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치과학회, 개원가 공감 이끌어낸 ‘효율적 심미’에 500명 치의 호응

2022.12.05 14:39:42 제994호

지난달 27일 35주년 정기학술대회 성료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심미치과학회(회장 장원건·이하 심미치과학회)가 지난달 27일 코엑스에서 35주년 정기학술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심미의 外道 Efficiency!’를 대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교정 △임플란트 △보존 △보철 △교합에 이르기까지 임상에서 다학제적 세션별 연자들의 강연이 펼쳐졌다.

 

김종화 학술대회장은 이번 심미치과학회 학술대회의 주요 포인트에 대해 “그동안 상위 1%가 진료할 수 있는 하이엔드 심미치료를 얘기해 왔다면, 이번에는 개원의 90%가 공감하는 빠르면서도 진료 퀄리티가 높은 ‘효율성 있는 심미’를 다뤄보기로 했다”며 “‘심미의 외도’라는 다소 파격적인 주제를 선정한 것도 심미가 효율성을 따지기는 어렵지만 개원가 90%에서 하는 것이 하이엔드 심미가 아니므로 개원의 눈높이에 맞춘 강의들로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401호에서 진행된 첫 강의에서는 김희철 원장(더블유화이트치과)이 ‘임상이 즐거워지는 CAD/CAM’, 장근영‧이채연 원장(서울하이안치과)이 ‘Digital, 히치하이커를 위한 입문 안내서’를 주제로 개원가에서 디지털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전달했다.

 

심미에서 빼놓을 수 없는 ‘교정 강연’에서는 최형주 원장(서울바른치과)이 ‘투명교정장치를 이용한 부분교정 시 필수 고려사항’, 차정열 교수(연세치대)가 ‘신개념의 튜브교정 장치를 활용한 전치부 심미교정’에 대해 다뤘다.

오후 세션에는 올해 신설된 ‘청곡상’ 심사를 통과한 최종 경연자 3명의 발표가 진행됐다. 이후 이준우 원장(연세준치과)의 ‘개원의를 위한 간접수복시의 꿀팁’, 신수정 교수(강남세브란스병원)의 ‘개원가에 있는 동료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근관치료의 Tip’ 주제 강연이 이어졌다.

 

임플란트와 관련해서는 조용석 원장(22세기서울치과)의 ‘발치후 식립 시기별 효율적 하악구치부 임플란트 수술법’, 임현창 교수(경희치대)의 ‘Hare and Tortoise: Late Implant Placement’에 대한 강연이 진행, 참가자들의 눈과 귀가 집중됐다.

 

402호 강연장에서는 안창선 원장(서울삼성치과)이 ‘긴밀한 교합에서의 전치부 교합조정’, 이승규 원장(4월31일치과)이 ‘Fiber post vs Casting post, 적응증과 장단점에 대하여’ 주제 강연으로 포문을 열었다. 이어 임형구 원장(서울보임치과)은 ‘까다로운 앞니 임플란트 도전하기’를 연제로 강연을 펼쳤다.

 

코로나19로 중단됐던 해외연자 강연도 재개돼 이목을 집중시켰다.

Dr. Mohan Bhuvaneswaran(Vignesh Dental Hospital)은 ‘Current Strategies in All Ceramic Selection and Adhesive Protocols – Maximise the efficacy’을 주제로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외에도 치과위생사를 위한 △이의석 교수(고려대구로병원)의 ‘주사침에 손가락이 찔렸어요’ △이창균 원장(크리스탈치과)의 ‘효과적인 비외과적 치주치료의 방법과 그 결과’ △천세영 원장(디지털허브치과)의 ‘디지털, 치과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박창진 원장(미소를만드는치과)의 ‘심미치과 치료를 위한 치과위생사의 역할’ 등의 유익한 강연도 마련됐다.

 

김 대회장은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되는 정기학술대회인 만큼 고화질의 LED 스크린을 구축해 더 좋은 화질로 강연을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어려운 여건에서도 500여명이 참가, 강연 전반적인 부분에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학술대회 이후에는 인터콘티넨탈호텔서 올해 신설된 청곡상 시상과 함께 심미치과학회 인정의 및 인정의 마스터 수여식 등이 진행됐다.

 

청곡상 대상은 조은한 전공의(경희대치과병원), 최우수상은 최재윤 전공의(원광대치과병원), 우수상에는 이향은 전공의(중앙보훈병원치과병원)가 각각 수상했다.

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