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사 건축가 정태종 교수의 질병과 공간 분석(14) - 당신의 공간은 건강합니까?

2021.05.14 09:09:48 제919호

질병과 공간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

● 한국 치과의원의 공간구성 특성 분석

 

한국 치의학은 1900년 전후에 18~19세기 서유럽에서 근대역사를 기반으로 형성된 서양 치의학이 도입된 것이 최초였다. 한국 치과공간의 중심공간이며 대표공간인 치과의원은 치과진료라는 기능에 따른 건축계획과 공간구성이 일반적이다. 최근 이러한 치과공간은 의료체계와 소비자주의 등에 의해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치과의원 사례를 선정해 그래프 이론(Graph Theory), 시각적 접근과 노출 이론(VAE: Visual Access and Exposure Theory), 공간구문론(Space Syntax) 등 공간분석방법론을 이용해 분석한다.

 

치과의원의 공간분석

치과의원의 유형에서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는 주출입구, 대기공간, 진료공간, 관리공간, 진료보조공간들이며 주출입구, 대기공간, 진료공간이 주요공간이 된다. 대기공간과 진료공간이 결합된 유형은 입구에서 대기실 그리고 진료실로 연결되며 보조공간들은 진료실에서 연결된다. 대기공간과 진료공간이 분리된 유형은 진료실 대기실에서 진료실을 연결하는 복도가 나타나며 복도를 중심으로 실들이 배치된다.

 

공간분석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나,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그래프 이론, 시각적 접근과 노출 이론, 그리고 공간구문론이다. 그래프 이론에서 그래프는 꼭짓점들의 집합과 꼭짓점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변의 집합의 순서쌍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관계 지어진 상황들은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렇게 그래프로 나타난 수학적 모형을 연구해 여러 가지 현상을 규명하는 분야가 그래프 이론이다.

 

시각적 접근과 노출 이론은 특정 공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격자 점(View point)을 찍어 임의 점에서 또 다른 임의의 점을 바라보았을 때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주변 시야에 들어오는 수를 세는 방식을 통해 분석하는 이론이다. 공간구문론은 정량적 공간분석 이론으로 공간구조의 위상에 따른 분포양상을 나타내는 공간구문론의 분석 결과는 도시 내 공간의 이용 유형과 연관되며 분석요소들은 연결도, 통합도, 명료도 등이다. 연결도는 특정 공간에 직접 연결된 주변 공간들의 개수를 나타내며, 통합도는 전체 공간체계에서 특정 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의 접근도로 중요도와 중심공간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많은 공간이다. ERAM(Eigenvector Ratio Adjacent Matrix) 이론은 이동의 확률적 분포양상을 통한 공간의 이동분포와 보행량 예측에 이용된다.

 

 

그래프 이론(Graph Theory) 분석

그래프 이론을 이용한 치과의원의 공간 분석 결과는 공간의 구성에 따라 다르다. 사례로 선정된 치과의원은 주출입구가 대기실과 연결되고 대기실은 접수와 기계실과 진료실로 직접 연결된다. 이후 진료실은 다시 상담실과 원장실로, 소독실과 위생사실로 연결되면서 공간이 깊어진다. 사례와 같이 대기공간과 진료공간이 결합된 유형은 진료실이 개방형이나 반개반형에 무관하게 입구에서 대기실 그리고 진료실로 연결되며 보조공간들은 진료실에서 연결된다. 즉 대기실과 진료실이 주요공간이며 이를 중심으로 공간구성이 형성된다. 규모가 큰 치과의원의 경우 나타나는 대기공간과 진료공간이 분리된 유형은 진료실 개방형, 반개반형, 구분형과 무관하게 대기실에서 진료실을 연결하는 복도가 나타나며 복도를 중심으로 실들이 배치된다.

 

시각적 접근과 노출이론(VAE: Visual Access and Exposure Theory) 분석

시각적 접근과 노출이론(VAE) 분석은 시각적 접근(VA), 시각적 노출(VE), 사분할도(Quadrant)로 나누어 분석한다.

 

 

●시각적 접근(VA)

치과 공간은 복도가 있는 분리형이나 복도가 없는 결합형과 무관하게 시각적 연결이 되는 공간의 구석에서 시각적 접근값(VA)이 크게 나타났다. 단일공간으로 제일 큰 공간의 구석에서 시각적 접근값(VA)이 높게 나타났다. 개방형은 진료실에서, 구분형은 대기실에서 시각적 접근값(VA)이 높게 나타났다. 사례 치과의원은 가장 큰 공간인 진료실의 양쪽 구석에 가장 높은 시각적 접근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노출(VE)

대기실, 진료실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전체공간의 중심부위에서 시각적 노출값(VE)이 높게 나타났다. 분리형에서 복도가 길수록 연결공간보다 대기실이나 진료실 공간에 시각적 노출(VE)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공간 중 제일 큰 공간에서 다른 공간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시각적 노출값(VE)이 높게 나타났다. 사례 치과의원에서는 가장 큰 공간인 진료실의 중앙공간이며 대기실과 연결된 부분이 가장 높은 시각적 노출 공간이다.

 

●사분할도(Quadrant)

복도의 유무와 관계없이 대기실과 진료실이 연속되는 공간에 시각적 접근값(VA), 시각적 노출값(VE)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실, 진료실 연결 부위인 복도를 중심으로 시각적 접근값(VA), 노출값(VE)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대기실의 일부와 구분형 진료실 일부공간은 시각적 접근값(VA), 시각적 노출값(VE)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공간구문론(Space Syntax) 분석

사례와 같이 대기공간과 진료공간은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 직선으로 연결되며 이 경우 연결도가 높고 통합도도 높아서 중심공간이 된다. 즉 대기공간과 진료공간이 주요공간이며 이 공간들을 중심으로 부차적인 공간이 분화되며 연결됐다. 또한, 복도가 있는 치과의원의 공간은 대기공간과 진료공간을 연결하는 복도를 중심으로 연결도와 통합도가 높았다. 이동의 확률적 분포양상을 보여주고 보행량을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ERAM(3)는 복도와 중심공간에서 높게 나타나서 치과의원의 경우 연결도와 통합도가 높은 중심공간에 사람의 이동도 많고 복잡한 공간이 됨을 알 수 있다. 사례로 선정된 치과의원은 진료실의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ERAM(3) 등 모든 요소에서 가장 높고 중심공간임이 나타났다.

 

 

전영선 기자 ys@sda.or.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