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치 후 즉시식립 ‘A to Z’

2018.07.03 15:01:44 제783호

KAOMI, 하계특강에 300여명 참가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회장 구영·이하 KAOMI)가 지난달 25일 서울성모병원에서 개최한 ‘2018 하계특별강연회’가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하계특강은 총 3회에 걸쳐 진행될 ‘임플란트 치료의 조화와 균형’ 시리즈 중 그 첫 번째 시간으로, ‘즉시식립 A to Z’로 진행됐다.

 

이번 강연은 즉시식립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두고 구강악안면외과, 보철과, 치주과 등 서로 다른 관점에서 접근했다. 이에 식립, 보철, 사후유지 과정에 대해 오랜 노하우를 축적한 홍종락 교수, 박휘웅 원장, 김남윤 원장 등 3인의 연자가 서로의 임상과 지식을 공유했다.

 

먼저 홍종락 교수는 ‘즉시식립한 임플란트가 성공하려면?’을 강연했다. 홍 교수에 따르면 즉시식립이 성공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초기고정을 획득하고, 발치창의 외형변화를 고려한 식립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 홍 교수는 “발치 후 즉시식립만으로는 협측골의 수직적·수평적 흡수를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임플란트와 협측골 사이의 공간에 골이식재를 충전하거나 결합조직을 이식 한다”며 “이는 협측골의 흡수를 상당량 감소시킬 수 있고 장기간 심미적 안정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휘웅 원장은 ‘즉시식립한 임플란트 보철은 어떻게?’를 주제로 삼았다. 박 원장은 “즉시식립 술식에서 발치와의 치유와 임플란트 골유착은 동시에 진행되고, 다이나믹한 변화가 일어난다”며 “즉시식립 임플란트의 보철 혹은 부하시기는 치유된 치조제의 경우보다 더 많은 변수를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에 따르면 발치와가 크지 않고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이 양호한 경우는 치유된 치조제와 같은 프로토콜로 보철을 할 수 있지만, 발치와가 크거나 골결손부가 있는 경우나 임플란트의 초기고정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보다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는 “상악 전치부 등 심미영역에서는 연조직과 경조직의 바람직한 치유가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게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즉시식립한 임플란트 오래 쓰려면?’을 주제로 강연한 김남윤 원장은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은 치조제 골결손부의 골치유에 유리하다는 이유로 심미성이 강조되는 전치부 및 일부 소구치 부위에서 주로 시행된다”며 “최근 발치와의 치유에 관한 연구들에 의하면 식립된 임플란트가 치조골의 흡수를 막을 수 없고, 추후 변연골 흡수와 치은퇴축으로 인해 임플란트의 구조물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므로 심미성이 요구되는 부위에서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KAOMI는 이날 하계특강과 함께 우수회원 취득을 위한 구술고시를 시행, 21명의 임상가가 고시에 응시했다.

 

신종학 기자 sjh@sda.or.kr

신종학 기자 sjh@sda.or.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