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진정법과 관련된 환자의 안전’을 대주제로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는 미국치과마취과학회(ADSA) 회장을 역임한 Christine L. Quinn 교수(UCLA대학 치과마취과)가 초청연자로 나서 최신 치과진정법을 소개하는 자리로 눈길을 끌었다.
학술대회 첫날 치과마취과학회와 심폐소생협회가 함께 진행한 기본생명구조술, 치과고급생명구조술 과정은 참가자들로부터 치과진료 시 응급상황 관리를 위한 실질적인 도움이 됐다는 평을 받았다.
아울러 둘째 날은 초청연자 Christine L. Quinn 교수를 비롯해 윤지영, 감명환, 김종빈, 강구현 교수 등이 연자로 나서 각각 △Sedation during Dental Treatment △진정법 시행 전 환자평가 △국소마취제 관련 부작용과 관리 △진정법과 관련된 합병증과 관리 △호흡곤란과 기도관리 등에 대한 강연을 펼쳤다. 특히 이날 감명환 교수는 국소마취제로 인한 합병증에 대해 설명하고 예방법으로 초음파 및 lowest effective dose 사용, injection 전에 aspiration 시행 등을 제시했다.
이어 진정법 관련 합병증을 소개한 김종빈 교수는 “합병증이 많이 일어나는 이유는 사용한 진정제의 용량이 많거나 환자 모니터링 과정의 문제”라며 “진정제에 사용하는 제제의 용량을 줄이고, 예외 없이 모든 안전 수칙을 지키는 한편, 환자에 대한 적절한 모니터링으로 초기에 정확한 대응을 한다면 대부분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인혜 기자 kih@s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