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국가책임제에 치과 포함 재조명될까?

2018.08.27 17:40:06 제790호

최근 11년간 치매 진료비 7.3배 증가…치과 필요성 꾸준히 제기

최근 치매환자 및 진료비가 눈에 띄게 증가함에 따라 치매국가책임제도에 치과 분야 포함의 필요성이 다시금 대두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의 2018 HIRA 정책동향에 게재된 ‘치매질환 진료경향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치매질환 수진자 수, 진료 건수가 각각 3.6배(19만6,725명→71만1,434명), 5.5배(91만8.782건→501만9,701건) 증가했다. 치매질환 진료비 또한 최근 11년간 7.3배(3,965억원→2조9,226억원) 증가해 전체 진료비 증가율(3.4배)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를 진행한 심평원 빅데이터부 정명후 통계관리원은 “앞으로 65세 이상 환자비율이 높은 치매질환의 특성과 노인인구 비율이 높아지는 국내 인구 구조로 인해 치매질환 수진자 수 및 진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치매질환에 대해 꾸준한 모니터링과 치매질환 예방·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치매질환의 예방·관리를 위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구강관리다. 구강건강과 치매의 연관성에 대해 밝힌 국내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스웨덴 우메오대 연구팀이 지난 1988년부터 20년간 35~90세 성인 1,95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치아가 모두 빠진 사람은 정상인보다 기억력이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일본 규슈대 연구팀은 치아가 10∼19개인 노인이 20개 이상인 노인보다 치매에 걸릴 가능성이 62%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경북치대 등이 대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성인 18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잔존 치아 수가 0∼10개인 사람은 모두 존재하는 경우보다 치매 위험이 2.64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렇듯 치매질환 예방과 구강건강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은 매우 미온적이다. 실제 개원가는 치매환자의 치과치료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 개원의는 “치매 환자는 사전 진료예약부터 쉽지 않다. 정신이 온전할 때 치과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전 진료예약을 하더라도 갑자기 치매 증상이 발현되면 진료를 진행할 수 없기 때문”이라며 “치매환자는 정신이 온전할 때, 아무 때나 내원하라고 안내하는 것 외엔 방도가 없다”고 호소했다.

또한 대한치과의사협회(이하 치협)는 문재인 정부의 치매국가책임제도에 치과 분야를 포함시키기 위해 치매와 구강건강의 연관성 등을 거듭 강조·전달했으나 결국 치과는 배제됐다. 하지만 치협은 지속적으로 해당 정책에 치과 포함을 건의하는 등 관련 행보를 이어갈 계획임을 밝혔으며, 최근에는 전국 치매안심센터에서 사용될 구강건강 교육용 동영상을 제작하기도 했다. 지난 3월 치매국가책임제도 등에 기인해 출범한 구강건강과치매연구학회 김형룡 회장은 “치매국가책임제에서 치과 분야가 소외되고 있는 것 같다”며 아쉬움을 표한 바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는 치매환자 수 및 진료비 추세에 따라 치매국가책임제도 등 국가정책에 치과계의 목소리가 반영될 것인지 재조명되고 있다.

김인혜 기자 kih@sda.or.kr
김인혜 기자 kih@sda.or.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