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그랜드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열린 ‘SID 2015(SHINHUNG IMPLANT DENTISTRY)’에서 신흥은 명품 임플란트 심포지엄의 위용을 다시 한 번 드러냈다.‘All about Extraction Socket’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심포지엄은 발치와 관리 및 임플란트 수술에 대한 다양한 토픽의 강연을 통해 임상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소통의 장이 됐다.올해 5월 SIDEX 2015 현장에서 진행했던 사전등록 이벤트에서도 100여명 이상이 등록하는 등 심포지엄에 대한 기대와 관심은 일찌감치 달아올랐다. 심포지엄 당일에도 오전부터 강연장을 가득 메우는 등 참여자 수가 지난해보다 급증, 명성이 입증됐다.이번 심포지엄은 지난 2012년부터 올해까지 4회째 SID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규성 교수(연세치대 치주과)를 비롯한 총 12명의 ‘SID 조직위원회’가 지난 1월 초도회의를 시작으로 매월 정기 회의를 통해 전체적인 프로그램을 기획, 더욱 완성도를 높였다.특히 SID만의 특별한 강연 형식인 ‘The Great Battle’, ‘Battle Discussion’, ‘100분 토론’은 올해에도 큰 반응을 얻었다.첫 번째 100분 토
김명래 교수(이화여대)의 정년기념과 함께 개최된 제9회 한국임상치의학대학원(이하 한국임치원)의 공동학술대회가 지난 8일 이화여대 국제교육관 LG컨벤션홀에서 성황리에 마무리했다.이번 학술대회는 5개의 주제 아래 다양한 연자들이 나서 심도있는 강연을 펼쳤다.‘5개 임상치의학대학원 중점 연구분야 발표’를 시작으로 ‘교정치료의 뉴 패러다임’, ‘Facial Reconstruction and Rehabilitation’, ‘Orthognathic Surgery’에 이어 정년을 앞둔 김명래 교수의 ‘My modified preferred treatment modality’ 특강까지 이어졌다.1부에서는 5개 임치원 중점 연구분야 강연이 진행됐다. ‘치은연하 환경에서 일어날 법한 세균에 대한 세포 반응’, ‘임플란트주위염과 줄기세포 분야’, ‘약물관련 악골괴사증의 병태생리규명’, ‘혼합 치열기 아동에서의 매복치 견인’, ‘Umbrella Type Implant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및 임상적용’ 등 다양한 분야가 제시돼 참가자들의 눈길을 끌었다.특히 매복치 견인을 다룬 남경연 교수(아주대임치원)는 혼합치열기 아동에서의 영구치는 맹출 전이고 유치는 동요도를 보여 접근을 하기
무더위보다 더 뜨거웠다. 한낮 폭염에도 불구하고 5,200명의 발길이 향한 곳은 대한치과위생사협회(회장 문경숙·이하 치위협) 50주년 학술대회가 열리고 있는 코엑스 전시장. 그 곳에서 50년을 맞이한 치위협의 발자취를 돌아봤다. 지난 11일부터 이틀간 ‘한국 치위생학 교육 50년, 세계의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열린 ‘한국 치위생학 교육 50년 기념 종합학술대회’가 많은 사람들의 응원 속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중동호흡기증후군(이하 메르스)의 걱정에도 불구하고 치과위생사, 초대회장, 고문, 해외 연자 등 5,200여명이 먼 발걸음을 해 50년을 맞이한 치위협에 격려와 찬사를 보냈다.테이프커팅을 시작으로 개회식을 연 이번 학술대회는 50년의 역사를 표현하는 샌드아트로 문을 열었다. 이어 치과위생사 교육제도의 도입을 선도한 지헌택 고문의 특별영상과 그 동안의 치과위생사의 길을 걸어온 연로들의 인터뷰가 이어지자 옛 생각에 눈물을 훔치는 모습도 곳곳에서 보였다.특히 이번 학술대회는 세계치과위생사연맹(IFDH) JoAnn 회장이 참석해 의미가 더 남달랐다. 치위협 50주년 학술대회를 축하하고자 미국에서 건너온 JoAnn 회장은 “개막식부터가 인상적이었다”며 “협회가…
제9회 한국 임상치의학대학원(이하 임치원) 공동학술대회가 김명래 교수 정년기념국제학술대회를 겸해 개최된다.다음달 8일 이화여대 국제교육관 LG컨벤션홀에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는 5개의 주제 아래 다양한 연자들이 나서 심도있는 강연을 펼친다.‘5개 임상치의학대학원 중점 연구분야 발표’를 시작으로 김민지 교수(이대 임치원), 홍미희 교수(카톨릭대 임치원), 안장훈 교수(한림대 임치원)의 ‘교정치료의 뉴 패러다임’이 강연이 이어진다.해외 연자로는 Reda Taleb 교수(미네소타치대), Izumi Mataga(니혼치대), James Swift(미네소타치대)가 초청돼 ‘Facial Reconstruction and Rehabilitation’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뿐만 아니라 이상휘 교수(연세치대), 황순정 교수(서울치대), 李自力 교수(북경치대)의 Orthognathic Surgery도 준비돼있다.특히 마지막 시간에는 김명래 교수(이대 임치원)가 ‘My modified preferred treatment modality’를 주제로 정년기념 강연에 나서 후학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문의 : 02-2643-0276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Q. 치위협이 50주년을 맞이했다.A. 이제 50년의 자랑스러운 역사 위에 100년을 세워 나가기 위한 도전을 시작하려 한다. 글로벌 시대에 맞춰 한국 치과위생사가 세계의 중심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 전환의 날이 오늘이 될 것이라 믿는다.Q. 앞으로 나아가야할 지향점은?A. 1965년 연세대에 치위생과가 개설된 이후 치과위생사라는 직업의 정체성을 찾아가면서 발전해왔다. 2년제부터 시작한 학제는 3년, 4년 지금은 석·박사까지 개설돼 있는 상황이다. 앞으로는 치위생사가 선진국과 교류하면서 어깨를 겨루고 교류하며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앞으로 나가야 할 지침이라고 생각한다.Q. 임기동안 향후 추진할 사업은?A. 예방과 교육중심, 의기법 개정과 치과위생사들이 정책적으로 방향을 나아갈 수 있는 목표 설정을 위해 정책연구소를 설립할 계획이다. 남은 임기 2년 동안이 아닌 향후 100년을 향한 목적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한턱관절·교정연구회(회장 한만형·이하 연구회)가 4일 TP치과기공소에서 연구회를 마무리하고 6기 수료식을 진행했다.4월부터 8회에 걸쳐 진행된 이번 연구회를 통해 40명의 수료생을 배출, 총 200여명의 치과의사들이 한턱관절·교정연구회 수료생이 됐다.‘칼 안대는 성형수술’의 저자이자 양악수술을 대체하는 교정술, 두개동설을 바탕으로 골격성 부정교합을 연구하고 있는 한만형 회장의 이번 연구회는 △두개골은 끊임없이 움직인다(한만형의 두개동설) △머리에서 발끝까지 인체는 하나의 유기체 △골격성 부정교합의 원인과 치료 △두개골을 움직이는 교정치료법 등의 내용으로 채워졌다.한만형 회장은 “이번 연구회는 강연이 끝이 아닌 임상과 접목시켜 현장에서 쓸 수 있게 하기 위함”이라며 “심화과정인 어드밴스 코스를 통해 연구를 활성화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한편 한턱관절·교정연구회는 내년 초 7기 연구회원을 모집할 예정이다.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경희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원장 박영국·이하 경희치대)과 미국 메릴랜드치대가 턱관절치료 기초 확립을 위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했다.안면통증구강내과학교실(교수 전양현)과 미국 메릴랜드치과대학 신경통증과학교실(Jin Y. Ro)이 공동연구 10주년을 맞이해 개최한 ‘턱관절치료의 기초 확립을 위한 심포지엄’이 지난달 26일 경희치대 강당에서 열렸다.‘The New Horizon of Orofacial Pain’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The role of Testosterone in the regulation of Opioid Receptors' 등 다양한 통증에 관한 최신 연구가 발표됐다. 이어 이달 2일에는 대학원생과 연구원, 교수들을 위한 특강이 진행됐다. 경희치대와 자매대학인 메릴랜드치대는 세계 최초의 치과대학으로 올해 175주년을 맞이했다.이번 심포지엄은메릴랜드치대의 최첨단 통증연구과 경희치대의 임상연구를 접목해 구강안면통증과 턱관절장애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길을 열 수 있는 밑거름이 됐다.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턱관절장애 치료법을 완전히 마스터할 수 있는 턱관절포럼이 개최됐다. 고려대 턱관절포럼 제10기 연구회는 ‘실전에서 즉시 이용할 수 있는 턱관절장애 치료법 완전 마스터’라는 주제로 지난 13일부터 이틀에 걸쳐 포럼을 진행했다.이번 포럼은 턱관절장애의 각종 치료법에 대한 실습 후 정훈 턱관절연구소에서 임상참관까지 이어지는턱관절장애 치료법 마스터 코스다. 특히 이론 강연 후 실습까지 준비해 차별화를 더했다.강연에는 대한턱관절협회정훈 명예회장을 비롯한 11명의 연자들이 다양한 주제로 강연과 시연을 이끌어나갔다. 포럼 첫 날인 13일에는 ‘턱관절장애에 대한 이해와 각종 치료방법’을 주제로 턱관절장애 원인과 효과적인 치료법을 선택하기 위한 감별진단법과 최신치료법, 보존적인 처치가 불가능한 증례 감별법 및 최신 외과적 수술법, 스플린트 치료 등을 다뤘다.강연 후 스플린트 제작 시연과 응용을 통해 환자에게 직접 실습해보는 시간도 마련됐다.이틀 날인 14일 강의는 오전과 오후로 나눠 진행됐다. 오전에는 ‘턱관절장애의 비침습적 치료’라는 주제로 턱관절장애 치료 후 보험 청구 방법, 악안면변형 치료, 보톡스 치료 등에 관한 내용이 이어졌다. 이후 물리치료 실습을 통해 마스터하는
대한치과위생학회(회장 김민정)가 지난달 31일 개최한 2015년 학술집담회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이번 학술집담회 대주제는 ‘Special Dental Hygienist: 외국에서 치과위생사로 살아남기’로 현재 싱가폴, 중국, 캐나다에서 치과위생사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을 초청했다. 강연에는 제니퍼 김(싱가폴 Sunshine dental center clinic manager), 강경희(중국/상하이 뉴욕치과 clinic manager), 김보경(캐나다 Dr. Low’s dental office 근무) 등이 나섰다.강연은 각 나라별 치과의료기관 소개, 나라별 치과시스템과 한국 치과시스템의 비교, 해외취업을 위한 진출준비 등으로 알차게 꾸려졌다.특히 이날 학술집담회는 해외 취업에 관심이 있는 수많은 회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질문세례가 쏟아지는 등 큰 호응을 얻었다. 학회 관계자는 “올해 추계학술대회에서도 치과위생사들의 관심 분야로 주제를 정해 폭넓은 강연을 준비할 계획인 만큼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교정치료는 대부분 청소년 환자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점차 성인교정환자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성인교정환자의 경우 레진치료는 물론 크라운 치료가 행해져 있는 경우가 많아 고려할 점이 많다. 단순한 교정측면에서만 진단을 한다면 놓치는 부분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KMIPI 디렉터인 장원건 원장(마일스톤즈치과)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민을 거듭했다. 뉴욕치대 교정과를 수련한 장 원장은 개원 후 지속되는 고민에 해답을 찾기 위해 다시 뉴욕치대로 돌아가 보철과를 수료했다. 치과의 여러 진료과목 중 가장 멀게 느껴지는 교정과 보철을 모두 전공한 장원건 원장은 두 가지 관점 모두를 아우르는 KIMPI를 지난 2010년 창립했다.KIMPI는 ‘Dr. Kitzis Memorial Institute for Prosthodontics Interdisciplinary Dentistry’의 약자로 장 원장이 멘토로 삼고 있는 Dr. Kitzis의 학풍에 따라 통합적인 치과진료에 대해 연구하고 공부하는 연구회다. 장원건 원장은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 무엇보다 초기 진단이 가장 중요하다”며 “모든 관점에서 통합적인 접근을 해야지 올바른 치료계획이 수립될 수 있다”고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