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4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심리학이야기

파울로 코엘료가 주는 연필 선물

URL복사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이야기(644)

새해 첫날 서설이 내렸다. 흰 눈에 덮인 세상을 보면서 SF 영화처럼 한순간에 손발이 다 얼도록 눈사람을 만들며 뛰어놀던 어린 시절 동심 세계로 들어갔다. 새해 첫 글은 서설처럼 덕담으로 시작하고 싶다.

 

세계적인 작가 브라질 소설가 파울로 코엘료의 수필집 ‘흐르는 강물처럼’에 실린 유명한 “연필 같은 사람”을 소개한다. 할머니는 사랑하는 손주에게 연필을 주며 장성하여 어른이 되면 연필 같은 사람이 되면 좋겠다고 말한다. 평범한 연필 같은 사람이 되라는 말에 손주가 의아해하는 모습에 할머니는 이야기보따리를 풀어 놓는다.

 

“연필은 다섯 가지 특징이 있다. 어른이 되어 큰일을 하게 되었을 때 연필을 쥐고 이끄는 손 같은 존재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누군가는 그 존재를 신이라고 부르기도 한단다.” 첫 번째 교훈은 겸손이다. 그는 첫 번째로 연필을 쥐고 있는 손을 이야기했다. 연필이 손에 있음을 인식하는 순간에 자만하지 않고 겸손해진다. 살다 보면 우연으로 인해 살아가는 길이 바뀌는 것을 경험한다.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 자체가 우연의 시작인 것을 보면 첫 번째 교훈이 손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두 번째는 가끔은 쓰던 것을 멈추고 연필을 깎아야 할 때가 있다. 당장은 아프고 힘들어도 심을 더 예리하게 쓸 수 있으니 그렇게 고통과 슬픔을 견뎌내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래야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다.” 두 번째 교훈은 인내다. 연필심은 사용할수록 반드시 뭉툭해지기 때문에 새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깎아야 한다. 무쇠가 좋은 검이 되기 위해서는 수많은 망치질과 담금질을 견뎌야 하듯이 모든 일에는 노력과 아픔과 고통이 따름을 견디고 극복해야 한다.

 

“세 번째는 실수를 지울 수 있는 지우개가 달려있는 것이다.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오히려 옳은 길로 가도록 이끌어준다.” 세 번째 교훈은 실수를 바로잡는 용기다. 인간이기에 당연히 실수를 한다. 실수는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인간적’이다. 결국 누구나 실수는 한다. 다만 반복하는 사람과 반복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 뿐이다. 그래서 늘 실수를 반성하게 된다. 다만 바로잡는 용기가 필요하다. 지난해 유명한 배우가 잠깐의 실수를 극복하지 못하고 생을 달리하는 선택을 한 것이 심하게 아쉽고 안타까웠다.

 

“네 번째는 연필은 바깥의 나무보다 안에 있는 심이 더 중요하다.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일과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네 번째 교훈은 연필심과 같은 건강한 마음이다. 연필은 심만 있어도 안 되고 나무만 있어도 안 된다. 반드시 나무와 심이 모두 있어야 한다. 사람은 건강한 육체와 건강한 마음이 있어야 함과 같다. 겉은 보이지만 마음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늘 자신의 마음의 상태를 보고 마음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마음이 무너지면 모든 것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는 연필은 항상 흔적을 남긴다는 것이다. 살면서 행하는 모든 행동과 일이 흔적을 남기는 것을 명심하고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늘 생각하면서 살아야 한다.” 다섯 번째는 연필이 지나간 흔적이다. 연필의 목적은 흔적을 남기기 위한 것이다. 그 흔적이 오래 남기 때문에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생각해보기를 권했다. 현대철학자 한나 아랜트는 악의 평범성을 말했다. 악이란 단지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않는 데서 시작된다고 했다. 자신의 행적이 영원히 남는 시대가 되었다. 인터넷의 발달로 영원히 지울 수 없는 디지털 박제가 되는 세상이 되었다. 작가는 자신이 행하는 일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볼 것을 권하고 상식과 양심에 맞는 행동을 할 것을 요구했다. 자신에게는 양심을 따르고 타인에게는 배려는 하는 것이 다섯 번째다.

 

이렇게 할머니는 손주에게 연필과 같은 삶을 살 것을 당부했다. 아마도 작가 파울로 코엘료가 진정으로 인류에게 가르쳐주고 싶은 교훈이었기에 울림으로 느껴진다. 새해가 시작되었다.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하고자 한다. 파울로 코엘료가 가르쳐준 지혜의 연필이 모두에게 새해 선물이 되어 삶에 굵고 진한 글씨체를 남기길 원한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10월, 자산배분으로 읽는 미국 증시의 향방

2025년 10월, 투자자들의 시선은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는 미국 증시로 향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대표 지수인 S&P500과 나스닥100은 여전히 세계 금융시장의 바로미터로서 기능하며, 국내 투자자들의 자산배분 전략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번 칼럼에서는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과 금리 사이클, 그리고 투자심리를 보여주는 공포·탐욕 지수를 중심으로 현 시점의 시장 위치를 진단하고, 자산배분 투자자가 취할 수 있는 전략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기준금리 사이클의 흐름을 살펴보자. 2023년 8월 미국 연준은 마지막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금리고점(A)을 형성했다. 이어 2024년 9월 첫 번째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서 사이클은 B 구간으로 진입했고, 같은 해 12월 FOMC에서 추가 인하가 단행된 뒤 연준은 금리를 동결해왔다. 그러다 2025년 9월, 연준은 본격적인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보다는 예방적 성격의 ‘보험성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이는 금리 사이클상 자산시장이 C 구간에 점차 근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다.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에 비춰 보면 현재는 B~C 구간의 최후반부에 해당하며, 전통적으로 위험자산의 마지막 랠리가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