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사 건축가 정태종 교수의 질병과 공간 분석(20) - 우리의 공간은 공정합니까?

2021.06.24 09:55:11 제925호

공간의 공공성과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

● 의료시설 내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외부공간 분석-서울대학교병원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의료시설의 치유환경 조성을 위해 외부공간에서는 자연요소를 이용한 피난처성인 휴식공간의 형성과 휴식공간과의 직접적인 연결이 중요하며 내부공간에서는 휴게실과 같은 피난처성과 더불어 내부에서 외부로의 시각적 조망과 전망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한국의 대표적 의료공간인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피난처성인 휴식공간의 조성, 내부공간에서의 외부 조망, 그리고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외부공간을 분석한다.

 

서울대학교병원 외부공간 분석
1885년 광혜원으로 시작해 대표 국립병원으로 발전한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체계 발전에 따라 기능적이고 효율적인 내·외부공간에서 인간 중심, 환자 중심의 공간으로 지속해 변화해 왔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연건동 의학캠퍼스로 임상공간인 서울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 암병원, 대한외래, 치과병원, 연구공간인 의학연구혁신센터, 의생명연구원, 그리고 교육공간인 의과대학, 간호대학, 치의학대학원으로 구성된다.

 

 

서울대학교병원 피난처성과 외부 조망성 분석
서울대학교병원 외부공간의 피난처성인 휴식공간은 본원 남쪽의 의학박물관 주변, 의과대학 주변 조경, 그리고 후면부의 조선시대 정원인 경모궁지다.

 

 

서울대학교병원의 외부 조망성은 병원 중앙의 의학박물관과 주변 조경을 중심으로 건물의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원 남쪽의 의학박물관 주변자연과 후면부의 경모궁지가 주요 조망이 되며, 암병원은 의학박물관과 외부 창경궁이, 어린이병원에서는 의학박물관과 의과대학 주변 조경, 그리고 치과병원에서는 북쪽의 의학박물관이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외부공간의 피난처성과 외부 조망성의 배치와 분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피난처성은 의학박물관 주변, 의과대학 주변 조경, 그리고 조선시대 정원인 경모궁지이며, 외부 조망성은 병원에서 의학박물관 주변 자연과 후면부의 경모궁지이다. 암병원은 의학박물관과 창경궁, 어린이병원에서는 의학박물관과 의과대학 주변 조경, 그리고 치과병원에서는 의학박물관 주변이다.

 

 

공간구문론(Space Syntax)과 공간분석
서울대학교병원 외부공간의 분석과정은 분석할 서울대학교병원의 외부공간 범위를 정하고 Space Syntax Axial Map을 작성해 서울대학교병원 내 각 건물의 배치와 외부공간의 연결성 및 특성을 분석했다. 서울대학교병원 외부공간의 분석결과, 연결도는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의학박물관, 그리고 치과병원을 연결하는 외부공간에서 제일 높게 나타났고, 대학로 방향 출입구와 장례식장 등 주출입구와 건물이 연결되는 곳에서 높게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의 외부공간 통합도는 병원 주출입구인 창경궁로와 장례식장을 연결하는 외래주차장 도로 쪽이 높고, 부분 통합도(3)는 본원 전면부 남쪽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루프(Loop)형 도로체계를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다. 보행빈도 항목인 ERAM(3)은 부분 통합도(3)와 유사하게 본원, 의학박물관과 치과병원을 연결하는 외부공간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원 북쪽의 조선시대 정원인 경모궁지는 문화유적이며 보이드 공간으로 휴식공간의 이용 가능성이 높지만 연결도, 통합도, ERAM(3) 값이 낮아 병원 전체의 중심공간보다는 본원 특히 병동부와 연결된 휴식공간으로 사용 가능하다.

 

 

서울대학교병원의 외부공간 중 가장 큰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병원 내 도로와 주차장 공간의 특징은 외래고객주차장, 암병원주차장, 장례식장주차장 등 지하, 지상 부분 등 서로 연결되지 않아 사용에 불편하며, 주차장 입구가 본원 앞쪽으로 가로질러 위치해 공간 분절이 발생했고, 각 건물지상부 부속 주차장으로 지상 공간의 보행 불편이 유발됐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해 최근 완공된 서울대학교병원 대한외래 지하복합 진료공간사업은 외래진료부, 편의시설 및 지하주차장 사업으로 변화했고 그로 인한 외부공간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통합도가 높아 접근과 인지가 용이
2. 기존 주차장과 근접해 기능적 연결이 가능
3. 본원, 어린이병원, 치과병원 연결공간으로 작용
4. 병원 외부공간의 보행공간으로 전환 가능성

 

일반적으로 도심부 의료시설은 병원 내부공간에 자연요소의 이용은 외부 조망성 이외에 휴식공간, 옥상정원, 식물의 도입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나 외부공간은 상대적으로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자연의 도입이 어려우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서울대학교병원은 도심 내 의료시설의 자연요소 확보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경모궁지와 주변의 창경궁 등 문화전통유산을 이용해 휴식공간 및 외부 조망을 보완할 수 있다.

 

1) http://en.snu.ac.kr/campus/yeongeon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