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이 안 좋으면 당뇨, 심장, 호흡기 질환뿐 아니라 치매까지?

2024.04.16 09:24:12 VOL178/2024봄여름호

비전염성 만성질환과 치주질환
글 / 한지영 교수(한양대병원 치과)

 

치주과 의사로 환자들의 잇몸치료를 하다 보면 전신 건강 상태가 미뤄 짐작될 때가 많다. 10년 전쯤 임플란트 수술을 했던 60대 남성 환자 있었는데 간단한 수술이었는데도 의외로 잇몸 치유가 잘 안돼서, 혹시 당뇨가 있는지 물었더니 국민건강보험에서 하고 있는 건강검진을 해보면 혈당이 약간 높은데 치료는 받고 있지 않다고 했다.

 

치과에 처음 올 때도 많이 겁을 먹었던 환자여서 잘 설득해서 내과 방문을 권했고, 지금은 내분비 내과에서 당뇨치료를 잘 받고 있다. 이 환자의 아내도 지금은 치주과에 정기적으로 내원하고 있고, 아직도 내원할 때마다 이 말씀을 하며 고마워한다.

 

치주염은 전 세계 성인 인구의 절반에 영향을 미치며(Eke 등 2020), 중증 치주염은 성인의 7.8%에서 11%에 해당한다. 2017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7억4,300만명에서 발생했다(GBD DALYs and Hale Collaborators, 2018). 우리나라 2022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진료비 통계지표를 살펴보면 응급실을 이용한 환자 다음으로 ‘치은염 및 치주질환’ 외래 요양급여비용이 높게 나타났다. 지난 1년간 1,801만7,100명이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치과를 방문했다(그림 1).

 

당뇨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호발하는 비전염성 만성질환(Non-communicable Chronic Disease)의 하나로 유병률이 9.3%(4억6,300만명)이며, 2030년까지 10.2%(5억7,800만명), 2045년까지 10.9%(7억명)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된다(Saeedi 등 2019).

 

2017년 유럽 치주학회와 국제당뇨학회에서 함께 발표한 자료(Sanz 등 2018)에 따르면, 당뇨가 잘 조절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 치주염 발생 위험이 높고, 치주염의 중증도도 크게 나타났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국민건강보험 자료에 따른 11만1,61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약 9.1년의 추적기간 동안 6,102명에서 당뇨가 발생했고, 치주염을 치료했던 환자의 경우 치주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 비해서 당뇨 발병 위험도가 낮게 나타났다고 한다(박정현 등 2022).

 

 

치주질환은 세균에 의해 치아 주위 잇몸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심한 경우 치조골 소실을 일으키며 적절한 시기에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치아를 발거하게 되는 질환으로, 당뇨뿐 아니라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뇌졸증과 같은 심혈관질환, 천식이나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같은 호흡기질환, 이상지질혈증, 비만, 류마티스 관절염, 임신, 조산 및 미숙아 출산, 발기부전 및 치매와 같은 다양한 전신질환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 질환이다(Sanz 등 2018, 이재홍 등 2015).


치주질환은 이상지질혈증과도 관련이 있는데, 대한민국 성인 6만5,07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치주염이 이상지질혈증의 악화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구강위생이 좋을수록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한다(송태진 등 2020).

 

전 세계적으로 사망 원인의 32%(WHO 2021)를 차지하는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뇌졸증과 같은 심혈관질환의 경우도 치주질환과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 시스템-국민건강검진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24만7,696명의 심혈관질환이 없었던 건강한 40세 이상 성인이 평균 9.5년 후 1만4,893명에서 중대 심혈관질환이 발생했는데, 치주질환, 치아우식, 치아 상실이 있는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고 한다(박신영 등 2019, 그림3).

 

 

올바른 칫솔질 습관과 정기적인 치과 방문을 통해 스케일링과 같은 구강위생관리를 잘 할수록 심혈관질환의 발생 위험이 감소됐는데, 구강위생 관리의 개선을 통해 구강건강과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같은 호흡기질환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는데, 만성폐쇄성폐질환과 치주염은 중요한 공통 위험 요인을 공유하고, 특히 흡연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치과치료를 할 때 치과의사가 흡연 환자들에게 직접적으로 금연을 권장하고, 내과나 가정의학과 의사도 함께 환자들에게 금연을 권고한다면 두 질환 및 관련된 합병증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Herrera 등 2023).

 

치주건강이 좋지 않은 경우 치매 발생 위험성이 높게 나타났다는 흥미로운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치매 환자에서 정상인에 비해 치주염을 일으키는 세균이 많이 검출됐다는 결과를 발표한 국내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에서 더욱 집중적인 치주치료와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나희삼 등 2023, 그림4).

 

 

최근 세계보건기구(WHO 2021)에서도 치주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 다른 비전염성 만성질환(NCD)과 공통 위험요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치과의사나 치과의사들이 전신 건강관리와 함께 구강 건강관리를 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7년 이미 고령 사회에 진입했고, 2025년 초고령 사회를 눈 앞에 두고 있다. 치과에 방문하는 노인 환자들은 여러 전신질환을 갖고 있다. 치과에서 치주치료와 함께 환자들의 전신건강 상태를 함께 체크해 주는 것만으로도, 환자들의 구강건강뿐만 아니라 전신 건강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Eke, P. I., Borgnakke, W. S., & Genco, R. J. (2020). Recent epidemiologic trends in periodontitis in the USA. Periodontology 2000,82(1), 257–267.https://doi.org/10.1111/prd.12323

 

2. GBD DALYs and Hale Collaborators. (2018).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disability-adjusted life-years (DALYs) for 359 diseases and injuries and healthy life expectancy (HALE)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1990-2017: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7. Lancet,392(10159), 1859–1922.https://doi.org/10.1016/S0140-6736(18)32335-3

 

3. Herrera, D., Sanz, M., Shapira, L., Brotons, C., Chapple, I., Frese, T., Graziani, F., Hobbs, F. D. R., Huck, O., Hummers, E., Jepsen, S., Kravtchenko, O., Madianos, P., Molina, A., Ungan, M., Vilaseca, J., Windak, A., & Vinker, S. (2023).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diabetes and respiratory diseases: Consensus report of the Joint Workshop by the European Federation of Periodontology (EFP) and the European arm of the World Organization of Family Doctors (WONCA Europe).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50(6), 819–841. https://doi.org/10.1111/jcpe.13807

 

4. Lee JH, Lee JS, Park JY, Choi JK, Kim DW, Kim YT, Choi SH. Association of Lifestyle-Related Comorbidities With Periodontitis: A Nationwide Cohort Study in Korea. Medicine (Baltimore). 2015 Sep;94(37):e1567. doi: 10.1097/MD.0000000000001567. Erratum in: Medicine (Baltimore). 2016 Jan;95(2):e365d. Erratum in: Medicine (Baltimore). 2016 Jan 15;95(2):e365d. PMID: 26376407; PMCID: PMC4635821.

 

5. Na, H. S., Jung, N.-Y., Song, Y., Kim, S. Y., Kim, H.-J., Lee, J. Y., & Chung, J. (2023). A distinctive subgingival microbiome i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and Alzheimer’s disease compared with cognitively unimpaired periodontitis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1–11. https://doi.org/10.1111/jcpe.13880

 

6. Park, J. H., Kim, S. H., Kim, S. J., & Kim, J. W. (2022). Recovery from chronic periodontal disease is associated with lower risk for incident diabete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49, 862–871.https://doi.org/10.1111/jcpe.13687

 

7. Park, S. Y., Kim, S. H., Kang, S. H., Yoon, C. H., Lee, H. J., Yun, P. Y., Youn,T. J., & Chae, I. H. (2019). Improved oral hygiene care attenuates the cardiovascular risk of oral health disease: A population-based study from Korea. European Heart Journal,40(14), 1138–1145.https://doi.org/10.1093/eurheartj/ehy836

 

8. Saeedi, P., Petersohn, I., Salpea, P., Malanda, B., Karuranga, S., Unwin, N., Colagiuri, S., Guariguata, L., Motala, A. A., Ogurtsova, K., Shaw, J. E.,Bright, D., Williams, R., & IDF Diabetes Atlas Committee. (2019). Global and regional diabetes prevalence estimates for 2019 and projections for 2030 and 2045: Results from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diabetes atlas, 9(th) edition.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Practice,157, 107843.https://doi.org/10.1016/j.diabres.2019.107843

 

9. Sanz, M., Ceriello, A., Buysschaert, M., Chapple, I., Demmer, R. T., Graziani,F., Herrera,D., Jepsen,S., Lione,L., Madianos,P., Mathur,M., Montanya,E., Shapira,L., Tonetti,M., & Vegh,D.(2018). Scientific evidence on the links between periodontal diseases and diabetes: Consensus report and guidelines of the joint workshop on periodontal diseases and diabetes by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and the European Federation of Periodontology.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45(2), 138–149.https://doi.org/10.1111/jcpe.12808

 

10. Song TJ, Kim JW, Kim J. Oral health and changes in lipid profile: A nationwide cohort study. J Clin Periodontol. 2020 Dec;47(12):1437-1445. doi: 10.1111/jcpe.13373. Epub 2020 Nov 4. PMID: 32996160.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1). Proposed resolution on Oral Health. Retrieved from https://apps.who.int/gb/ebwha/pdf_files/EB148/B148_R1-en.pdf2021q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