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물 관련 턱뼈괴사증이란 골다공증 및 암환자에게 처방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등 약물을 복용 중인 환자들이 치아 발치, 임플란트 치료 시 골노출 발생 2개월이 지나도 치유가 안 되고 턱뼈가 괴사하는 난치성 질환이다. 그간 발생 기전과 약물의 상호관계가 불명확했던 이 질환의 치료에 대해 김선종 교수가 효과적인 결과를 얻는 치료법을 적용해 눈길을 끈 것.
김선종 교수 연구팀은 이대목동병원을 방문한 약물 관련 악골괴사증 환자 133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이비인후과적 평가 및 협진 △연조직과 경조직의 효과적인 재생 △구강상악동 누공의 폐쇄가 완성돼야 환자가 정상적 식이와 삶의 질을 회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김선종 교수는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주로 처방받는 고령의 환자들과 암환자들은 상악동염이 발생해 괴사가 진행될 경우 구강과 상악동이 개통되는 구강상악동누공으로 큰 고통을 야기하므로 이것의 해결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에 발표한 치료법은 향후 약물 관련 턱뼈괴사증의 치료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돼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은 물론, 난치 질환 분야에서 한국 치의학 연구가 세계를 주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혜 기자 kih@s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