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사 정태종 교수의 질병과 공간 분석(6)-당신의 공간은 건강합니까?

2021.03.22 17:03:45 제911호

질병과 공간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

● 한국 내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의 배치와 공간 특성 III

 

한국 내 대학교캠퍼스와 별도의 의학캠퍼스를 구성하는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인 서울대학교와 부산대학교 그리고 별도의 치의학 캠퍼스인 경북대학교의 현황과 공간구성을 살펴본다.¹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의 공간구조와 위상을 살펴보기 위해 대상 캠퍼스의 동선체계를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과공간의 배치 특성을 살펴본다.

 

캠퍼스 내 교육공간과 병원공간의 관계

모캠퍼스와 별도의 공간을 구성하는 의학캠퍼스는 캠퍼스 부속시설로 의과병원, 한방병원과 치과병원 그리고 의과대학, 간호대학, 한의과대학, 치과대학 등과 다수의 의학연구소들로 구성된다. 서울대학교는 독립된 의학캠퍼스인 연건캠퍼스가 주공간이나 2015년 관악캠퍼스에 관악서울대치과병원과 첨단교육연구복합단지를 설립해 양쪽에 치과공간이 있는데 이는 기초치의학과정은 관악캠퍼스 내에서, 임상치의학과정은 연건캠퍼스치과병원과 연계해 다양한 교육공간의 확보와 동시에 관악구 지역의 치과 진료 향상을 위한 의도의 결과다. 부산대학교의 치과공간은 부산 시내 부산대학교 병원 내 치과에서 시작해 2009년에 모캠퍼스와 분리된 양산 의학캠퍼스 내에 있다.

 

의학캠퍼스 내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 공간분석

서울대학교 의학캠퍼스의 경우 규모가 큰 의과병원인 본원을 중심으로 어린이병원, 암병원, 치과병원 등이 주변에 배치하게 되고 치의학대학원, 의과대학 등 교육공간은 병원들 후방에 배치하게 된다. 서울대학교는 병원들이 중앙에 배치돼 있어 치과병원의 통합도와 연결도가 치의학대학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의학캠퍼스는 루프(Loop) 형태의 동선구조 중심에 병원들이 배치되고 주변에 교육 및 연구 공간이 배치됐다.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는 대학교육공간과 임상진료공간인 병원의 공간을 명확히 분리해서 캠퍼스 내 학교 및 병원 내부 거주자인 교수, 학생, 직원들과 외부인인 내원 환자들의 동선을 구분했다. 부산대학교는 뉴타운의 격자(Grid) 구조를 기준으로 병원과 교육공간을 명확히 분리하고 출입구도 별도로 위치하고 있다. 부산대학교는 방문자가 많은 병원영역을 중심으로 배치돼 치과병원의 통합도가 치의학대학원보다 높으나 병원영역과 대학영역이 명확하게 분리된 격자 공간으로 인해 연결도는 차이가 없다.

 

경북대학교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 공간 특성

치의공간의 배치는 독립된 치의학캠퍼스, 의과대학과 부속병원을 포함하는 별도의 의학캠퍼스, 또는 모캠퍼스내 치의학센터 등 학교와 병원에 따라 다양하다. 경북대학교 치과대학과 치과병원은 모캠퍼스, 의학캠퍼스와 별도의 독립된 치의학캠퍼스를 설립했다. 경북대학교 치의학캠퍼스는 대구 도심에 위치하며 치과병원은 주도로에서 직접 진입이 가능하고 치과대학은 후면도로를 이용하게 계획해서 치과병원의 통합도와 연결도가 치과대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내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의 공간구문론 분석 결과

한국 내 열한 곳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과 치과병원의 주변도로를 포함하는 모캠퍼스의 공간구조를 통합도, 연결도, ERAM(3)로 살펴보고 배치특성을 분석했다. 전체 사례에서 모캠퍼스의 통합도는 편차가 크나 연결도의 편차가 작은 결과에서 캠퍼스 마스터플랜에 따른 캠퍼스 전체 공간은 다양한 공간구조에도 불구하고 각 공간으로의 연결은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의 통합도의 평균값은 0.584이고 연결도는 2.273이며 치과병원의 통합도는 0.664이고 연결도는 3.455로 치과병원의 통합도와 연결도는 모캠퍼스의 평균보다 높고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의 경우는 모캠퍼스의 평균보다 낮다. 치과병원이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보다 통합도와 연결도가 높은데 이는 외부 방문자를 위한 치과병원의 인지와 길찾기의 용이성을 위한 배치의 결과라 할 수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이글에서는 혼동을 피하고자 치과공간은 치의학과 관련된 모든 공간을 지칭하며 모캠퍼스에서 공간적으로 분리, 독립된 경우는 의학캠퍼스, 치의학캠퍼스로, 모캠퍼스 내 공간은 의학센터, 치의학센터로 구분하였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