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인터넷등기소 홈페이지에서 느낀 감회

2023.10.26 13:36:18 제1037호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634)

처음 사용한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홈페이지는 감회가 다르다. 처음 들어가면 열리지 않고 다운로드 받고 깔아야 할 보안 파일이 많다. ‘역시 대법원은 다르구나’하는 생각이 든다. 여러 번 시도 끝에 겨우 접속이 되었는데 좌측 상단 홈페이지 주소 앞에 ‘주의요함’이란 글자가 붙어있어 무엇인가 확실하게 정리되지 않은 느낌을 받았다. ‘역시 보안이 철저하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회원가입부터 까다로웠는데 팝업창 실패 등으로 1시간 넘게 씨름하다가 결국 전화를 걸었다. 상당한 시간을 인내심으로 참고 통화 연결이 된 상담원은 ‘원격지원’을 해준다고 했다. 상담원은 MS 엣지를 열고 Internet Explorer를 찾았지만 실패했다. 필자가 노트북을 구입하고 주로 웨일이나 구글을 사용하다 보니 Explorer를 바로 삭제했기 때문이다. 상담원에게서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홈페이지는 오로지 ‘Internet Explorer’에서만 작동 가능하기 때문에 다운받아 깔고 사용하라는 답변을 듣고는 끝났다.

 

Internet Explorer는 MS사에서 2022년에 지원 종료했다. 순간 2시간 동안 헛수고를 한 억울함과 사실상 폐지된 것을 대법원 인터넷등기소가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넘어 속았다는 느낌에 허탈했다. 엄청난 보안으로 어려웠던 것이 아니라 단지 오랜 세월을 업그레이드하지 않았던 것뿐이다. 

 

우여곡절 끝에 마지막에 도달하여 수수료 2,000원을 결제하는데 지속적으로 먹통이 된다. 카드도, 계좌이체도, 폰 결제도 어떤 것을 사용해도 실패해 다시 원격지원을 받았다. 상담원의 수많은 클릭과 타이핑 후에 결제가 가능했다. 결국 보안패치 지원이 안 되다 보니 사람이 일일이 기록해서 해결하는 방식이다. 

 

한심함을 넘어 심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IT강국이라는 한국에서 대법원 인터넷등기소가 시대변화를 따라가지 못해 심각한 구시대의 후진성을 보이는 것에 한심했고, 상담원과 연결되기 전까지는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홈페이지가 Internet Explorer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방법이 없었다는 사실이었다. 이런 정보는 반드시 홈페이지에 들어오면 반드시 공지해야만 필자와 같은 오류를 막을 수 있다. 

 

사실상 요즘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용자의 불편은 그들 문제라는 생각인 것인지, 법을 다루는 사람들이라서 항상 자신들이 갑이라고 생각하는 것인지, 아니면 창피함에 감추기 위한 것인지 알 수 없다. 

 

가장 유력한 것은 생각이 없거나 예산 부족 이유다. 물론 필자가 근무하는 대학병원도 전자차팅을 하는 프로그램이 Internet Explorer에서만 사용이 가능해 병원 측에서 아예 다른 기능을 모두 죽이고 전자차트에 최적화된 Explorer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결국 개인 노트북을 별도로 사용한다. 대학병원은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 때문이지만, 국가가 그것도 대법원등기소가 이렇다는 사실은 예산이 부족할 가능성보다는 담당자가 불성실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심이 든다. 고질적인 한국 공직사회 모습이다. 

 

이런 현상은 교육계 현장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변하기 어려운 두 집단이 있다면 법조계와 교육계다. 촉법소년 같은 현실과 맞지 않는 과거 기준의 법을 바꾸어야 하는데도 미적거리는 법원과 교권이 무너진 교육계 시스템도 시대에 따라 빠른 변화가 필요하였건만 늦어지면서 결국 회복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다. 

 

오늘 또 남양주에서 50대 여교사가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전주와 포천의 초등학교에서 집단 학폭사건이 있었다. 구로경찰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걸레 자루로 협박한 특수협박 혐의로 조사 중이다. 그동안 교육계가 병든 것이 곪고 곪아서 이제 표출되고 있는 모양새다.

 

법원이야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듯이 변화가 늦어도 그저 필자가 시간을 허비하면 끝으로 대단한 일이 벌어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하루가 멀다하고 발생하는 교육계 문제는 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국가적인 문제다. 

 

교육계 문제는 세계적인 이슈인 한국 출산율이 0.78%인 것에 한몫을 했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알 수 있다. 5시간을 허비하고 한국 공직사회의 일면을 본 듯하여 씁쓸함이 남은 하루였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