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스펙병원교육개발원(대표 김민정·이하 브레인스펙)이 오는 20일 서울 방배동 브레인스펙 세미나실에서 ‘우리치과만의 특별한 임플란트 상담’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치과 실장 및 팀장 등 스탭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최규영 강사(브레인스펙)가 연자로 나서 임플란트 상담 활용법을 강연한다. 최규영 강사는 기초상담법, 전문상담법, 임플란트 상담 시 필요한 사항을 짚어주고, 어르신 임플란트 환자 심리를 활용한 공감 상담기법을 다룬다. 최 강사는 보험 임플란트 환자층을 사로잡는 상담기법, 어르신에게 신뢰받는 상담기법, 처지를 바꿔 생각하는 상담 노하우 등을 사례별로 풀어낼 예정이다. 이날 마지막 시간에는 △신뢰받는 우리치과만의 내규 만들기 △상담 케이스별 정리 활용하기 △환자 관리방법 등을 정리해 줄 계획이다. 브레인스펙 측은 “환자와 마주할 때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상담법부터 환자 케이스별로 상담하는 방법, 롤 플레이를 통한 실전 연습까지 단 한 명의 환자도 놓치지 않는 상담 노하우를 습득하는 유익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신종학 기자 sjh@sda.or.kr
경희대학교치과대학(학장 권긍록·이하 경의치대)이 주최하고, 경희치대·치의학전문대학원 동창회(회장 안민호·이하 경희치대동창회)가 주관하는 강동 ‘경희대학교 개교 70주년 학술대회’가 오는 27일 강동경희대병원에서 열린다. ‘맞이할 미래, 치과융합 디지털 세계로’를 대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는 최신 디지털 치의학 트렌드에 발맞춰 국내외 저명 연자들의 알찬 강연들로 구성됐다. 경희치대동창회 안민호 회장은 “경희대학교의 개교 70주년을 함께 기념하는 학술대회로서 더욱 의미가 깊다”면서 “최근 가장 핫한 이슈인 디지털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며, 틀에 박힌 식상한 내용보다는 디지털에 강세를 보이는 젊은 치과의사들을 연자로 초청해 기존 디지털 치의학 강연과 다른 새로운 측면에서 접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최용석 교수가 첫 번째 연자로 나서 ‘IT플랫폼 기반 치과검진시스템 개발과 발전방향’을 주제로 학술강연의 포문을 연다. 아울러 김성훈 교수가 바통을 이어받아 ‘디지털교정에서의 새로운 해석 : Roth? MBT? TWEeMAC Prescription!’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또한 노관태 교수가 연자로 나서 ‘In house Digital Dentu
대한턱관절교합학회(회장 이석형·이하 교합학회)가 오는 19일, 20일 양일간 서울아산병원에서 ‘2019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전신교합치료, evidence based 가능할까? △심미전악 수복을 위한 임플란트 수술 및 교합(guided implant surgery) 등을 핵심주제로 한 알찬 강연들로 구성됐다. 학술대회 첫째 날은 김진환, 김성욱, 박희주, 최병갑 원장 등이 연자로 나서 교합치료와 전신 관계, 심미적인 교합을 위한 수술 및 보철, 교합의 역사, 코골이·수면무호흡 총정리, 코골이장치 만들기 등의 내용으로 강연을 선보인다. 둘째 날은 해외연자 강연과 더불어 김성택 교수, 이계형 원장, 최희수 원장 등이 연자로 나서 스플린트 총정리, 치과경영세미나 및 스탭과 함께 듣는 강연으로 관심을 모을 전망이다. 김인혜 기자 kih@sda.or.kr
부산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원장 김현철·이하 부산치대)이 지난달 29일 서울 코엑스에서 ‘스마트 덴티스트리-Complication 본질을 꿰뚫다’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서울 세미나는 부산치대 재경동문을 위한 자리로, 매년 5월 부산에서 개최되는 정기학술대회 및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부산치대 주최 학술대회의 3대 축 중 하나에 해당한다. 올해로 6회를 맞은 이번 세미나에는 150여명이 참석, 약 300명에 달하는 재경동문회 회원의 절반가량이 참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학술대회는 △김용덕 교수(부산치대)의 ‘실패한 임플란트에서 배운다’ △이현원 원장(삼성치과)의 ‘From Vertical To Horizontal’ △장호열 원장(장호열치과)의 ‘예지성 있는 상악동 거상술-합병증의 예방과 처치’ 등 부산치대 출신 연자들의 강연으로 구성됐다. 부산치대 총동창회 김기원 회장은 “올해로 부산치대가 설립 40주년을 맞이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행사를 기획하고 있는데, 이번 재경동문 회원을 위한 학술대회에도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연말에는 부산에서 홈커밍데이도 예정돼 있다”며 “동문들의 많은 참여와 성원 바란다”고 말했다. 재경동문회 송호택 회장은 “
스트라우만이 지난달 21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하반기 서울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임플란트 디자인부터 보철까지 폭넓은 주제로 준비된 이번 세미나에는 양승민 교수(삼성서울병원 치주과)와 권용대 교수(경희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배아란 교수(경희대치과병원 치과보철과)가 연자로 참여했다. 양승민 교수는 ‘나는 왜 티슈 레벨 임플란트가 좋을까?’라는 주제로 티슈 레벨 임플란트가 가지는 장점과 스트라우만의 임플란트 표면 기술을 소개했다. 특히 양 교수는 스트라우만 티슈 레벨 임플란트가 장기 임상에서 가장 낮은 임플란트 주위염 발병률을 보였다고 강조했다. 권용대 교수는 ‘Straumann Roxolid, Does size matter?’를 주제로 스트라우만이 개발한 록솔리드 임플란트의 특장점을 설명하고 임상증례를 공유했으며, 배아란 교수는 ‘Reliability with Limitations: Titanium Resin Base Concept’을 주제로 Ti-base 타입 보철 제품인 스트라우만 Variobase의 장점과 사용 시 주의사항 및 보철 수복 사례들을 공유했다. 스트라우만 관계자는 “많은 분의 성원으로 이번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
대한악안면레이저치의학회(회장 은희종·이하 레이저치의학회)가 오는 13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표준숙련자 과정 및 레이저 전문 스탭 코스를 진행한다. 이날 표준숙련자 과정은 안형준 교수, 박정현 원장, 김현종 원장이 연자로 나서 △레이저 물리학 및 LLLT △레이저 치주치료와 심미치료 △레이저를 이용한 구강내 소수술 및 임플란트 치료 등에 대한 강연을 펼친다. 강연 후에는 서종진 원장이 레이저 핸즈온을 진행해 이해를 도울 전망이다. 레이저 전문 스탭 코스는 김지락 교수가 레이저의 기본원리와 안전 등에 대한 내용으로 강연의 포문을 연다. 아울러 레이저치의학회 은희종 회장이 직접 연자로 나서 치과레이저의 다양한 임상응용에 대해 소개한다. 아울러 임상희 원장이 레이저 핸즈온을 진행한다. 표준숙련자 과정과 레이저 전문 스탭 코스의 모든 강연과 핸즈온이 끝난 후에는 인증시험이 치러진다. 김인혜 기자 kih@sda.or.kr
대한치과위생학회(회장 김민정·이하 치위생학회)가 오는 19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추계 학술집담회를 진행한다. 이번 학술집담회는 ‘2019년 변화된 치과건강보험과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주제로 치과 건강보험과 관련된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대해 고민해보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먼저 정예영 강사(오스템KEDI)가 ‘치과건강보험 청구 꿀 팁’을 주제로 올해 주요 변경사항 정리를 시작으로 △자주하는 청구 실수 정리 △최근 심사 사례 및 경향 안내 △남들은 모르는 청구프로그램 200%활용 팁 등을 다룬다. 이어 정미 강사(브레인스펙)가 ‘치과건강보험을 대하는 치과위생사의 자세와 역할’을 주제로 △치과건강보험은 치과위생사에게 무엇인가? △건강보험에 있어 치과위생사가 해야 할 역할 △보험청구로 업무능력을 인정받는 방법 등을 강의할 예정이다. 치위생학회 측은 “우리 학회는 임상에서 회원들이 궁금해 하고 원하는 게 무엇인지를 항상 고민하고 있다”며 “이번 학술집담회는 놓치기 쉽고, 많이 궁금해 하는 치과건강보험에 관련된 내용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라고 전했다. 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심신치의학회(회장 홍정표)가 오는 20일,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를 개최한다. 푸르메재단 넥슨어린이재활병원 대강당에서 오후 1시부터 본격적으로 펼쳐지는 학술대회는 ‘치과 근무자의 스트레스’를 주제로 진행된다. 치과의사는 물론 치과위생사, 간호조무사, 치과기공사 등 치과근무자들의 스트레스는 날로 심해지고 있다. 치과를 둘러싼 환경, 환자와의 달라진 관계에서 오는 정신적 스트레스는 심신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최근 치과의료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치과의사 가운데 ‘최근 2주간 우울감 경험률’을 묻는 질문에 치과의사는 60.9%가 ‘그렇다’고 응답해 일반 국민에 비해 5.3배 높았다. 최근 1년간 자살생각 경험률 또한 10배 이상 높게 나타나는 등 치과의사의 극심한 스트레스의 위험성이 입증된 바 있다. 이러한 상황은 심신치의학회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번 학술대회는 전문가들과 함께 그 원인과 해결책을 모색하는 시간이 될 전망이다. 실제 일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스트레스 관리법을 직접 경험해보고 일상에 접목해보는 방법도 다뤄질 예정이어서 관심이 모아진다. 학술대회는 홍정표 회장(경희치대 구강내과)의 ‘스트레스와 건
대한여자치과의사회(회장 박인임·이하 대여치)가 지난 22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2019년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아는 만큼 보이는 작은 세상-Micro Dental Treat ment’를 대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450여명이 참가해 만석을 이뤄 다른 강의실에 강연을 영상으로 송출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이날 학술강연은 허경회 교수(서울대치의학대학원)가 첫 번째 연자로 나서 CBCT의 활용과 한계에 대한 내용으로 포문을 열었다. 아울러 일본 Mikkaichi Minami 덴탈클리닉 Masahiro Minami 원장과 Amakawa 덴탈클리닉 Yumiko Amakawa 원장이 바통을 이어받아 각각 △Introdusing Micro-dentistry in your clinical practice △Minimally invasive esthetic bonded restoration 등을 주제로 강연을 선보였다. 또한 곽영준 원장(연세자연치과)과 전윤식 교수(이대목동병원)가 연자로 나서 근관치료와 브라켓 교정 등에 대한 내용으로 강연을 펼쳐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외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치과촉탁의, 노인장기요양보험 등에 대한 영상강연과 함께 강경리 교수(강
대한턱얼굴미용외과연구회(회장 최진영)가 다음달 19, 20일 양일간 가톨릭대의과대학 응용해부연구소에서 ‘제8회 안면윤곽수술 및 턱얼굴미용수술 국제사체해부연수회’를 개최한다. 이번 연수회는 총 14명의 소수 정예로 이뤄질 예정이다. 첫째 날에는 김형모 원장이 연자로 나서 턱끝성형술(Genio plasty)과 하악성형술(Mandibuloplasty)에 대한 강연으로 시작을 알린다. 이어 이상윤, 최재평 원장이 연자로 보톡스, 필러, 돌출입수술(Anterior Segmental Os teotomy, ASO) 등에 대한 강연으로 이목을 사로잡을 전망이다. 아울러 아시아구강악안면외과학회 회장인 싱가포르 연자 Dr. Seah(아시아 구강악안면외과학회장)가 코성형술(Rhinopla sty)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둘째 날은 강영호, 최웅철, 안경천, 김인상 원장이 연자로 나서 광대성형술(Malarplasty), 안검성형술(Blepharo plas ty), 지방흡입술 및 지방이식(Liposuction/ Fat graft), 안면거상술(Facelift) 등에 대한 강연을 선보인다. 강연 후에는 연수회의 모든 수술을 직접 해볼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된다. 각 카데바당 실습인원이
브레인스펙병원교육개발원(대표 김민정·이하 브레인스펙)이 다음달 6일 방배동 브레인스펙 세미나실에서 ‘막막한 교정진료, 만만한 교정진료로 뛰어넘기’를 주제로 교정치료 관련 스탭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교정진료 스탭 세미나는 강혜민 실장(연세김영준치과)이 강사로 나서 교정치과에서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시작으로 △교정진료의 순서와 흐름 △교정은 언제 시작하고 언제 끝나는지 △교정진료에서 치료 단계별 기억법 △교정환자의 구강위생관리 등 교정진료에 관한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자세히 짚어준다. 브레인스펙 측은 “교정치과에 입사한 지 6개월이 돼 가는데 아직도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스탭, 일반진료를 하다가 교정과로 옮겼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경력자, 교정상담을 위한 진료 설명에 대한 지식이 필요한 실장 등을 위해 이번 세미나를 준비했다”고 전했다. 신종학 기자 sjh@sda.or.kr
오스템임플란트(대표 엄태관, 이하 오스템)가 오는 28일과 29일 양일간 서울 가산동 오스템 AIC 연수센터에서 ‘KaVo 교합기 활용과 임상 총의치’ 세미나를 진행한다. 이번 세미나는 김현웅 소장(이미지치과기공소)이 디렉터로 나서 교합기와 레진치 배열을 주제로 진행된다. 세미나 첫 날은 정확한 교합 재현을 위한 Mounting 원리와 함께 KaVo 교합기, 액세서리 구성 및 특징, 그리고 임상에서의 활용법을 소개한다. 둘째 날에는 임상모델 분석과 케이스별 레진치배열 이론강의가 진행된다. 김 소장은 Ivostar, Gnathostar 등 이보클라비바덴트의 레진치를 활용,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배열법과 치은 형성 과정을 데모를 시연한다.특히 이번 세미나는 참가자들이 레진치 배열과 치은 형성을 직접 실습하며, 디렉터의 원포인트 레슨을 통해 임상 스킬을 향상시키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오스템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Mounting 원리와 교합기 활용법, 그리고 레진치 배열의 기본을 탄탄하게 다질 수 있는 커리큘럼으로 구성했다”며 “임상과 강의 경험이 풍부한 디렉터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전했다. 한편 오스템은 교합설정을
오스템임플란트(대표 엄태관, 이하 오스템)가 지난달 20일 서울 가산동 오스템 AIC에서 ‘2019년도 하반기 치위생(학)과 교수세미나’를 개최했다. 전국 20여 곳 대학 치위생(학)과 교수 40여명이 참석한 이번 세미나는 치과건강보험 청구기준 관련 강의와 보험청구프로그램인 ‘두번에’ 실습교육으로 진행됐다. 먼저 홍선아 교수(대한치과교육개발원)가 ‘2019년 보험청구 이슈사항’을 주제로 강의에 나섰다. 홍 교수는 최근 변화된 보험청구 내용 뿐 아니라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꼭 알아야 할 이슈를 정리해 주었다. 이어 이선옥 교수(대한치과교육개발원)가 ‘케이스별 차트실습-보존, 보철’에 대해 다뤘다. 이 교수는 강의를 통해 복잡한 보존 청구기준을 명쾌하게 정리해 주목받았다. 이날 마지막 강의는 이수정 교수(대한치과교육개발원)가 ‘케이스별 차트실습-치주, 외과’를 주제로 헷갈리기 쉬운 치주, 외과의 보험청구 기준을 정리해주었으며, 차트 입력 등을 실습으로 진행해 참가자들의 니즈를 충족시켰다. 한편 오스템은 이날 세미나에서 병원사무관리사 안내도 진행했다. 병원사무관리사는 치과 스탭의 보험청구 지식과 실무능력, 병원관리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에 대해 경력과 시험
대한심신치의학회(회장 홍정표)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가 다음달 20일 푸르메재단 넥슨어린이재활병원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치과 근무자의 스트레스 관리(원인, 과정, 치료 이해)’를 주제로 △스트레스와 건강, 그리고 치의학(홍정표 교수·경희치대) △스트레스와 정서조절(조옥경 교수·서울불교대학원 심신통합치유학과) △Burning mouth syndrome 환자의 치료접근(Abiko 교수·일본심신치의학회장) 강연이 이어진다. 특히 ‘세대 간 문화적 차이와 스트레스’를 주제로 한 한성열 명예교수(고려대 심리학과)의 특강과 장영수 박사(서장심리상담센터 소장)의 ‘스트레스 관리법 실습’등이 관심을 모은다. 심신치의학회는 “치과 근무자들이 받는 스트레스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면서 “환자들은 왜 힘들어하는지, 치과 근무자들은 왜 다른 병원보다 더 많이 힘들어하는지, 치과의사들은 왜 다른 의사들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지 되짚어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스트레스의 원인과 과정을 살펴보고 전문가들의 명쾌한 조언을 청취하며 보다 행복한 치과 생활을 찾아가는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심신치의학회는 스트레
김지홍 원장(충주 효치과)의 ‘치과 운영 매뉴얼’이 출간됐다. 치과 개원 시 알아야 할 사항, 치과운영을 체계화할 수 있는 매뉴얼 등 김 원장의 개원 노하우가 담긴 책으로, 개원 준비부터 개·폐원 과정, 각종 제도 및 법규, 노무, 의료분쟁 등 개원의에게 필요한 정보를 담았다. 저자인 김지홍 원장은 2007년 개원 후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시스템과 매뉴얼의 필요성을 느껴 2012년 말 치과 매뉴얼을 완성했고, 다음 해인 2013년부터 치과의사 커뮤니티인 덴트포토에 그 자료를 공유했으며, 현재까지 3.000여명의 치과의사들이 공유하고 있다. ‘치과 운영 매뉴얼’은 덴트포토 공동구매와 미니숍을 통해 구입할 수 있으며, 주요 내용은 덴트포토 엑스포 강의실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관련 서식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