큰 소수가 방향을 결정한다. 그 결과가 지금 60% 이상 믿을 수 없는 사회를 만들었다. 아닌 길을 보면 아니라는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

 

‘사람을 믿지 못한다’가 80%를 넘으면 그 사회는 위험한 사회다. 70%에 가까워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멈춰야 한다. 자연인으로 조용히 사는 것이 정말 좋지만, 원하는 바는 아니지만, 사회를 향해 목소리를 내야 할 때인가 보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원달러 환율과 인플레이션

연고점을 경신하는 달러원 환율 원달러 환율(달러원 환율 같은 뜻이다)이 연고점을 연이어 경신하고 있다. 4월 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53.2원이었는데, 글을 쓰고 있는 4월 9일은 장중 1,355원까지 올랐다. 원달러 환율 상승이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천정이 뚫려있는 모양새다. 외환 당국이 방어를 하던 환율 박스권도 돌파된 상황이다. 환율이나 금리 같은 경제지표의 최신 가격을 단순히 지식으로 알고 있는 것과 환율 상승이나 금리 인하의 이유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것과는 천지차이다. 그리고 올바른 해석을 바탕으로 실제 투자에 적용해 수익을 내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매크로 변화의 표면적인 이유를 겉핥기 하거나 뉴스에서 제공되는 뒷북 설명을 뒤따라가기도 바쁜 것이 현실이다. 필자는 2023년 초부터 일관되게 원달러 환율 강세를 대비한 달러화 자산의 중요성에 대해 본 칼럼과 유튜브를 통해 강조해왔다. 그리고 실제로 투자에 적용해 작년 초 미국주식, 미국채, 금, 비트코인 등 원화 약세를 헤징할 수 있는 달러화 표기 자산들을 전체 총자산의 80%까지 늘려 편입했으며, 원달러 환율 상승의 리스크 헤지는 물론 추가적인 수익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