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사 정태종 교수의 질병과 공간 분석(4)-당신의 공간은 건강합니까?

2021.03.05 13:56:23 제909호

질병과 공간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

●한국 내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의 배치와 공간 특성

한국 내 치의학교육의 중심 공간인 열한 곳의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그 교육병원인 치과병원의 배경과 현황, 그리고 치과공간의 전국 분포, 도시 내 위치, 대학교 캠퍼스와의 관계 등을 살펴본다. 치과공간의 공간구조와 위상을 살펴보기 위해 대상 캠퍼스의 동선체계를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정량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배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1)


한국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 분포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의 도시 내 위치는 설립된 시기의 도시의 형성과정과 연관되어 있다.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은 1922년 한국 최초의 치과교육기관인 경성치과의학교가 설립된 후 1946년 서울대학교로 합병되었고 1966년 경희대학교, 1967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이 설립되었다. 1970년대에 전국에 치과대학이 설립되는데 1973년 경북대학교, 조선대학교, 1978년 전북대학교, 전남대학교, 1979년에 원광대학교, 부산대학교, 단국대학교 그리고 1992년에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이 설립되었다. 치과대학과 치과병원은 대학교 캠퍼스 내에 설립되었으므로 그 위치는 모캠퍼스의 도시 내 위치로 결정되었다. 그 결과 1970년대 치과대학과 치과병원은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하나,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와 1990년대 설립된 강릉원주대학교는 교외나 도시 경계부에 위치하고 부산대학교는 설립 당시인 1970년대에는 도심에 위치하였으나 2000년대 양산신도시에 별도의 의학캠퍼스를 설립하였다.


캠퍼스와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

인체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지식과 치과진료의 임상지식이 결합되어야 하는 치의학 지식의 중심공간이며, 한 사회의 치의학을 평가하는 기준인 기본적인 연구와 진료능력을 갖춘 치과의사의 양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간이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이다. 이러한 치과공간들은 교육체계로 인해 대학캠퍼스와 연결되어 위치하나 캠퍼스 내 교육공간이 주공간인 분야들과는 다르게 교육체계와 병원체계 두 영역의 영향을 받으며 서로에게 불가분의 관계가 된다.2)


대학캠퍼스의 시설분류에서 대학 내 의학계열의 부속시설인 부속병원3)은 내부인들뿐만 아니라 외부 방문자의 지속적인 사용이 이뤄진다. 그러므로 교육시설이면서 공공시설의 역할을 하는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의 입지와 배치는 사용자들에게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치과공간이 독립공간이 아닌 모캠퍼스 내에 위치하거나 별도의 의학캠퍼스를 형성하는 경우는 더욱 복잡한 공간의 배치 관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간들은 도시와 사회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으며 발전하고 내부에서는 환경-행동 이슈들인 공간의 사회적 논리, 개인의 조절과 스트레스, 규범적 기대 등이 서로 연결되어 나타난다.4) 그중 공간의 사회적 논리에서 힐리어(Hillier)와 핸슨(Hanson)은 사용자 부류를 설정하고 공간을 분석했는데, 병원은 다른 공간과는 다르게 방문자인 환자와 이방인이 거주자의 역할을 하게 되어 방문자와 거주자의 관계가 역전되는 공간으로 설명하였다.5)


모캠퍼스와 치과공간의 관계
치과공간의 배치는 독립된 치의학캠퍼스, 의과대학과 부속병원을 포함하는 별도의 의학캠퍼스, 또는 모캠퍼스 내 치의학센터 등 학교와 병원에 따라 다양하다. 경북대학교 치과대학과 치과병원은 모캠퍼스, 의학캠퍼스와 별도의 독립된 치의학캠퍼스를 설립하였다. 부산대학교의 치의공간은 모캠퍼스와 분리된 의학캠퍼스 내에 있다. 서울대학교는 독립된 의학캠퍼스인 연건캠퍼스가 주공간이나 모캠퍼스인 관악캠퍼스에 분원을 설립하여 양쪽 캠퍼스에 치과공간이 있는데 이는 학석사 통합과정의 교육체계 변화에 따라 기초치의학과정은 관악캠퍼스 내 치의학대학원에서, 임상치의학과정은 연건캠퍼스에서 치과병원과 연계하게 되어 다양한 교육공간의 확보와 동시에 치과의료 취약지인 관악구 지역의 치과 진료 향상을 위한 결과다.
주요 치과공간이 모캠퍼스 내에 위치하는 곳은 여덟 곳으로 치과공간은 절대적으로 도시 내 모캠퍼스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전남대학교는 의과대학과 의과병원은 별도의 의학캠퍼스를 구성하고 치의공간은 모캠퍼스 내부에 있으며, 강릉원주대학교는 의과대학과 의과병원 없이 치의학센터만 모캠퍼스 내에 위치한다. 조선대학교, 단국대학교는 모캠퍼스 내에 의학센터와 치의학센터가 있으나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위치한다. 경희대학교, 연세대학교, 전북대학교, 원광대학교는 모캠퍼스 내에 의과대학, 한의과대학, 간호대학, 의과병원, 한방병원들과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의학센터가 위치한다.

 

 

*주석
1) 이 글에서는 혼동을 피하고자 치과공간은 치의학과 관련된 모든 공간을 지칭하며 모캠퍼스에서 공간적으로 분리, 독립된 경우는 의학캠퍼스, 치의학캠퍼스로, 모캠퍼스 내 공간은 의학센터, 치의학센터로 구분하였다.


2) 김용일, 김지영, 박귀화, 2005,  멀티캠퍼스 의학교육의 현황분석과 대응방안 -41개 의과대학의 복합형 교육병원형 교육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학교육학회지 17(2), pp.135-149.


3) 현행 사용되고 있는 시설 구분은 2016년 1월 19일에 개정된 대학설립운영규정에 의하며 의학계열의 부속시설에는 의학, 한의학, 치의학, 수의학에 관한 부속병원이 있다. 법제처, 2017, 대학설립ㆍ운영 규정, 교사시설의 구분 별표2, 국가법령정보센터.


4) Choi, Jaepil, 1990, Reinterpretation of a Social Historian's Work in terms of Current Environment-Behavior Issu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0, pp.67-77.


5) Hillier, Bill; Hanson, Julienne,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GB, pp.95-97.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