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사 건축가 정태종 교수의 질병과 공간 분석(8) - 당신의 공간은 건강합니까?

2021.04.02 13:19:24 제913호

질병과 공간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

● 의료분야 전문가주의와 의료공간

 

현대사회는 전문가의 사회라고 할 정도로 건축, 의료, 법률, 세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주의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의료시설의 공간은 전문가인 의사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의료공간의 분석을 위해 의료분야 전문가주의의 형성 과정, 특징, 그리고 속성들을 파악하고 사회적 역할과 중요성을 고찰해 한국 의료분야 전문가주의의 구성요소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전문가주의 형성 과정

서양의 근대 사회에서 전문가주의는 형성 초기에 특정 분야에서 전문지식이 형성, 축적돼 전문가가 나타나고 그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성립됐다. 이 단계가 지나면 전문직의 공동 활동을 위한 단체가 설립되고 국가로부터 공식적인 인증을 받아 독점적 지위가 부여되는 제도화 과정을 거친다. 이후 전문가주의 윤리규정 및 공공성을 토대로 한 사회적 지위를 확보하게 되고 지속적 유지를 위한 정규교육과정과 계속교육, 내부규율과 윤리를 통한 공공성 증대를 제공하게 된다.1)

 

이와 같은 전문가주의 형성 과정을 세 단계로 정리하면 첫 단계는 전일제 직업이 되는 것이며, 다음 단계는 훈련을 위한 정규교육이 발생되며 전문가협회가 구성된다. 마지막 단계는 국가로부터 법적 인증을 거치고 최종으로는 직업윤리에 대한 자치 규약이 확립되면서 전문가주의의 사회적 정체성이 완성된다. 한국의 전문가주의는 자체로 발생된 것이 아니라 1900년 경 서양에서 수입됐다. 한국 의료분야 전문가주의의 역사적 변화과정은 국민의료보험과 대기업의 병원설립허가로 인해 커다란 변화가 발생했다. 전문가주의 초기에는 의사라는 전문성이 중심이었으나 이후 자율성과 공공성이 전문가주의의 발전에 중요한 요소가 됐다.

 

 

전문가주의 특징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지식을 이용해 전문직을 형성한 전문가주의는 여러 가지 특성들이 나타난다. 전문가주의의 전문지식은 분야에 따라 차이가 나는 독특한 특성들이 있으나 전문가주의의 전문성은 기본적으로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렵고 전문가들에 의해 독점적으로 형성되고 축적되며 교육돼 왔다. 또한 전문가주의는 특정 분야에서 능력과 역할을 위한 특성들이 나타났는데 의료분야에서 의사가 치료자로서 역할을 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속성은 전문가주의의 이데올로기와 윤리, 그리고 공공성을 포함하는 계기가 됐고 공공성, 이타심, 그리고 책임감과 같이 기존의 직업과 전문가주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들이 형성됐다. 전문가주의 특성들은 전문가주의 형성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다양한 속성과 요소들로 나타나게 됐다. 특히 의료시설의 공간은 기존에는 기능에 따른 분화가 주였으나 최근에는 질병과 프로그램에 의한 통합으로 인해 의료공간이 임상위주 센터나 포괄적인 센터화로 변화하고 있다.

 

 

전문가주의 속성

서양에서 전문가주의가 나타난 19세기부터 최근까지 많은 사회학자가 전문가주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전문가주의의 속성과 그 특징들을 통하여 전문가주의의 구성요소들을 제시했다.

 

그중 대표적인 학자인 그린우드(Greenwood, 1957)는 전문직의 속성을 체계적 이론, 권위, 협회 규정, 윤리 강령, 문화로 설명했다.2) 체계적 이론은 도제방식이 아닌 정규교육과정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갖춰야 하는 것으로 교육 및 체계성을 나타내며 권위는 전문성의 인정을 의미하며 공식적인 수료증 또는 학위로 입증된다. 협회 규정은 전문직 조직으로 배타적인 자격제도를 의미하며 윤리 강령은 개인의 이익이 아닌 사회의 공공성을 위한 조건이 된다. 그리고 문화는 전문가주의 집단의 독특한 분위기 및 타 집단과의 구별되는 양식이며 이는 전문가주의의 자율규제 및 연대와 연관된다.

 

또한 프라이드슨(Freidson, 1994)은 의료분야 전문가주의가 다른 전문직에 비해 순수한 이념형적 전문가주의에 가깝다고 했다.3) 이념형의 전문직업성은 다섯 가지 특징으로 정리되는데, 전문화된 노동, 배타적 관할권, 직업의 보호, 훈련프로그램, 이데올로기로 경제적 이익보다 선량한 일에, 노동의 경제적 효율성보다는 질에 헌신한다.

 

구드(Goode, 1960)는 전문직의 핵심적인 특성을 전문적 지식의 소유를 위한 훈련과 서비스 지향적 업무로 설명했다.4) 이 두 가지 핵심 특성들에서 자체적인 훈련기준의 설정, 심오한 성인사회화 과정, 면허제도의 성립, 전문직 성원 스스로에 의해 관리되는 면허와 자격부여, 사회적 통제로부터의 자율성, 자체적인 직업 결사체의 조직, 높은 직업윤리와 직업 자부심 등 다양한 특성들이 파생됐다.

 

마지막으로 홀(Hall, 1968)은 이러한 다양한 전문가주의 속성들을 구조적 요건과 태도적 요건으로 구분했다.5) 구조적 요건은 교육제도, 자격의 부여, 전문적인 조직과 윤리 강령 등으로 일정한 제도적인 형태로 인해 객관적인 확인이 가능한 것이며 태도적 요건은 직업윤리나 소명감과 같은 내적이며 주관적인 조직원들의 인식으로 나타난다.

 

전문가주의의 구성요소를 정리하면 요건은 기본적, 구조적, 태도적 요건으로 나누며 요소는 전문성, 체계성, 배타성, 자율성, 공공성 등이다. 기존 사회학자들이 제시한 전문가주의 구성요소 분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최태숙. (2006). 건축설계직능의 전문화 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 Greenwood, E. (1957). The Attributes of a Profession, Social Work 2(3), 45-55.

3) Freidson, E. (1994). Professionalism Reborn: Theory, Prophecy, and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4) Goode, W. (1960). Encroachment, Charlatanism and Emerging Profession: Psychiatry, Sociology and Medicin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5, 902-965.

5) Hall, R.H. (1968). Professionalism and Bureaucratiz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3(1), 92-104.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