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개인연금으로 中 클린에너지 산업 투자하기 - TIGER 차이나클린에너지SOLACTIVE 소개

URL복사

최명진 원장의 자산배분 이야기 - 34

미국과 유럽연합(EU)는 지구온난화 같은 환경 문제에 대해 과거에 비해 공격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탄소국경세(Carbon Border Tax)는 자국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에서 생산·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부과하는 관세다. 특히 EU는 2021년 7월 14일, 2030년까지 유럽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55% 감축하기 위한 입법 패키지를 발표하면서, 탄소국경세(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를 도입했다. CBAM은 EU 역내로 수입되는 제품 가운데 자국 제품보다 탄소 배출이 많은 제품에 대해 비용을 부과한다. EU는 CBAM을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과 친환경 정책들이 현실화되면서 각국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재활용하거나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태양에너지, 지열에너지, 해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중국은 화석연료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나라지만,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생산하고 가장 많은 신재생 설비용량을 갖춘 나라기도하다. 중국은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선제적으로 진출해왔다.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의 설비용량과 투자규모 면에서 3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전 세계 탄소배출 1위 국가에서 탈피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기 위한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글로벌 태양광 산업 밸류체인은 중국 기업이 거의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과 낮은 전기료로 글로벌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은 중국의 클린에너지 산업에 투자하는 ETF에 대해 알아보겠다.

 

Solactive China Clean Energy 지수란?

전 세계 신재생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중국 클린에너지 기업 중에서 순수 신재생에너지 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다. Solactive China Clean Energy 지수는 중국과 홍콩, 미국에 상장된 중국 클린에너지 기업 중에서 시가총액 상위 20종목을 선별한다.

 

Solactive China Clean Energy 지수는 2017년 6월 2일을 기준일로 하는 지수다.

1) 독일의 지수 사업자이자 기관인 Solactive AG에서 지수를 산출한다.

2) 중국이나 홍콩에 본사를 두고 있는 클린에너지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들로 구성된다.

3) FactSet 섹터 분류에서 클린에너지 산업 및 경제로 분류된 기업들 중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기업을 선정해 종목을 구성한다.

4) 유동 주식을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산출한다.

5) 연 2회(매 1, 7월) 종목을 교체(리밸런싱)한다.

 

Solactive China Clean Energy 지수를 추종하는 ETF

Solactive China Clean Energy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홍콩과 국내에 상장돼 있다.

 

1) Global X China Clean Energy ETF는 2020년 1월 16일 홍콩 증시에 상장됐다. 운용자산은 $4.18 Billion이고 운용보수는 0.68%다.

2) TIGER 차이나클린에너지SOLACTIVE ETF는 2021년 8월 10일 국내 증시에 상장됐다. 운용자산은 660억원이고 운용보수는 0.49%다.

 

미래에셋 자산운용사가 인수한 미국의 자산운용사 Global X에서 2020년 1월에 홍콩 증시에 상장한 ETF를 2021년 8월에 운용보수를 낮춰서 국내 증시에 상장했다.

 

Solactive China Clean Energy index의 산업분류와 사업분류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포트폴리오의 모든 투자 비중이 집중돼 있고, 그중에서 태양광 사업의 비중이 63%로 주를 차지한다.

 

Solactive China Clean Energy index의 종목 구성

지수를 구성하는 TOP 10의 종목 구성을 살펴보면(2021년 11월 30일 기준)

1. Global X China Clean etc. 14.94%

2. Zhejiang Jingsheng Mechanical & Electrical Co Ltd 7.02%

3. Sungrow Power Supply Co Ltd 6.71%

4. Tianjin Zhonghuan Semiconductor Co Ltd 5.96%

5. NAURA Technology Group Co Ltd 5.86%

6. China Yangtze Power Co Ltd 5.14%

7. LONGi Green Energy Technology Co Ltd 4.93%

8. Xinyi Solar Holdings Ltd 4.41%

9. Weihai Guangwei Composites Co Ltd 3.97%

10. Ming Yang Smart Energy Group Ltd 3.34%

 

TOP 10의 종목은 전체에서 62%를 차지하고 총 26종목(원화 예금 포함)으로 구성돼 있다. 개별 기업은 20종목 정도를 편입하게 돼 있다. 태양광 EVA(보호필름) 제조기업이며 글로벌 점유율 1위인 hejiang Jingsheng Mechanical & Electrical(JSG)와 세계 1위 태양광 인버터 생산 기업인 Sungrow Power Supply, 중국 2위 태양광 단결정 웨이퍼 생산 기업인 Tianjin Zhonghuan Semiconductor 등 태양광 관련 기업이 상위권에 속해있다. 풍력 터빈 제조사인 NAURA와 Ming Yang Smart Energy Group, 원자력 발전소 운영 기업인 China Yangtze Power 등 풍력과 원자력 수력 발전 기업들이 나머지 비중에서 균형 있게 배분돼 있다.

 

TIGER 차이나클린에너지SOLACTIVE ETF 소개

1) ‘Solactive China Clean Energy 지수(원화환산)’를 기초지수로 한다.

2) 상장일은 2021년 8월 10일이며

3) 운용자산(시가총액)은 2021년 11월 30일 현재 660억원이다.

4) TER보수는 0.49%로 평균보다 높지만 홍콩에 상장된 ‘Global X China Clean Energy ETF’ 보다는 저렴하다.

5) 환노출 ETF다.

 

중국의 순수 신재생에너지에만 투자할 수 있는 유일한 신생 ETF다. 홍콩에 2020년에 상장된 ‘Global X China Clean Energy ETF’는 상장 후 2021년 11월 30일 현재까지 171%의 수익률 거두었지만 국내에 2021년 8월 10일에 상장된 이후 6.4%의 수익률에 그쳤다. 중국 당국의 집중적인 정책적 지원 분야임을 감안할 때 장기적으로는 시장을 상회하는 수익률을 거둘 거라 예상한다. 다만 선진국의 중국 신재생에너지 산업 견제로 인한 반덤핑 규제 같은 리스크를 감안해 투자해야 한다.

 

TIGER 차이나클린에너지SOLACTIVE ETF의 성적

 

국내 상장된 <TIGER 차이나클린에너지SOLACTIVE ETF>는 상장된 지 3개월 밖에 되지 않아 동일 지수를 추종하는 <Global X China Clean Energy ETF>를 지난 시간에 다룬 <Global X China Elec Vehicle & Battery ETF>와 비교했다. 둘 다 중국의 전폭적인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2년이 채 못 된 기간 동안 171%와 257%라는 큰 폭의 수익률을 거뒀다. 지금은 두 지수 모두 횡보하거나 조정구간에 돌입해있지만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개인연금에서 투자할 경우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을 높이기에 충분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중국에 투자할 때는 중국 당국의 규제나 선진국의 중국 견제에 대한 리스크를 감안해 변동성에 대비하고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보조적인 목적과 비중으로 투자하는 것을 추천한다.

 

오늘까지 개인연금에서 중국에 투자할 수 있는 ETF들을 다뤄봤다. 개인연금에서 ETF를 선택할 때는 전 세계와 전 섹터에 균형 있게 투자하는 것이 좋다. 특정 국가와 섹터에 투자하는 ETF는 투자자의 선호에 따라 전략적으로 비중을 작게 해서 투자하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9월 S&P500 자산배분 전략 | 금리인하 사이클과 조정 신호

2025년 9월, 미국 증시는 다시 한 번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 대표 지수인 S&P500 역시 단기적 반등과 조정 사이에서 고점을 조금씩 높여가며 불안정한 균형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기일수록 자산배분 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단순히 마켓 타이밍을 맞추려는 시도가 아니라, 거시적 흐름 속에서 각 자산이 어떤 위치에 있으며 어떤 비중을 가져가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냉정하게 판단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자산배분 전략은 특정 종목에 집중하거나 단기 매매로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행위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그 핵심은 금리 사이클, 유동성 흐름, 투자 심리와 같은 거시적 요인 속에서 장기적인 위험을 관리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틀이 바로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이다. 금리 인상과 인하, 경제위기와 회복이라는 순환 과정 속에서 자산은 서로 다른 성과를 보여 왔으며, 투자자는 각 국면에서 불리한 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앞으로 유리해질 자산을 선제적으로 편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시장은 금리인하 사이클의 B에서 C로 넘어가는 후반부에 놓여 있다. 연준은 2023년 7월 금리 고점(A)을 기록한 이후 202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