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오스템임플란트(대표 엄태관•이하 오스템)의 치과 종합포털 덴올이 신규 프로그램 ‘Journal Inside(저널 인사이드)’를 론칭한다. 저널 인사이드는 치과 임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양질의 논문을 리뷰하는 프로그램이다. 논문의 핵심을 요약해 짧고 간결하게 풀어주는 형태로 기존의 논문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고 있다. 지난 14일 첫 번째 편에서는 박창주 교수(한양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가 연자로 나서 ‘임플란트 표면 처리’를 주제로 강연했다. 박창주 교수는 첫 방송에서 지난 2020년 Coatings에 발표된 ‘Coating of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Implant Surface with a pH-Buffering Agent after Vacuum-UV Photofunctionalization’을 리뷰했다. 박 교수는 “논문이 임상에 도움이 된다는 건 모든 치과의사들이 알고 있지만, 바쁜 진료일상 가운데 양질의 논문을 선별해 골라보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저널 인사이드를 통해 논문을 짧고,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 임상의들에게 도움이 됐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저널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지씨코리아가 다음달 14일 지씨코리아 부산세미나실에서 ‘제2회 임상의를 위한 Advanced Resin Hands On Course’를 진행한다. 이번 핸즈온 코스는 경희치대 김덕수 교수와 부산치대 박정길 교수의 명쾌한 강의를 통해 임상에 필요한 실전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덕수 교수는 △치과용 접착제에 대한 이해와 종류에 따른 올바른 사용법 △뒤탈없는 구치부 복합레진 수복법 △올바른 Glass Ionomer 임상 적용 등 이론 강연에 이어 구치구 2급 복합레진 수복에 대한 레진 핸즈온을 진행할 예정이다. 박정길 교수는 △전치복 수복 클래스 Ⅲ, Ⅳ, Ⅴ △Diastema Closure를 심도 있게 다루며, 전치부 수복 클래스 Ⅳ와 Diastema Closure에 관한 풍성한 핸즈온 실습도 마련돼 있다. 핸즈온 코스 참가자에게는 50만원 상당의 제품이 실습재료로 제공된다. 지씨코리아 관계자는 “강연에서는 복합레진과 상아질 접착제의 올바른 선택과 이용방법에 관한 최신지견을 공유하고, 임상에서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증례와 함께 제시할 예정”이라며 “이론 강연과 함께 진행되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치과 디지털 커뮤니티 ‘덴트포토’가 치과의사 회원들의 추천을 통해 올해의 도서를 공개했다. 덴트포토는 지난 10월 1일부터 2개월간 덴트포토 치과의사 회원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도서를 추천받아 20권을 선정했다. 치과임상 분야에서는 대한나래출판사의 ‘iGBR-ESM의 새로운 시작’, ‘RELINING-Basic to Troubleshooting’, ‘Restorative Design & Practical Occlusion-보철 설계 & 설계집’, ‘달인이 될 수 있는 발치기법’, ‘메타 임플란트, 그리고 메타’, ‘전신질환 치과진료 약물처방’ 등 6권의 도서가 선정됐다. 또한 군자출판사의 ‘난생처음 치과데스크’, ‘접착치의학’, ‘치과개원 에센셜’ 등 3권의 도서, 그리고 치과계의 ‘100% 보험청구 가능한 IARPD 쉽게 도전하기’ 도서가 선정됐다. 이외에도 도서출판 웰 ‘누가 내 환자를 옮겼을까?’, 악어미디어 ‘치과개원의 디테일 2022’, 오스템 임플란트 ‘원가이드 시스템’, 라디오북 ‘작은 병원 생존 마케팅’이 추천도서에 이름을 올렸다. 인문교양 분야에서는 ‘국가는 무엇을 해야 하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회장 정진우·이하 구강내과학회) 전문학술대회가 지난 2일 경희대치과병원 강당에서 개최했다. ‘Oral Medicine : Exploration and Challenge into Oral Cancer & Digital Dentistry’를 주제로 펼쳐진 이번 학술대회는 ‘구강점막질환, 전암병소 및 구강암의 감별진단 및 치료’, ‘구강내과 전문의를 위한 디지털 덴티스트리’ 등 두 가지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주혜민 교수(부산치대 구강내과), 조성원 교수(국립암센터), 김주식 교수(서울대병원 치과)가 연자로 나서 구강암 감별진단부터 치료, 구강점막질환의 실제 등 임상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이 다뤄졌다. 또한 구강점막질환, 전암병소 및 구강암 진료 시 치과의사가 숙지해야 할 부분을 정확히 짚어주며 열띤 토론을 이끌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박지만 교수(서울치대 보철과)가 연자로 나서 구강내과 전문의를 위한 디지털 덴티스트리의 최신 지견을 소개하고 디지털 기술의 구강내과적 적용을 준비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구강내과학회 정진우 회장은 “매년 12월에 개최하는 전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올 한해도 숨 가쁘게 달려온 턱관절장애교육연구회(회장 김욱)가 올해 마지막 강연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지난 10일 서울역 한일빌딩 대강당에서는 ‘2023년 턱관절장애, 이갈이, 수면무호흡증 임상 완전정복을 위한 Advance 실습 Course’가 진행됐다. 턱관절장애 원데이 베이직 세미나를 이수한 25명의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한 실습과정으로, 김욱 회장(의정부 TMD치과)을 중심으로 윤현옥 원장(울산 우리치과), 조용일 원장(울산 웰컴치과), 김현철 원장(연세 베스트덴치과) 등 특강, 서울치대 구강내과 외래교수 및 구강내과 전문의인 턱관절장애교육연구회 임상지도의 남진우, 박원규, 김성헌, 김대중, 오정규, 최형순, 김형일 원장과 김주식 교수(서울치대)의 실습지도가 이어졌다. 턱관절장애의 대표적 10가지 증례에 대한 표준적 턱관절장애 진단분석검사를 시작으로, 교합장치요법 실습, 고농도 포도당 증식제를 사용한 턱관절 증식치료(Prolotherapy) 및 최신 PDRN 재생 주사요법, 이개측두신경차단마취와 상관절강 내 직접마취에 대한 강의 및 2인 1조로 실습 등 다채롭고 깊이있게 진행됐다. 측두하악관절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2023 아태안티에이징컨퍼런스(Asia Pacific Anti Aging Conference·이하 APAAC)가 지난 1~3일 대구 엑스코와 경북치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대구광역시가 주최하고 보건복지부 등이 후원하는 APAAC는 국내외 의료진 및 기업인 등이 참여하는 국제 학술프로그램이다. APAAC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APAAC 덴티스트리는 아태지역 치과 의료인 연수와 치과산업 육성에 앞장서고 있다. 올해 6회를 맞이한 이번 APAAC 덴티스트리는 이론과 핸즈온이 융합된 강연을 통해 임상 최신지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했고, 지역 산업체 투어를 진행하는 등 색다른 시도로 주목을 받았다. 치과의사 보수교육 4점이 인정되는 국제 규모 행사로 올해는 국내 치과의사뿐 아니라 중국, 일본, 몽골, 인도 베트남 등 14개국 200여명 참여로 성황을 이뤘다. 해외연자 3명을 비롯해 총 23명이 강연을 펼쳤고, 성형외과와 피부과 등 의과 분야 컨퍼런스도 동시에 진행됐다. 기자재전시에는 이젠임플란트, 세신정밀, 메가젠, 이마고웍스 등이 참여해 우수한 국내 제품을 소개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됐으며 올해 새롭게 선보인 미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치과수면학회(회장 이유미) 2023 추계학술대회가 ‘미래의 수면치의학 : 건강한 수면, 행복한 삶’을 주제로 개최됐다. 지난 10일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대강당에서 펼쳐진 이번 학술대회는 수면장애의 진단에 관한 최신 연구와 치료법, 인공지능을 적용한 사례와 관련한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이 됐다. 이비인후과, 신경과 등 의과적 관점에서 풀어낸 수면무호흡, 그리고 구강내과, 구강악안면외과, 교정과 등 치과적 접근법을 폭넓게 제시해 관심을 모았다. 인공지능의 발전이 수면치의학에 미칠 영향을 짚어보는 강연도 흥미롭게 진행됐다. 특히 치과수면학회는 현장강연과는 별도로 줌을 통한 온라인 강연으로 관심을 모았다. 온라인 강연은 보수교육점수가 인정되지 않더라도 학술강연은 꼭 듣고 싶은 회원들에게 좋은 호응을 얻었다. 학술대회는 4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정훈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시간 수면무호흡 진단’과 박윤경 원장(하나이비인후과병원 신경과)의 ‘Updates :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A’ 강연, 두 번째 세션에서는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or] ‘취리히&연세대 CE코스’가 지난달 24일과 25일 양일간 연세대학교와 덴티움 본사에서 열렸다. 유럽, 중동, 인도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세미나에는 3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지난달 24일 연세대학교에서 진행된 1일차 세미나에서는 ‘GBR과 연조직 처치, 최근 Ridge augmentation에 사용되는 재료’를 주제로 한 연세치대 치주과 정의원 교수, 차재국 교수, 박진영 교수, 이중석 교수의 강연이 진행됐다. 또한 WBA Implantologie에 특화된 취리히대학 Ronald Jung 교수의 임플란트 가이드 플래닝과 식립이론 강연도 눈길을 사로잡았다. 특히 가지와 수처 패드를 이용한 Incision & Suture technique 핸즈온은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평을 받았다. 25일 덴티움 본사에서 이뤄진 세미나는 △정성민 원장의 ‘Minimalism in dentistry’ △정의원 교수의 ‘Transmucosal(경점막) healing of GBR’ △취리히대학 Daniel Thoma 교수의 ‘디지털 워크플로우에서의 즉시 식립’ 등의 강연으로 구성됐다. 또한 △디지털 가이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한국접착치의학회(회장 박정원·이하 접착치의학회)가 지난 10일 여의도 하나금융프라자에서 ‘제29회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Encyclopedia of direct & indirect restoration’을 대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기초 이론부터 다양한 접착술식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로 개최 전부터 큰 기대를 모았다. 이를 입증하듯 강연장에는 참가자 400여명의 발길이 이어지며 성황을 이뤘다. 먼저 신요한 원장(연세웃는아이치과)이 ‘수복치료 시의 국소마취’를 주제로 학술대회의 포문을 열었다. 신요한 원장은 자입통과 주입통을 최소화하기 위한 해부학적·심리적 고려사항과 심도 있는 마취를 위한 기술에 대해 다뤘다. 이어 박성호 교수(연세치대)가 ‘광중합, 임상적으로 중요하지만 간과하고 있는 것들’을 주제로 수복재료의 광중합과 임상에 관련된 주목할 만한 연구결과를 공유했고, 김현정 교수(연세치대)는 ‘치과용 접착의 과거 그리고 현재’를 주제로 접착치의학 발전에 기여한 기념비적인 사건과 최신 연구동향을 소개해 관심을 집중시켰다. 신주섭 원장(미치과)은 ‘임상가를 위한 전치부 composit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or]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지난달 18일 대구무역회관에서 ‘세라핀 핸즈온 세미나’를 성황리에 마쳤다. ‘즉시 적용 가능한 투명교정 실전 세미나’라는 부제로 진행된 이번 세미나에서는 투명교정 전반에 대한 강의와 ‘구강스캔부터 어태치먼트 부착까지’라는 주제의 핸즈온이 진행됐다. 세미나에는 천주희 원장이 연자로 나서 △투명교정 소개 및 특장점 △투명교정 도입을 위한 실전가이드 △증례를 통한 투명교정 적용과 효과적인 진료 방법 △보철물의 완성도를 높이는 투명교정 등 여러 상황에서의 활용법을 공유해 큰 호응을 얻었다. 덴티스 관계자는 “△투명교정 시작을 고민하는 분 △투명교정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 △투명교정 적용 케이스에 확신이 없으신 분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핸즈온은 실전에 충실한 강의와 가감 없는 노하우 공유로 큰 호응을 얻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세미나에 참석한 박준범 원장은 “투명교정을 하면서 어떤 케이스를 선택해야 하는지, 그리고 치아가 어떤 방식으로 움직이는가에 대한 궁금증으로 참석하게 됐는데, 이번 세미나를 통해 많은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전치부 보철을 한다고 하더라도 교정과 보철을 적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공직치과의사회(회장 권긍록·이하 공직지부)가 지난 2일 서울대치과병원 대강당에서 2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안티에에징 시대의 치과임상’을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총 9인의 국내 저명연자들이 다양한 임상분야의 최신지견과 응급처치에 대한 심도 있는 강의가 진행됐다. 학술대회에서는 △얇은 잇몸 두껍게 만들기(서울치대 김성태 교수) △가철성 의치를 위한 임플란트 수와 위치 및 설계(강릉원주치대 박찬진 교수) △치과에서의 긴급과 응급상황(서울치대 김명환 교수) △Endodontic treatment work in the small place(백&허치과 백승호 원장) △중장년 병적 치아이동 시 항노화를 위한 교정치료(연세치대 이기준 교수) △총의치 인상의 개념과 인상기법(경희치대 노관태 교수) △치주-임플란트 환자 상황별 대처법(서울치대 조영단 교수) △파노라마 방사선영상 바로보기(서울치대 이삼선 교수) △100세 시대에 피하기 힘든 균열치아-이것만은 알아둡시다(연세치대 신수정 교수) 등의 강연이 펼쳐져 큰 호응을 받았다. 학술대회 이후 진행된 포스터 시상에서는 ‘Dimensi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측두하악장애학회(회장 김영준) 2023 추계학술대회가 ‘알쏭달쏭 TMD, 적절한 평가와 진단’을 주제로 치과계를 찾아온다. 오는 17일 연세대치과병원 7층 강당에서 개최될 이번 학술대회는 턱관절장애 평가를 위한 기초학부터 임상평가, 감별진단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할 예정이어서 학회 회원은 물론 턱관절장애 진료에 관심있는 개원의의 관심을 집중시킬 전망이다. 학술대회는 ‘턱관절장애 평가를 위한 기초학’ 세션으로 시작한다. 관련 임상해부학에 대한 김희진 교수(연세치대 구강생물학교실)의 강연, 턱관절장애 영상검사를 짚어줄 이채나 교수(연세치대 영상치의학과)의 강연, 턱관절장애의 혈액검사를 주제로 한 장지희 교수(서울대치과병원 구강내과)의 강연으로 구성된다. 턱관절장애 평가를 위한 준비를 마쳤다면 ‘턱관절장애 임상평가’ 세션으로 넘어간다. 김형준 원장(오에프피구강내과치과)의 ‘턱관절장애의 기능검사’, 김혜경 교수(단국치대 구강내과)의 ‘The evolving concepts of TMD etiology’ 강연으로 실제에 다가선다. 그리고 마지막 세션은 ‘턱관절장애의 감별진단’으로 조상훈 원장(조은턱치과)이 연자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회장 정진우·이하 구강내과학회)가 지난달 18~19일 양일간 일본 후쿠오카 치쿠시노시 평생학습센터에서 개최된 ‘제21회 아시아 구강안면통증측두하악장애학회(Asi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AOT) 국제학술대회’에 참가, 우리나라의 학문적 역량을 과시했다. 1988년 창립된 AAOT는 현재 한국, 일본,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등을 회원국으로, 구강안면통증 및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연구성과와 임상경험을 나누는 학술단체로 성장해오고 있다. 학술대회 하루 전인 지난달 17일에는 AAOT council meeting이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정진우 회장(서울치대)이 AAOT 차기회장으로 선출됐으며, 2024년에는 대만, 2025년에는 태국에서 AAOT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본격적인 학술대회에서는 Country representative session 좌장을 정진우 회장이 맡은 가운데, 어규식 교수(경희치대)가 ‘Pain. Is it a spear or a shield?’, 박지운 교수(서울치대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최소침습 임플란트 관련 학술활동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 AMII(Academy of Minimally Invasive Implantology) 임상교육원(교육원장 민승기)이 2023년 하반기 ‘Channel AMII Live Meeting(이하 라이브미팅)’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지난 3일 서울SC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이번 라이브미팅은 ‘임플란트 치료 트렌드 변화를 선도하는 AMII 최소침습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기대와 확신’을 이라는 주제로 열렸다. 이날 행사는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돼 최소침습 임플란트에 관심있는 치과의사가 대거 참가했다. 전국 주요 도시의 AMII 임상교육원을 연결,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된 라이브미팅은 AMII 임상교육원장인 민승기 원장(민승기브이라인치과)의 오프닝으로 시작됐다. 먼저 이은택 원장(고구려치과)이 AMII GPS 디지털 가이드를 이용해 좁은 골폭에서도 문제없이 수술하는 과정을 선보였으며, 이어 길대현 원장(서울0.1치과)이 최소침습적 상악동거상술을 동반한 발치 후 즉시 식립을 진행, 초기고정력을 얻기 어려운 치조골에서도 완벽하게 수술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해 주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양악수술학회(회장 이상휘)가 오는 16일 ‘구강스캐너의 교정치료 및 턱교정수술에서의 활용’을 주제로 학술집담회를 개최한다. 권민수 원장(올소구강악안면외과치과)의 ‘디지털 턱교정수술을 위한 자료채득과 구강스캐너’, 이현종 교수(연세대치과병원 보철과)의 ‘구강스캐너의 교정치료 및 턱교정수술에서의 활용-원리 및 응용’, 오경철 교수(연세대치과병원 보철과)의 ‘구강스캐너의 교정치료 및 턱교정수술에서의 활용-임상적 활용’ 강연이 예정돼 있다. 구강스캐너 핸즈온도 준비된다. 16일 오후 4시부터 서울아산병원 연구원지하대강당에서 펼쳐질 이번 학술대회는 양악수술학회의 전문성이 강조된 교정치료와 턱교정수술, 그리고 구강스캐너의 임상 활용도를 높여줄 수 있는 강연으로 회원들의 만족도를 높일 전망이다. 양악수술학회의 이번 학술집담회는 치과의사 보수교육 2점이 인정되며,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14일까지 사전등록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