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즐거운 치과생활

손상된 치아를 재건하는 보철치료. 어떤 재료로 치료되나?

URL복사

글_백장현 교수(경희대치과병원)

치과 보철물은 치아의 일부 혹은 전체를 대체하거나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공적인 수복물로,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재료가 사용됩니다.

 

각 재료는 고유한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자의 구강상태 및 요구를 고려하여 재료를 선택하게 됩니다.

 

 

⁂금합금(Gold)

골드는 치과 보철물 재료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재료 중 하나로,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잘 부식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잇몸에 자극이 적어 생체친화성이 우수하고, 연성을 갖고 있어 치아가 맞물리는 모양대로 보철물의 형태가 조금씩 변화할 수 있어 오래 사용해도 치아건강 유지면에서 우수합니다. 그리고 치아와 비슷한 정도로 마모되기 때문에 맞물리는 반대편 치아와의 마찰도 적습니다. 다만,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 등 온도에 민감하고, 색상이 금색이기 때문에 주로 뒤쪽 어금니와 같은 눈에 잘 띄지 않는 부위에 사용됩니다.

 

 

⁂금속+세라믹

PFM/PFG (Porcelain Fused to Metal/Gold)

 

PFM은 금속 위에 도자기를 덧씌운 보철물로, 금속의 강도와 도재의 심미성이라는 장점을 결합한 재료입니다.

 

즉, 내부의 금속 구조로 강도를 높이고, 외부의 도재로 치아 색상을 낼 수 있습니다. PFG는 같은 방식으로 금 위에 도자기를 덧씌워 PFM보다 높은 생체친화성과 파절에 저항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집니다.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과 안정성이 높은 편이기는 하지만, 금속구조물 때문에 잇몸의 가장자리가 검게 비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서 잇몸이 줄어들면 금속이 노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금속 위에 얇은 도자기가 올려진 상태이므로 쉽게 깨질 수 있고, 다른 재료에 비하여 온도 변화에 민감할 수 있어 최근에는 심미성이 개선된 올세라믹 크라운을 선호하는 추세입니다.

 

 

⁂지르코니아(Zirconia)

지르코니아는 최근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재료입니다.

 

강도가 매우 높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치아와 비슷한 색상이기 때문에 세라믹만큼은 아니지만 심미적으로도 우수합니다. 또한, 금속이 아니기 때문에 알레르기 반응이 적고, 투명도가 높아 자연 치아와 유사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는 경우 등에는 주변이나 맞물리는 치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라믹(Ceramic)

세라믹 보철물은 자연 치아의 색상과 질감을 가장 잘 재현할 수 있는 재료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투명도가 높아 앞니와 같은 심미적인 부위에 주로 사용됩니다. 세라믹은 생체 적합성이 높고, 금속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알레르기 반응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세라믹은 다른 재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깨지기 쉬워 일정량 이상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 치아를 많이 깎아야 한다는 단점을 가집니다. 최근에는 지르코니아와 혼합된 세라믹이 개발되어 깨지기 쉬운 단점을 보완하고 있습니다.

 

 

⁂포스트(Post)

포스트는 충치제거, 신경치료 후 남은 치아의 양이 적거나 혹은 치아가 크게 손상된 경우 등에서 치아의 뿌리부분에 삽입되어 보철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작은 기둥입니다.

 

금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 세라믹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각 재료는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됩니다. 금속 포스트는 강도가 높아 튼튼하며 보철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섬유 강화 복합재 포스트는 유연성이 있어 치아와 유사한 정도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치과 보철물에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며, 각 재료는 고유한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치과의사는 환자의 구강 상태 및 요구에 따라 가장 적합한 재료를 추천합니다. 따라서 보철물 치료를 받기 전, 자신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재료를 선택하기 위해 치과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항상 구강 건강을 유지하고, 필요할 때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 비결입니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나는 반딧불’의 위로가 지닌 의미
얼마 전 진료실 라디오에서 잔잔한 노래 하나가 들렸다. 얼핏 처음 가사가 들렸을 때 스스로 빛나는 별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반딧불이라고 들렸다. 그래서 슬프다는 내용인 줄 알았는데 그 다음 가사가 알고 보니 자신은 개똥벌레였다고 하는 내용이었다. 빛나는 별이 아닌 줄 알았고 반딧불인 줄 알았는데 결국에는 그것도 아닌 개똥벌레였다면 엽기적이고 가학적이고 심한 우울한 가사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많은 대중들이 위로를 받는다고 하여 노래를 찾아보았다. 가사는 살다가 어느 날인가 스스로 하늘에 빛나는 별이 아닌 땅에 기어 다니는 개똥벌레라는 것을 알게 되지만, 개똥벌레도 스스로 조그만 가치의 빛을 낸다면 누군가에겐 비록 작더라도 소중한 빛을 내는 반딧불일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는 내용이었다. 이 노래는 지난해 말부터 우울했던 대중들에게 많은 위로가 되었다. 잔잔한 음률에 남성 가수의 담담하고 고즈넉한 목소리 톤으로 부른 ‘나는 반딧불’이다. 잔잔한 음률에 젖어서 찬찬히 가사 내용을 음미해보면 2·30대들의 아픔이 느껴진다. /나는 내가 빛나는 별인 줄 알았어요/한 번도 의심한 적 없었죠/몰랐어요 난 내가 벌레라는 것을/그래도 괜찮아 난 눈부시니까/하늘에서

재테크

더보기

2025년 7월 미국 증시 S&P500 자산배분 투자 전략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 이후 미국 증시는 지난해 9월부터 이어진 금리 인하로 인한 글로벌 유동성 증가와 추가적인 금리 인하 기대감 덕분에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최근 미국 증시는 단기적으로 고점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투자 심리 또한 과열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시장의 조정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전략적인 자산배분을 통해 시장의 변동성에 사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주기적 자산배분 전략과 주요 시장 지표 분석을 바탕으로 2025년 7월 미국 증시를 전망하고, 투자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기적 자산배분 전략은 연준의 기준금리 사이클을 기반으로 하는 투자 전략이다. 이 전략은 금리 사이클(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을 활용해 시장 국면을 분석하고, 각 국면에서 유리한 자산은 매수하고 불리한 자산은 매도함으로써 저가 매수와 고가 매도를 반복한다. 현재 금리 사이클은 2023년 8월 금리고점(A)을 기록한 후, 2024년 9월부터 첫 금리인하(B)가 시작되면서 자산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금리인하로 인한 유동성 공급 효과는 지속될 수 없으며, 실물 경제의 침체가 자산시장에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