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16년부터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6월 9일 구강보건의 날을 맞아 대한치과의사협회(회장 김철수·이하 치협), 대한치과기공사협회(회장 김양근), 대한치과위생사협회(회장 문경숙), 한국치과기재산업협회(회장 임훈택), 대한구강보건협회(회장 정문환), 대한치과병원협회(회장 허성주), 스마일재단(이사장 김건일) 등 치과계 7개 단체가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이하 복지부)에 구강건강정책관을 포함한 구강보건전담부서 설치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전달했다.
지난 2016년부터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6월 9일 구강보건의 날을 맞아 대한치과의사협회(회장 김철수·이하 치협), 대한치과기공사협회(회장 김양근), 대한치과위생사협회(회장 문경숙), 한국치과기재산업협회(회장 임훈택), 대한구강보건협회(회장 정문환), 대한치과병원협회(회장 허성주), 스마일재단(이사장 김건일) 등 치과계 7개 단체가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이하 복지부)에 구강건강정책관을 포함한 구강보건전담부서 설치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전달했다.
치협 등 7개 치과계 단체는 지난 8일 광화문 교보빌딩에서 개최된 ‘제73회 구강보건의 날 기념식’에서 박능후 장관에서 성명서를 전달하고 구강보건전담부서 설치를 위한 정부의 결단을 촉구했다.
치과계 7개 단체에 따르면 대한민국 보건의료 분야의 한 축인 치과의료 분야는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정부 내 구강보건 업무는 전담부서 없이 공중위생 업무와 함께 처리되고 있다. 특히 정부의 구강보건 업무는 2007년 복지부 내 구강보건팀이 해체된 이후 지속적으로 타 부서와 통폐합 및 명칭 변경을 겪을 정도로 부침이 컸다. 2009년 설치된 구강생활건강과는 올해까지 담당 과장이 10번이나 교체되는 등 구강보건사업과 치과의료 공공성을 후퇴시키는 결과를 초래했고, 의료소외계층의 치과의료 접근성 악화 및 국민 구강건당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치협 등 7개 단체는 “치과의료는 2015년 기준 보건의료서비스 분야 가계지출에서 30%의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고, 2016년도 다빈도 상병 중 2위(치은염 및 치주질환), 6위(치아우식)에 포함되는 등 날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치과산업 분야도 2017년 의료기기 생산품목 상위 15개 중 6개가 포함됐고, 치과의료기기 수출실적도 연평균 20% 증가추세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내고 있지만, 정부의 미비한 지원과 영세성으로 세계시장 진입 및 경쟁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고 토로했다.
때문에 7개 단체는 “구강보건전담부서 설치는 정부 내 여러 부서에 산재돼 있는 치과의료 분야 업무를 통합, 전문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고 사업 확정을 통해 국민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며 “정부는 구강건강이 전신건강의 필수적 구성요소로 국가가 책임져야 할 중요한 보건정책 과제임을 인정하고, 국민의 구강건강 증진에 대한 관심과 치과의료 수요 증대라는 시대적 흐름에 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학주 기자 news@sda.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