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심리학이야기

봉위수기(逢危須棄)

URL복사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564)

얼마 전 후배와 담소를 나누다가 최근 경제 상황에 대안을 갖고 있는지 질문을 받았다. 최근 경제 상황은 결코 쉽지 않다.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국이 금리를 0.5% 올렸다. 올해 안에 3%까지 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한국 금리도 오르고 대출이 있는 서민들 경제는 더욱 팍팍해진다. 특히 영끌한 20~30대에게는 치명적이다. 서민을 대상으로 진료하는 일선 치과도 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치과 경기도 쉽지 않을 것이 예상된다. 최근 세계 물가가 오르며 한국도 먹거리 등 서민 물가가 눈에 띄게 오르고 있다. 경제학자들은 ‘공짜 점심은 없다’라는 표현으로 유동성을 푼 뒤에는 인플레이션이 오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것은 불가피하며 서민들은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지금은 마치 불 위에 놓인 냄비 속 개구리가 따뜻한 물 온도를 즐기다가 그 시기가 지나면 본격적으로 뜨거워지는 고통의 시기를 맞는 것과 같은 때라 할 수 있다. 금리상승은 서민들 지갑을 얇게 만들고 그들을 상대하는 업종들도 어렵게 한다. 물 온도가 조금씩 올라가듯이 금리상승 또한 시시각각 위협을 증가시킨다.

 

다가오는 경제위기에 대응하는 질문을 받고 ‘위기십결’을 이야기했다. 위기십결(圍碁十訣)은 바둑판 위에서 필요한 10가지 비결이다. 그러나 필자는 위기(危機)에 필요한 10가지 비결이란 의미로 해석한다. 몇 해 전 흥행하였던 ‘미생’이라는 웹툰 드라마에 나온 봉위수기(逢危須棄)라는 바둑 용어가 있다. ‘위험을 만나면 모름지기 버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으로, 위기십결 내용이다.

 

10가지 금언 중에 ‘서두르지 말고 신중하라’는 것이 7개이고, ‘버리라’는 것이 3개이다.

 

신중해야 하는 7개는 ‘불득탐승(不得貪勝):너무 승부에 집착하지 말고 마음을 비우고 최선의 수를 찾아라. 입계의완(入界宜緩):적진으로 공격해 들어갈 때는 신중히 천천히 하라. 공피고아(攻彼顧我):상대방을 공격하기 전에 먼저 자기의 허점을 잘 살펴라. 신물경속(愼勿輕速):다급할수록 경솔하거나 졸속하게 두지 말고 신중하게 두라. 동수상응(動須相應):모두가 서로 호응관계에 있으니 전후좌우를 살펴라. 피강자보(彼强自保):상대방이 강하면 스스로를 먼저 보강하라. 세고취화(勢孤取和):적의 세력 속에서 고립돼 있을 때는 화해로 살아남아 재기를 노려라’다.

 

‘버리라’는 3개는 ‘기자쟁선(棄子爭先):바둑알 몇 개를 버리더라도 기선을 제압하라. 사소취대(捨小取大):작은 것은 버리고 큰 것을 취하라. 봉위수기(逢危須棄):위험을 만나면 버려라. 비상 시에는 비상한 조처를 취하라’다.

 

이 10가지 중에서 9가지는 위험에 들지 않기 위한 방법이고, 유일하게 위기탈출 방법은 한가지로 ‘봉위수기’뿐이다. 위험을 만나면 버려야 한다. 도마뱀은 꼬리를 자른다. 무엇을 버릴 것인가는 각자 생각해야 한다. 위기를 만들어낸 원인이 있으니 그 원인을 버려야 한다. 포사의 미소를 포기하지 못한 유왕은 반란군에게 죽었다.

 

규모는 경쟁력이 될 수도 있지만, 부채가 되기도 한다. 영끌했는데 집값이 오르지 않으면 원인인 집을 던져야 하건만, 집을 던지기 전에 미련을 먼저 버리는 용기가 필요하다. 미련을 버리지 못하기 때문에 위기상황에서 대다수가 살아남지 못한다. 욕심에서 시작하면 항상 더 큰 욕심에 진다. 금리를 올릴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자가 더 큰 욕심의 끝이다. 전쟁은 권력자가 시작하고 피는 군인과 서민이 흘린다. 역사적으로 금권은 서민이 아무 의심 없이 빚지게 만들고, 덫에 걸려들면 수확하였다. 금리를 올리겠다는 것은 이제 수확하는 시기에 들어갔다는 말이다.

 

권력은 항상 서민을 위한다고 말하지만, 역사적으로 서민을 위한 권력은 없었다. 권력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만 존재하는 속성이 있다. 이제 금리상승 시기가 되었다. 서민은 위기를 피하거나 견뎌야 하는 때가 되었다. 주식은 2,600이 무너졌다. 계절이 입하를 지나서 여름이 되었듯이 세계 경제 환경이 변했다.

 

냄비의 물 온도가 뜨거워지기 시작했다. 물이 끓기 전에 봉위수기로 몸을 가볍게 하고 냄비를 탈출하거나 좀비가 되어 견뎌야 한다. 소나기는 견디기보다는 피하는 것이 현명하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나는 반딧불’의 위로가 지닌 의미
얼마 전 진료실 라디오에서 잔잔한 노래 하나가 들렸다. 얼핏 처음 가사가 들렸을 때 스스로 빛나는 별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반딧불이라고 들렸다. 그래서 슬프다는 내용인 줄 알았는데 그 다음 가사가 알고 보니 자신은 개똥벌레였다고 하는 내용이었다. 빛나는 별이 아닌 줄 알았고 반딧불인 줄 알았는데 결국에는 그것도 아닌 개똥벌레였다면 엽기적이고 가학적이고 심한 우울한 가사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많은 대중들이 위로를 받는다고 하여 노래를 찾아보았다. 가사는 살다가 어느 날인가 스스로 하늘에 빛나는 별이 아닌 땅에 기어 다니는 개똥벌레라는 것을 알게 되지만, 개똥벌레도 스스로 조그만 가치의 빛을 낸다면 누군가에겐 비록 작더라도 소중한 빛을 내는 반딧불일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는 내용이었다. 이 노래는 지난해 말부터 우울했던 대중들에게 많은 위로가 되었다. 잔잔한 음률에 남성 가수의 담담하고 고즈넉한 목소리 톤으로 부른 ‘나는 반딧불’이다. 잔잔한 음률에 젖어서 찬찬히 가사 내용을 음미해보면 2·30대들의 아픔이 느껴진다. /나는 내가 빛나는 별인 줄 알았어요/한 번도 의심한 적 없었죠/몰랐어요 난 내가 벌레라는 것을/그래도 괜찮아 난 눈부시니까/하늘에서

재테크

더보기

2025년 7월, 처음 시작하는 투자자를 위한 자산배분 전략

2025년 7월 3일, 미국 증시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새로운 투자 국면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 4월 이후 역대급의 V자 반등이 나타나면서 주식시장 상승에 따른 투자자들의 관심 역시 크게 높아졌다. 특히 이제 막 투자를 시작하거나 자산배분을 고민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앞으로의 시장 방향성에 대한 기대와 불확실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는 시점이다. 자산배분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투자 전략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위험자산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자산배분을 어떻게 시작할지 더욱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칼럼에서는 2025년 7월의 금리 사이클과 현재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처음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하는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포트폴리오의 목표 비중을 설정하는 일이다. 이는 금리 사이클의 흐름을 이해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전략적으로 자산 비중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필자는 과거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 사이 비중을 축소하고, 이후 2020년 4월부터 하반기까지 다시 비중을 확대해 코로나19 위기 상황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