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 삶을 기쁘게 하는 것, 슬프게 하는 것, 힘들게 하는 것

2020.03.05 13:33:36 제863호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461)

일상을 살면서 매일이 같고 따분하고 무료하다고 말한다. 시험에 합격하거나 진급을 하면 기뻐하지만, 그 또한 시간이 조금 지나면 곧 일상이 된다. 요즘 코로나19로 하루하루가 긴장인 상황이 되고 보니 그런 일상에서 누렸던 평범함이 얼마나 행복하였는가를 새삼 깨닫게 되었다. 별일 없는 무료한 하루가 진정으로 행복하고 기쁜 날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일상에서 기쁨이란 것은 맥주를 마실 때 첫 번째 한 모금 같은 짜릿함뿐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통상 기쁨은 익숙함으로 바뀌고 다시 일상이 되고 무료함으로 변한다.


지금 코로나19는 우리를 힘들게 한다. 사람이 있는 곳은 어디를 가도 조심하고 긴장을 늦추질 못한다. 자영업자들은 매출이 급감하고 고객들은 매우 예민해져 있다. 매스컴을 보면 볼수록 우울모드로 들어간다. 연관된 모든 것이 우리를 힘들게 한다.


반면 그 속에서 위험을 감수하고 고전분투하는 의료진들과 관계자들 모습은 삶을 기쁘게 만든다. 하지만 자신들 동선을 숨기며 타인에게 배려하진 않는 사람들 모습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이처럼 한 가지 사건에서 기쁨, 슬픔, 어려움을 모두 경험한다. 물론 경중이 있다. 경중 또한 자신 기준으로 생각하니 타인 입장에서 보면 또 다르다.


코로나19로 드러난 모 종교단체를 보면서 어떻게 그렇게까지 될 수 있을까 하고 의문을 갖는다. 최근 같은 질문을 받은 필자는 이렇게 답했다.

 

“우리가 그 단체만큼 누군가에게 관심을 주고 좋은 말만 해준 적이 있습니까? 상대를 위한다는 전제하에서 아프게 하거나 힘들게 하지는 않았습니까. 그들이 포교에 사용하는 ‘절대적 지지와 칭찬’ 방법으로 가족을 대한다면 부모가 종교에 지겠습니까? 가족이라는 이유로, 상대를 위한다는 이유로 칭찬보다는 충고를 더 많이 하지 않았습니까. 인간은 이성을 지닌 사람이기 전에 본능을 지닌 동물입니다. 동물은 본능적으로 칭찬하면 순해지고 비난하면 화를 냅니다. 모 종교단체는 그런 면에서 매우 탁월하다고 생각합니다. 최소한 그곳에서는 현실을 떠나서 행복을 느끼게 해주었을 것입니다. 어찌 충고와 잔소리가 가득한 집과 비교되겠습니까. 특히 요즘처럼 모두가 힘들어서 타인을 돌아보지 못하는 상황은 더욱 그렇습니다. 아마도 그들에게 배운 대로 타인에게 행하면 반드시 성공할 것입니다. 사회를 보는 눈을 사지선다형 옳은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다양성으로 이해를 하면 모든 것이 답이 됩니다. 우리는 늘 내일도 살아있다는 전제하에서 생각합니다. 물론 10년 뒤에도 살아있다는 전제하에서 옳고 그름을 정합니다. 그런데 어떤 영화에서처럼 내일 죽는다면, 오늘 우리가 행할 일과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도 달라질 것입니다. 시험을 잘 못 봐도 상관없고 돈이 없어도 상관없고 오늘 출근을 해야 할 이유도 없을 것입니다. 결국 옳다고 믿는 것들도 사실은 상대적인 것들입니다. 조금씩 놓고 살아도 되는 이유입니다. 그러면 그런 종교도 필요 없어집니다”라고.


시험에 합격하고, 좋아하는 사람과 결혼을 하고, 기다리던 집을 사고, 첫 아이를 갖는 등 살면서 기쁜 일도 많다. 또 그만큼 슬픈 일도 많다. 실망하고, 화나고, 배신당하는 등 수많은 슬픈 일들이 있다. 어떤 드라마든지 1시간을 보고 기쁜 일과 슬픈 일로 나눠보면 1:9 정도이다. 그러나 현실은 무미건조한 날들이 70% 정도가 된다. 힘들지 않고 무난한 무미건조한 날들이 사실은 행복한 날들인 것을 모르면 삶은 기쁜 일보다 슬픈 일이 더 많다. 하지만 70% 무료하고 평범한 날들이 행복한 날인 것을 안다면 슬픈 일이 그렇게 많은 것만은 아니다. 코로나19 시절을 만나서 평범한 일상이 얼마나 소중하고 행복한 나날들이었는지를 생각하게 되었다. 평범한 나날은 결코 무료하지도 무미건조하지도 않았고 단지 그 시간을 내가 잘 활용하지 못한 것뿐이었다. 지금 헬스장도 못가고 영화관도 못가고 해외여행도 못 가고 보니, 무엇이든 할 수 있던 시간들이 진정 소중한 기쁨이었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