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프로덕트] 덴티움 ‘bright CT’와 ‘Dentium 3D Viewer’

2025.10.23 13:44:58 제1134호

최신 업데이트로 치과 영상 진단 혁신 선도
한 번 촬영으로 고해상 파노라마·세팔로 제공…AI 정밀 분석 지원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현대 치과진료에서 영상 진단은 정확한 치료계획 수립과 성공적인 임상결과 달성의 필수 요소다. 덴티움은 이번 ‘bright CT’ 최신 업데이트를 통해 단 한 번의 CT 촬영으로 고해상도 CBCT, Virtual Panorama, Virtual Cephalo 영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Dentium 3D Viewer’ 업데이트로 첨단 AI 기술을 한층 강화했다. 진단을 넘어 치료영역까지 CT 활용 범위를 확장시켰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FOV 20×20 : 악안면 및 교정 진단까지 가능한 대면적 영상 솔루션

‘bright CT’는 4Tile 디텍터를 추가 적용해 최대 FOV 20×20 대면적 촬영 옵션을 새롭게 지원한다. 이는 단순한 촬영 기능의 확장이 아니라, 디텍터 확장 기술에 따른 영상 선택 범위의 확장성으로, 임상 상황에 따라 소·중·대 FOV를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어 진단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특히 최대 20×20 FOV에서는 악안면 전역을 한 번에 포착할 수 있어, 교정·악교정 수술·풀 아치 임플란트 등 복합 케이스 진단에 최적화됐다. 하나의 촬영으로 안면 비대칭, 상·하악 관계, 기도, TMJ 등 다양한 영역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재촬영 감소와 방사선 노출 최소화, 그리고 정확한 치료 계획 수립으로 이어진다.

 

One Scan Full View : 한 번 촬영으로 다중 고해상도 영상 구현

최신 ‘bright CT’의 핵심 기능인 One Scan Full View는 추가 촬영 없이 단 한 번의 CT 스캔으로 CBCT, Virtual Panorama, Virtual Cephalo 영상 등 여러 형태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동시에 생성한다. CT 영상을 재추출해 만든 영상임에도 실제 촬영 영상과 견줄 만한 선명도와 정확도를 자랑한다. 이는 환자의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의료진이 다양한 각도에서 종합적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다중 촬영에 따른 환자의 피로와 시간 소모를 줄이고, 효율적인 진료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한다.

 

AI Tracing: 교정환자 AI 진단

Virtual Cephalo 영상에서 교정환자 진단에 필요한 해부학적 랜드마크를 AI가 자동 인식하고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기존 수동작업 방식과 달리 AI Tracing은 빠르고 정확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 교정진단 시간을 단축하고 결과의 일관성을 확보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보다 신속한 치료계획 수립과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Create IMW: 제1대구치 CR 기준 상하악궁 폭 및 차이 측정

Create IMW(Intermolar Width) 기능은 클릭 한 번으로 제1대구치의 저항 중심 위치(CR, Center of Resistance)를 기준으로 상악과 하악궁의 폭 및 그 차이를 측정한다. 교정진단 시 필수적인 이 데이터는 치료계획 수립의 정확성을 높이고, 환자의 치열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복잡한 수작업 없이 손쉽게 측정할 수 있어 교정과정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AI Segmentation : 해부학적 구조물 자동 분할

AI Segmentation 기능은 치아, 하치조신경관, 상·하악골, 상악동, 기도 등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을 자동 분할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직관적이고 명확한 영상으로 환자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환자 상담 시에도 시각적 이해를 돕는다. 특히 AI Tooth Segmentation은 개별 치아의 형상과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분할하며, 원하는 치아 번호를 선택하면 해당 치아 중심으로 영상이 자동 정렬돼 진단과 상담의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AI Airway Analysis : 기도 부피 및 최소 단면적 정량 분석

기도 영역을 자동 분할해 부피와 최소 단면적을 정량 분석하는 AI Airway Analysis 기능은 교정과 수면무호흡증 치료 전후 기도 변화를 객관적인 수치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환자 설득력과 치료 신뢰도를 높이고, 치료효과를 직관적으로 확인 및 설명할 수 있어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큰 도움이 된다.

 

 

AI Implant Simulation : AI기반 자동 임플란트 배치

새롭게 업데이트된 AI Implant Simulation 기능은 다수의 결손부에서도 클릭 한 번으로 픽스처와 크라운을 자동 배치한다. AI Segmentation을 통해 상·하악골 구조가 정밀하게 분할돼 자동 배치의 정확도가 한층 향상됐으며, 악궁 라인과 하치조신경관 역시 AI가 자동으로 인식·생성한다.

 

다양한 연령과 성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딥러닝 학습을 통해 높은 정확도와 재현성을 확보했으며, 이를 통해 의료진은 보다 신속하고 예측 가능한 임플란트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AI Occlusal Plane : AI가 제시하는 이상적인 교합 평면과 정중선

AI Occlusal Plane 기능은 환자의 CT 영상에서 ANS-PNS, Orbitale, Mid-suture line 등 주요 해부학적 랜드마크를 자동 탐색하고, 이를 기준으로 이상적인 교합 평면과 정중선을 제공한다. 이로써 CT 촬영만으로 무치악 환자나 전치부 심미 보철 환자 케이스에서도 정밀한 보철 및 교정 치료 기준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진단을 넘어 치료 계획 및 시술 단계까지 CT 활용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Dentium 3D Viewer’는 단순한 진단 도구를 넘어 치료 지원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는 결정적 기능을 갖추고 있다.

 

덴티움은 오는 12월 13일에 진행되는 ‘All in One 세미나’를 통해 업데이트된 ‘bright CT’와 ‘Dentium 3D Viewer’를 중심으로, 임상 전 과정을 연결하는 통합 진단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한 해 동안 다뤄온 주요 임상 콘셉트를 집약해 디지털 진단에서 수술, 보철까지 이어지는 All-in-One 솔루션의 핵심 가치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덴티움의 최신 영상 진단 기술은 정확한 치료계획 수립과 예측 가능한 임상 결과를 지원하며, 디지털 치과 진료의 효율성과 완성도를 한층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전영선 기자 ys@sda.or.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