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신년기획]연도별 전국 치과의원의 소득분포 추이

URL복사

서울·경기·부산·광주 등 인구밀집지역 ‘대도시’보다
충청·영남·강원 등 ‘중소도시’가 알짜

서울·경기·부산·광주 등 인구밀집지역 ‘대도시’보다
충청·영남·강원 등 ‘중소도시’가 알짜
2010·2015년 전국 치과의원 매출·영업비용·영업이익·의료기관 수 집중분석

 

 

본지가 2019 기해년 새해를 맞아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의 소득분포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신년기획을 준비했다. 17개 광역시도별 의원급 의료기관의 수부터, 매출액, 영업비용, 영업이익 등 지역별, 연도별 소득분포 추이를 낱낱이 살펴볼 계획이다.

 

이를 통해 치과의사 과잉공급과 지역 간 의료공급의 불균형 등 시기별로 개원환경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치과의원뿐 아니라 일반의원과 한의원도 비교대상에 포함시켜, 우리나라 1차 의료기관에서 치과가 차지하는 비중도 살펴볼 예정이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통계청은 지난 2010년부터 5년 단위로 경제총조사를 발표하고 있다. 이 통계는 각 산업분야의 매출액과 영업비용, 영업이익 등 경기 및 기업경영과 관련한 거의 모든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의원급 의료기관의 경제지표 역시 ‘보건업’이라는 카테고리로 제공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의료기관의 규모에 따라 ‘병원’과 ‘의원’으로만 집계된 자료를 볼 수 있다. 즉 치과의원, 일반의원, 한의원 등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의원급 의료기관의 모든 경제지표를 일괄적으로 제공할 뿐, 각 종별로 나눠진 통계자료는 제공치 않고 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바로 마이크로데이터다. 마이크로데이터란 통계자료 분석에 사용된 원 데이터를 가리킨다. 즉 통계청이 우리나라 의원급 의료기관의 경제지표를 발표할 때 사용된 원 데이터인 셈이다. 여기에는 종별에 따른 의원급 의료기관의 경제지표 뿐 아니라 17개 광역시도 등 지리학적 정보 등 모든 데이터가 포함돼 있다. 이 마이크로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구계획서를 작성 및 제출하고, 통계청의 최종 승인이 떨어져야 한다.

 

물론 기존에도 의원급 의료기관의 매출액을 분석하고 있는 기사와 논문은 있어왔다. 하지만 데이터 수집의 한계로 인해 건강보험 진료비만을 다룬다던지, 특정 지역의 의료기관만을 분석대상으로 삼아왔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번 신년기획에서는 통계청에서 발표한 경제총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전국 17개 광역시도별 의원급 의료기관의 매출액, 영업비용, 영업이익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매출액은 보험과 비보험을 모두 포함한 의원급 의료기관의 총 매출을 가리킨다. 영업비용 역시 임대료, 인건비, 각종 의료장비 및 재료 구입 등 의료기관을 운영하는 데 사용된 모든 비용을 말하며,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영업비용을 제외한 순이익을 뜻한다. 특히 이를 2010년과 2015년 두 시기로 나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개원환경 변화도 엿볼 수 있도록 각 지표에 대한 해당연도의 순위도 포함시켰다. 참고로 2020년을 기준으로 한 통계청의 경제총조사는 2022년 발표될 예정이다.

 

2010~2015년, 일반의원·한의원 보다 치과 증가율 높아

인구 증가율 고작 0.05%…의원급 의료기관 증가율은 11.89%

 

 

먼저 종별에 따른 연도별 전국의 의원급 의료기관 수를 살펴보자. 2010년을 기준으로 일반의원이 2만6,133개소로 가장 많다. 치과의원의 경우 1만4,261개소로 그 뒤를 이었으며, 한의원은 1만1,701개소로 3위를 차지했다. 특히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는 인구총조사를 통해 2010년 당시의 인구 10만명당 의료기관 수를 환산해봤다. 일반의원의 경우 10만명당 53.79개로 가장 많았고, 치과의원은 29.36개, 한의원 24.09개 순이었다.

 

2015년 의원급 의료기관 수 역시 2010년과 마찬가지로 일반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순으로 많았다. 하지만 이 5년간 일반의원에 비해 치과의원과 한의원이 크게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의원의 경우 2015년에는 2만8,690개소로 2010년 대비 9.8% 증가한 데 반해, 치과의원은 14.3% 증가한 1만6,303개소, 한의원은 13.6% 증가한 1만3,296개소로 집계됐다.

 

 

특히 인구총조사와 경제총조사를 통해 5년간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면, 인구증가율 보다 의원급 의료기관 수 증가율이 훨씬 가파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는 2010년 4,858만293명에서 2015년 5,106만9,375명으로 0.05% 증가한 데 반해, 의원급 의료기관은 2010년 5만2,095개소에서 2015년 5만8,289개소로 11.89%나 증가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치과의원이 가장 높아

매출과 영업비용, 영업이익 등은 종별에 따른 차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월평균 금액으로 환산했다. 먼저 2010년 당시 일반의원의 월평균 매출은 4,25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3,560만원의 매출을 올린 치과의원이 차지했으며, 한의원은 2,100만원으로 3위를 기록했다. 매출에서 영업비용을 제한 영업이익 역시 1,370만원을 기록한 일반의원이 1위를, 치과의원과 한의원은 각각 1,320만원과 760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2010년 경제지표에서 어떤 종별의 의료기관이 가장 효율적인 경영을 했는지 살펴보기 위해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을 살펴본 결과 치과의원이 37.07%로 가장 높게 나왔고, 그 뒤를 36.19%를 기록한 한의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의원의 경우 월평균 매출액이 가장 높았지만, 그 만큼 영업비용 비율도 높아,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32.2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15년 매출 역시 일반의원이 5,850만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과의원이 4,820만원, 그리고 한의원이 2,66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 순위도 일반의원(1,990만원), 치과의원(1,740만원), 한의원(910만원) 순으로 변화가 없었지만,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에서는 치과의원이 36.09%로 1위를 차지했다.

 

5년간 의료기관 증가율, 1등은 경북…서울은 이미 포화

이제부터는 치과의원을 중심으로 보다 자세히 살펴보자. 먼저 연도별 전국의 치과의원 수를 살펴보면, 2010년 치과의원 수는 서울이 4,327개로 가장 많았다. 경기도가 3,134개로 2위를 차지했으며, 부산이 1,032개로 3위, 대구가 718개로 4위, 경남이 688개로 5위를 차지했다. 예상대로 경남을 제외하고는 특별시나 광역시급의 대도시에 치과가 많이 몰려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15년도 이 같은 양상에는 큰 변함이 없었다. 814개로 한 계단 뛰어오른 경남과 대구의 순위가 바뀌었을 뿐 5위 안에 대도시는 그대로다. 5위권 밖에서도 2010년과 마찬가지로 인천이 804개로 6등, 경북이 621개로 7등, 광주가 566개로 8등을 기록하며 순위를 지켰다.

 

하지만 5년간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엿볼 수 있는 증가율에서는 주목할 만한 수치가 나타났다. 먼저 서울의 경우는 2010년 4,327개에서 2015년 4,588개로 5년간 6.0% 증가했는데, 이는 2010년의 비교상대가 없는 세종시를 제외하면 16개 광역시도 중 최하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그만큼 서울이 포화돼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증가율 1위는 경북이 차지했다. 경북은 2010년 495개에서 25.5% 증가한 621개를 기록했다. 그 뒤를 근소한 차이로 충북(23.3%)과 제주(23.2%)가 나란히 차지했다. 전북이 21.1%, 전남이 20.5%로 4위와 5위에 각각 랭크되는 등 대도시 보다는 중소도시의 증가율이 높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월평균 매출, 2010년 강원 1위 2015년 충북 1위

매출에서도 중소도시의 강세는 지속됐다. 2010년의 경우 월평균 매출이 가장 높은 곳은 4,050만원을 기록한 강원이었다. 3,950만원을 기록한 경북이 그 뒤를 차지했고, △충남(3,830만원) △충북(3,810만원) △경남(3,780만원) 순으로 5위권을 형성했다. 광역시 급에서는 3,770만원을 기록한 대전이 6위에 랭크되며 그나마 체면을 차렸고, △부산 11위(3,460만원) △서울 14위(3,210만원) △광주 15위(3,110만원) △대구 16위(3,000만원) 등 대부분의 대도시가 하위권에 집중됐다.

 

 

2015년에는 상위권에서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2010년 1위를 차지했던 강원이 5,260만원을 기록하며 3위로 밀려났고, 2010년 4위를 차지했던 충북이 5,410만원을 기록하며 그 자리를 차지했다. 충남이 5,320만원으로 2위를, 그리고 전북과 대전이 각각 5,000만원을 기록하며 공동 4위를 차지했다. 2015년과 마찬가지로 △부산 13위(4,720만원) △대구 14위(4,390만원) △서울 15위(4,370만원) △광주 17위(4,180만원) 등의 대도시가 하위권을 형성했다.

 

증가율에서는 2010년 12위에서 2015년 4위로 8계단이나 뛰어오른 전북이 49.3%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으며, 대구가 46.3% 상승하며 2위를, 제주가 44.1%로 3위, 전남이 42.3%로 4위, 충북이 42.0%로 5위를 기록했다. 

 

영업비용, 임대료·인건비 보다 재료비에 더 영향받나?

임대료에서부터 인건비에 이르기까지 의료기관 운영에 필요한 모든 경비가 포함된 영업비용의 지역적 차이는 어떨까? 임대료와 인건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중심으로 영업비용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먼저 2010년 치과의원의 월평균 영업비용을 살펴보면, 강원이 2,530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2,490만원을 기록한 경북과 충남이 공동 2위를 차지했으며, 2,450만원의 대전이 4위를, 2,420만원의 인천이 5위를 차지했다. 부산의 경우 2,200만원으로 10위를, 서울은 2,160만원으로 11위, 광주와 대구가 각각 1,930과 1,850만원으로 15, 16위에 랭크됐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뤄 짐작해보면, 영업비용의 경우 임대료와 인건비 보다는 재료나 장비 등 의료행위와 관련된 제반사항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풀이된다. 즉 강원도와 경북, 충남 등 지방 중도시라 할지라도, 해당지역의 도심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면서 임대료나 인건비도 어느 정도 높게 책정된 반면, 의료기관 수가 현저히 적기 때문에 대도시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 재료나 장비를 구입해온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상위에 랭크된 강원의 경우 2010년 당시 305개, 경북과 충남은 각각 495와 422개로 적은 수의 의료기관이 운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세는 2015년에도 확인할 수 있다. 순위에서는 조금씩 차이를 보이지만, 2015년 역시 충남이 3,390만원으로 1위를, 충북이 3,370만원으로 2위, 강원이 3,250만원으로 4위에 랭크됐고, 반면 △부산 9위(3,090만원) △서울 13위(3,010만원) △대구 16위(2,700만원) △광주 17위(2,650만원) 등 상대적으로 의료기관이 많은 대도시가 하위권에 랭크된 것을 볼 수 있다.   

 

제주 영업이익 증가율 1위, 5년간 52.8% 증가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영업비용을 뺀 순이익을 뜻한다. 2010년 치과의원의 경우 대략적으로 매월 1,320만원의 영업이익이 발생했고, 2015년은 이 보다 31.8% 증가한 1,740만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2010년 전국 영업이익 1위는 강원이었다. 강원은 1,520만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충북이 1,500만원으로 2위를, 경북이 1,460만원으로 3위, 경남이 1,420만원으로 4위, 전남이 1,390만원으로 5위에 랭크됐다. 의료기관이 밀집된 대도시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하위권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1,040만원을 기록한 서울이 16위로 최하위를 기록한 데 이어, 부산이 1,260만원으로 11위, 경기가 1,250만원으로 12위, 대구가 1,150만원으로 15위를 기록했다.

 

 

2015년에는 충북이 1위에 올라서며 강원을 따돌리긴 했으나, 2010년과 마찬가지로 충남, 경남, 전북, 전남 등이 상위권을 그대로 지켰으며, 서울, 경기, 부산, 대구, 광주 등도 하위권에 머물렀다.

 

증가율 측면에서는 제주도가 1위를 차지하며,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2010년 1,230만원으로 13위에 머물던 제주는 2015년 1,880만원으로 6계단을 뛰어오르며 7위에 랭크됐다. 증가율은 52.8%로 1위였다. 2위는 1,150만원에서 1,690만원으로 47.0% 오른 대구가, 3위는 1,340만원에서 1,930만원으로 44.0% 오른 충남이 차지했다. 5년간 가장 낮은 영업이익 증가율을 보인 지역은 인천으로 1,300만원에서 1,640만원으로 26.2% 증가하는 데 그쳤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서 서울 등 10개 광역시도 마이너스 증가율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은 영업비용을 얼마나 최소화하면서 이익을 극대화했는지 엿볼 수 있다. 즉 얼마나 경제적으로 운영해왔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라 하겠다.

 

 

2010년의 경우 전국 치과의원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은 35.5%로 나타났다. 2015년의 경우 0.9%p 하락한 34.6%를 기록했다. 앞선 표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치과의원의 경우 5년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5.6%와 51.5% 늘어났으나, 영업이익도 57.8%가 늘어나면서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했다.

 

2010년의 경우, 전남이 매출액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39.8%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전북이 39.7%로 2위, 충북이 39.5%로 3위, 대구가 38.4%로 4위, 광주가 38.0%로 5위를 차지했다. 하위권의 경우 부산이 11위, 경기 12위, 대전 13위, 충남·인천 14위를 기록했다.

 

2015년에는 2010년 9위를 기록했던 경북이 39.4%로 1위를 차지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그 뒤를 제주가 39.3%로 2위, 경남이 38.8%로 3위, 대구가 38.5%로 4위, 강원이 38.3%로 5위를 차지했다. 울산, 부산, 대전, 경기, 인천 등이 11위부터 15위를 차지하면 하위권을 형성했고, 서울의 경우 2010년과 2015년 모두 16위로 최하위를 기록했다(2015년 17위 세종).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의 증가율을 살펴보면, 서울, 부산,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충북, 전북, 전남 등 10개의 광역시도가 마이너스를, 플러스를 보인 곳은 경북, 제주, 경남, 충남, 강원, 대구 등 6개에 불과했다.  

 

전영선 기자 ys@sda.or.kr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맞는 말이라도 항상 옳은 것만은 아니다
살다보면 맞는 말인데 옳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것들이 있다. ‘맞다·틀리다’는 참과 거짓을 나누는 명제로 객관적인 관점이고, ‘옳다·그르다’는 주관적 관점이기 때문이다. 객관적으로는 맞는 것이지만 주관적으로는 옳다고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 것이다. 옳고 그름에 대한 인식은 선거에서 보였듯이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다. 반대로 옳다고 하는 말이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자신이 항상 옳다고 생각하는 시어머니 잔소리나 혹은 직장 상사나 선생님, 선배 혹은 부모가 될 수도 있다. 얼마 전 전공의대표가 대학 수련 병원 시스템을 이야기하면서 “의대 교수는 착취사슬 관리자, 병원은 문제 당사자”라고 표현하였다. 객관적으로 보면 우리나라 대학병원 현 상태를 명쾌하게 한마디로 정의한 깔끔한 표현이었다. 다만 모두가 알고 있지만 차마 입 밖으로 낼 수 없었던 사실로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 표현을 보면서 뭔가 마음이 불편함을 느꼈다. 수련의가 지도교수들을 착취의 관리자라고 표현한 것을 보면서 내내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도제식 교육이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직업 중 하나가 의료계인데 이런 도제식 교육적 개념을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기술자는 교과서에

재테크

더보기

미국증시 조정과 연준의 첫 번째 금리인하

조정받기 시작한 미국증시 3월말에 고점을 만든 미국증시는 4월 1일부터 3주 연속 하락했다. 지난주에는 50일 이평선을 하회하며 하루도 반등 못하고 매일 하락해서 미국주식 투자자들의 근심이 높아졌다. 다행히 이번 주는 20주 이평선 부근에서 반등에 성공해 한숨을 돌리는 모습이다. 지난 3월 14일에 기고한 칼럼에서 첫 번째 금리인하 시점이 6월이라 가정했을 때 4월 전후 주식시장 조정 가능성에 대해 미리 다뤄봤다. 기준금리 사이클 상으로 첫 번째 금리인하 전후에 미국 주식시장의 조정 및 횡보구간이 나오게 되는데, 마침 3월 FOMC를 앞두고 그동안 강세장을 이끌어왔던 AI 대표 주식 엔비디아가 주당 $1,000을 앞둔 상황에서 큰 변동성을 보였다. 당시 S&P500 공포탐욕 지수도 극도의 탐욕에서 벗어나서 추세를 벗어나 점차적으로 하락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장의 단기 고점 가능성에 대해서 2주 전에 유튜브 영상을 통해 추가로 분석한 적이 있다. 필자는 대중의 심리 지표를 활용해 시장의 변곡점의 경로를 예상하는데, 공포탐욕 지수의 추세와 put-call 옵션 비율, 기관투자자들의 매수-매도, 거래량, 차트 분석 등 다양한 변수를 종합해 금리 사이클과 비교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