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설] 치과의사의 적정수급

2017.09.08 13:29:46 제745호

과다경쟁에 의한 폐해가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실력경쟁보다는 효과가 빠른 가격경쟁을 선택하는 것은 기본인 데다 너무 남발돼 효과도 없는 과도한 광고가 난무하는 실정이다. 결국, 피땀 흘려 번 돈을 광고매체에 빼앗기는 것인데 당장 눈앞의 현실만 바라보는 근시안적인 사고방식이 답답하다.


이런 과당출혈경쟁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이 배출되는 치과의사의 수가 많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의 심각성으로 치과대학 정원외 입학비율이 10%에서 의과대학과 동일한 5%로 조정한 고등교육법시행령안이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


이런 결과를 도출하도록 애써 준 치협에 응원의 박수를 보낸다. 이걸 시발점으로 삼아 더욱 적정인력 수급을 위한 치대 입학정원 줄이기에 박차를 가해주길 바란다. 그리고 은퇴 시기를 조절하는 것도 적정인력 수급을 위해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물론 은퇴는 전적으로 당사자의 의지에 달려있다. 그러나 아름다운 은퇴와 제2의 인생을 위한 설계는 치과계에 몸담은 치과의사들이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한다.


평생을 바쳐 만들어온 내 삶터인 치과를, 나와 뜻을 같이 하는 후배에게 물려주고, 좀 더 봉사의 의미가 담긴 구강검진이나 요양병원의 촉탁의로 활동하거나, 치매환자들의 구강건강을 보살펴주는 것도 방법일 수 있겠다.


그러나 현실은 조금 다르다. 극히 일부이긴 하지만 돈 벌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말썽 많은 사무장치과에 면허대여를 해주는 치과의사로 전락하기도 한다. 물론 처음부터 면허를 대여해 달라고 노골적으로 부탁하는 경우는 드물다. 고임금으로 치과계에서 유명한 원로선생님을 대표원장으로 모시겠다고 설득한 다음, 그 그늘에 숨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영업을 하는 것이다.


때문에 입학정원을 줄이고, 은퇴 시기를 조절하는 것 외에도 치과의사의 일자리를 늘리는 것도 적정수급의 방법이 될 것이다. 보건소장은 의사들에게만 열려있는 게 아니라 치과의사도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준비해야만 기회가 오면 잡을 수 있다. 치과개원에만 매달려 왔던 과거의 인식을 벗어나야 한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