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이 발전하면서 각종 의료장비나 도구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치과계도 예외는 아니다. 과거 치과는 유니트체어 2대에 표준 방사선장비 정도가 의료장비라고 불리는 것의 대부분이었다. 그런 장비들은 신제품으로 모두 구입해도 부수 장비까지 3~4천만원이면 충분하였다. 그러던 것이 지금은 유니트체어의 기본 숫자도 늘고 장비도 전자화되어 체어 한 대의 가격이 과거의 곱절이 넘는다. 방사선장비도 파노라마는 기본이고 그것도 모두 디지털화돼 방사선장비에만 6~7천만원은 생각해야 한다. 컴퓨터와 기타 장비까지 하고 나면 개업 시 장비구입에만 들어가는 비용은 1억원은 훌쩍 넘고 수억원에 이르는 치과도 있다.
문제는 사후관리다. 의료장비의 특성상 한번 구매하면 기본 5년은 사용하고, 10년이 넘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대부분 장비업체가 이 사후관리에 대해 별로 성실하지 못하다는 것이 대부분 개원의들의 생각이다. 필자도 새로 구입한 체어가 물이 안 나오고 작동이 불량해 2달 가까이 방치한 적이 있다. 구입한 지 얼마 안 돼 같은 문제로 여러 번 수리를 받아 교환을 요청하였지만 결국 해당 회사는 버티고 버티다가 수리로 마무리하였다. 체어는 그 후에도 여기저기 탈이 났는데 한번은 표시등의 점멸불량과 같은 사소한 문제로 수리를 의뢰하였더니 작은 기판을 잘못 교체해 메인보드를 망가뜨리고 필자에게 수리비를 요구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도 있었다. 이런 업체에 단련된 덕분에 지금은 어지간한 수리는 직접 하고 있다.
장비가 첨단화되면서 과거에 수리했던 것도 이제는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져 수리비가 증가한 것은 이해하겠다. 어느 A/S 기사가 그 복잡한 메인보드에 문제가 어디에 있는지 한눈에 잡아내겠는가 싶다가도, 더 복잡한 회로를 가진 다양한 가전제품의 수리기사들을 보면 치과장비 기사들의 기본적인 진단능력이 의심되는 것도 사실이다. 대체부품이나 대체장비도 없이 수입해 판매하고 고장이 나면 치과의사들은 수천만원 상당의 장비를 몇 달씩 사용도 못 한다. 부품을 수입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반복적인 말에도 마냥 기다려 줘야하고, 아무런 이유 없이 장비가 고장이 나도 사용자 과실이라며 수리비가 수십만원이든, 수백만원이든 부르는 대로 지불해야 한다. 이베이에서 단돈 60불이면 구입할 수 있는 소독기의 패킹이 40만원이 넘게 청구돼도 지불해야 한다. 총판권이 바뀌었다며 사후관리를 떠 넘겨도 화도 못 내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대한치과의사협회 홈페이지의 치과기자재 추천/불만사항 게시판에 가면 불만사항들이 줄줄이 올라오고 있다. 게시된 글들을 읽다 보면 대부분 업체의 횡포에 얼마나 답답했으면 여기에 올렸을까 할 정도로 안쓰러운 사연들이다. 그리고 아마도 대다수 치과의사는 짜증나고 억울해도 그냥 비용을 지불하고 빨리 해결했을 성 싶다. 이들 글을 읽다 보면 치과 장비에서는 공급업체가 ‘갑’이고 치과의사가 ‘을’임이 분명하다.
시간이 지나면 장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구입한 지 얼마 안 돼 고장이 나거나, 혹은 부품 불량이나 미숙한 A/S 기사로 인해 발생한 문제라면 공급업체가 책임을 져야 한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가격이 나오는 소모품을 몇 배씩 이윤을 남기는 것은 스스로 도덕성을 깎아내리는 행동이다. 국내 치과 장비와 소모재를 취급하는 업체를 회원사로 두고 있는 한국치과기재산업협회에서는 선량하고 도덕적인 회원들의 권익을 보호하여 그들이 더욱 양심적으로 사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무엇보다 소비자인 치과의사들이 이해할 수 있는 표준계약서 개발과 같은 제도적 장치의 정비에도 적극 나서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