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치주과학회 학술대회, 스토리텔링으로 완성

2025.10.30 13:24:48 제1135호

개최장소 변경-고품격 학술강연, 거침없는 변화로 성공 견인
치주과학회 종합학술대회, 10개국 550여명 참석, 인기 재확인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이하 치주과학회) 제65회 종합학술대회가 지난 10월 25일과 26일 양일간 마곡 오스템임플란트 사옥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종합학술대회의 주제는 ‘치주치료 전문가를 위한 네 번의 기회’로, △창의성 △효율성 △일관성 △끈기를 ‘네 번의 기회’로 정의하고, 심도 있는 네 개의 심포지엄으로 구성했다. 특히 올해 학술대회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호주, 몽골, 인도, 중국 등 총 10개국에서 550여명이 등록해 성황을 이뤘다.

 

학술대회 첫날인 25일 오전에는 전공의 구연발표가 진행됐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학회의 국제적인 경쟁력 함양을 위해 전공의 구연발표5 세션의 모든 발표와 질의, 응답이 영어로 이뤄졌다.

 

오후 심포지엄1은 ‘새로운 선택의 기회(창의성)’를 주제로 성공적인 환자 관리를 위한 심리적 접근-혼탁한 개원가에서 진주처럼 빛나기(김남윤 원장)와 치주질환의 원격 스크리닝 및 AI 기반 치주 관리(이재홍 교수), 환자가 원하는 것:성공적인 치주 치료를 이끄는 핵심 요인(이중석 교수)을 다루며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했다.


심포지엄2 ‘선두가 될 기회’는 ‘효율성’을 핵심 키워드로, Narrow, short implant를 이용한 불리한 치조골 환경의 극복(조영단 교수), 손상된 발치와에서의 간소화된 경조직 증대술(박병규 원장), 치아 및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 증대술을 위한 최소 침습적 수술 기법(정의원 교수) 강의가 진행됐다.

 

 

이튿날 오전에는 Young speaker & International speaker session과 Inspiration and Recognition Session이 대강당과 세미나실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각 세션에서는 일본, 몽골 해외연자 강연과 한희승 교수의 ‘임플란트 주위염 예방을 위한 Furanone:세균 오염 및 변연골 소실 감소 효과’ 강연, 양건일 교수의 ‘가이드가 놓치는 1mm:정적 가이드 임플란트 식립 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수술적 디테일’ 강연, 치조제 보존술 후 임플란트 실패 예측 인자 규명을 위한 다변수 분석:비중재적 관찰 연구(강대영 교수), 치료되지 않은 임플란트 주위 열개 결손이 임플란트 주위염 진행에 미치는 영향:전임상 생체 내 실험 연구(송영우 교수), 염증성 치조골 결손부 재생을 위한 항염증 및 골전도성 다기능 나노 입자(윤정호 교수), 콜라겐화 이종골 이식재를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무작위 배정 임상 연구(조영단 교수) 등의 강연이 있었다.


심포지엄3 ‘지속적 선두유지의 기회(일관성)’에서는 임플란트 주위 유지관리:임상 프로토콜부터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까지(김윤정 교수), 임상적 접근이 제한된 환자를 위한 치주 치료 전략(송영우 교수), 최소 침습적이며 예지성 있는 임플란트 치료:흡수된 치조제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변수환 교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뤄 눈길을 끌었다.


마지막 심포지엄4 ‘역전의 기회’는 ‘끈기’를 주제로 두 개의 파트로 나눠 Part 1에서는 치주 조직 재생 치료:현재 진행형(민경만 원장), 다양한 임플란트를 이용한 무치악 치조제 결손부의 극복(정철웅 원장), GBR, iGBR, Transmucosal GBR:당신의 선택은?(이성조 교수) 등의 강연이 관심을 끌었다.

 

심포지엄4 Part 2를 진행하기에 앞서 최근에 정년퇴임한 최성호 교수의 ‘세상을 연결하다:한 치주과 의사의 혁신과 리더십 여정’, 구영 교수의 ‘치주학 40년:나의 관점’ 특강이 진행됐다.

 

학회의 대미를 장식한 심포지엄4 Part 2는 무너진 치아와 치주 조직의 새로운 희망:예지성 있는 수복을 위한 전략(박영범 교수), 자연치아 살리기:도전과 만족의 여정(신수정 교수), 치은 퇴축 치료의 한계에 도전하기(박진영 교수대)를 주제로 고난도 증례를 극복하는 심도 있는 강연으로 청중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한편 종합학술대회의 전통으로 자리잡은 ‘가치공감(價値共感) 토크콘서트’는 예년의 두 배가 넘는 100여명의 치주과 수련 지원자들(학부생, 인턴 및 공보의)이 참석해 큰 호응을 이끌었다.

 

치주과학회 설양조 회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장소부터 프로그램까지 많은 변화가 있었다”며 “학술 프로그램은 회원들에게 필요한 강연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 끝에 구성했으며 회원들이 학회의 일원임을 자랑으로 여기고, 경쟁력을 갖추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