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치주학 방향 정립 ‘치주과학 개정 8판’ 출간

2025.08.31 16:04:33 제1127호

한국치주과학교수협의회, 3년 넘는 개정작업 통해 완성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한국치주과학교수협의회(이하 치주과학교수협)가 치주과학 8판을 개정 출판했다. 3년이 넘는 개정작업 기간을 거친 개정판은 전통적 내용은 보다 심도 있게 기술하고 최신 정보를 정리하는 등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치주과학 개정 8판은 ‘2017년 미국치주학회(AAP) 및 유럽치주연합(EFP)’이 제시한 새로운 치주질환 분류 체계를 전면 적용해 관심을 모은다. AAP와 EFP의 체계는 단순히 병소의 깊이와 범위만을 판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구강기능, 생활습관, 전신건강 상태까지 아우르며 치료 복잡성과 예후 관리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도록 설계됐다. 이에 치주과학 개정 8판은 전신질환, 특히 여성건강과 관련된 주제를 별도로 세분화해 치주학적 시야를 한층 확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치주치료의 근간인 치주낭의 이해와 기본 수술은 더욱 체계적으로 다듬었으며, 국소 항생제 등 염증 제어 전략도 임상 현실에 맞춰 업데이트했다. 성장 인자·유전자 치료·줄기세포 등 첨단 과학을 응용한 차세대 치주 조직 재생 기법도 폭넓게 다루는 등 전통과 혁신을 조화시켰다는 평가다.

 

임플란트 영역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 기반 진단·치료를 포함한 최신 흐름을 자세히 소개했으며 심미적·기능적 조화를 지향하는 임플란트 디자인부터, 사회적 이슈로 대두된 임플란트 주위염과 부작용 관리, 임플란트 치료의 전 주기를 아우르는 임상 지침도 제시했다.

 

교과서편찬위원회 김창성 위원장(연세치대 치주과학교실)은 “이번 8판이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고 미래 치주학의 방향을 정립하는 결과물이 될 것”이라며 “학부생에게 균형 잡힌 기초 지식 교육, 전공의·전문의에게 근거 기반 임상 가이드, 개원의·연구자·교육자에게는 최신 지견을 보여 주는 나침반이 되는 최신 교과서라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