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단] 2015년 치협 총회를 지켜보고

2015.05.04 10:03:48 제635호

김영빈 논설위원

4월말에 열린 치협 정기대의원총회에서 협회장 직선제 개정안이 부결되었다. 찬성 101명, 반대 79명, 기권 2명으로 정관개정의 요건인 2/3 찬성에는 20여표가 모자랐다. 하지만 직선제 자체를 부결시킨 것이라기보다 투표결과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경우 2차 투표를 해야 한다는 등 투표방법에 대한 이견이 많았고, 좀 더 치밀하게 준비해야 된다는 대의원들의 의사가 반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조금 더 신중히 접근하고 올해 총회에 부각되었던 문제점들을 해결하면 내년에는 직선제 정관개정안은 쉽게 통과될 것 같다.

 

하지만 필자가 누차 주장했듯이 직선제 정관개정은 젊은 회원들의 열망이기도 하고, 명분이 있으며, 대세이긴 하지만 전회원에게 돌려주는 선거권을 얼마만큼 협회의 축제로 승화시켜 투표율을 높이느냐는 협회의 몫이다. 지난해 선거인단제처럼 유권자 수를 대폭 늘렸음에도 거의 대부분이 참여해 선거가 축제같이 치러졌음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과연 직선제로 선거를 치를 때 대다수의 회원이 투표에 참여해서 우리의 축제로 만들 수 있을까? 상당수의 회원이 협회장, 또는 회무에 아무런 관심이 없다는 현실이 안타깝지만 선거인단으로 발탁되면 누굴 찍어야 할지, 누가 어떤지 공부도 하게 된다.

 

필자 생각에는 내년 총회에는 전면적인 직선제 개정보다는 지난해보다 선거인단을 두 배 정도 늘려 2년 후 협회장 선거에 흥행을 불러일으켜 보고 그다음에 전면적인 직선제를 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만일 전회원에 의한 직선제를 급하게 파격적으로 선택할 경우에 회원들의 관심도가 떨어져 투표율이 현저히 떨어지고 흥행에도 실패 할 우려가 있다. 현실을 무시하고 이상만 좇을 수는 없다. 직선제의 가장 큰 장점이 바로 전회원의 선거에 대한 관심 집중과 회무에 대한 관심 고취일 텐데 신중히 접근해 시작부터 흥행에 성공해야 할 것이다.

 

차기년도 총회에서는 선거제도개선위의 신중한 접근으로 올해 총회에서 나왔던 얘기들을 충분히 반영한 협회 개정안이 나왔으면 좋겠다. 또한 당장 직선제로의 개정이라도 선거를 전회원들의 총의를 물을 수 있고 회원들의 협회와 회무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한바탕 축제로 승화시켜 주길 바란다.

 

필자는 임원 선출뿐 아니라 중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대의원총회가 아닌 직접 투표에 의한 의사결정 방법도 합리적이라 생각한다. 특히 수십년동안 이슈가 되어왔던 전문의제도 문제가 올해에는 크게 ‘소수정예 원칙’과 복지부의 ‘경과조치 후 전면 허용’이라는 두 가지 대전제에 관한 찬반 투표 결과, 반대 64 대 찬성 107, 기권 4로 지난해 총회 결의 사항인 ‘소수정예 원칙 고수’의 득표가 앞섰다.

 

하지만 수십년간 결론을 못 내고 있는 전문의제도에 관한 문제는 회원 각자의 이해가 갈리기 때문에 전회원들의 총의를 물어 해결하면 간단치 않을까 생각해 본다. 직선제가 비단 협회장과 협회 부회장 뿐 아니라 수십년간 논의만 되어왔고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는 치과전문의제도에 대해서도 전회원의 의견을 물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