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과의사협회 치과의료정책연구원(원장 김영만·이하 정책연구원)이 처음으로 시도한 전회원 연구주제 공모가 예상을 뛰어넘은 열띤 호응 속에 마무리됐다.
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총 800명이 넘는 치과의사가 다양한 연구주제 제안을 쏟아냈으며, 중복 주제를 제외한 794개의 제안을 객관적으로 심사해 연구용역으로 발주할 수 있는 2건의 주제를 선정했다.
양적으로는 치과보조인력·치과의사 수급 등 치무 관련이 전체 44%(351건)로 가장 많았으며, 보장성 확대, 치과 건강보험 수가 등 보험 관련이 30%(238건)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원격진료, 인공지능, 치과의사 건강, 전신질환과 치과질환 등 여러 아이디어가 접수됐다. 정책연구원은 두 차례의 평가를 통해 ‘근관치료, 치주치료 등의 적절한 보험금액 책정방법에 대한 연구(정하늘 회원)’, ‘OECD 가입국 매복치 발치 평균수가와 소송사례 연구(송충호 회원)’를 최종적으로 선정했다.
정책연구원 김영만 원장은 “진료에 바쁜 와중에도 많은 회원이 무궁무진한 연구 아이디어를 제안해 놀랐다”며 “회원들이 필요로 하는 연구를 진행해 정책 근거를 만들 수 있도록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책연구원은 오는 31일까지 연구용역을 수행할 연구자를 공모 중이다. 연구용역은 △치주치료 등의 적절한 보험금액 책정방법에 대한 연구, △OECD 가입국의 매복치 발치 평균수가 비교, △국·내외 매복치 발치 소송 사례 등 세 가지며 자세한 내용은 정책연구원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