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오(대표 김진철·김진백)가 지난달 21일부터 24일까지 열린 제24회 인도국제임플란트학회(이하 ISOI)와 지난달 23일과 24일 열린 제47회 일본구강임플란트학회(이하 JSOI)에 참가해 디지털 임플란트 풀 솔루션을 소개했다. 인도 벵갈루루에서 열린 ISOI는 지난 1993년에 시작해 올해 24회째를 맞은 인도에서 가장 큰 학술행사 중 하나다. 디오는 이번 ISOI에 골든 스폰서로 참여, 올해 3월 인도 합작법인(JV)설립 후 가진 첫 학회 참가를 성공적으로 이루어 냈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ISOI에서는 최병호 교수(연대원주세브란스병원)가 덴처를 이용한 풀 디지털 무치악 시술 사례를 선보여 500여명의 인도 현지 치과의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일본 센다이에서 열린 JSOI는 1만3,000여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는 일본 내 임플란트학회 중 가장 큰 학술대회다. 디오는 이번 JSOI 전시회에 참가해 풀 디지털 임플란트 ‘디오나비’를 선보였다. 특히 디오는 관람객이 직접 ‘디오나비’의 핵심인 서지컬 가이드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핸즈온 부스를 운영해 높은 관심을 끌었다. 이번 행사를 총괄 기획한 디오 해외사업부 김태영 전무는 “디지털 덴티스트리의 변화에
글로벌임플란트연구회(이하 GAO)가 지난달 8일과 9일 양일에 걸쳐 JW메리어트호텔에서 ‘GAO International Course’를 개최했다. 9개국에서 약 60명의 해외 치과의사들이 참여한 본 세미나 첫 날에는 국내 연자인 김종엽 원장과 김종화 원장이, 둘째 날에는 미국의 Peter Shatz 원장과 Dennis Smiler 원장이 연자로 나서 각각 △Guided implant surgery △Advanced implant placement and Anytime loading △Minimally invasive sinus lifting, and GBR technique을 주제로 강연과 핸즈온을 이끌었다. 2일간 펼쳐진 교육 코스를 참가한 수강생들은 실제 진료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술 프로토콜과 테크닉 등 실용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고 GAO 관계자는 전했다. 세미나에 이어 지난 11일에는 GAO 코어멤버 미팅이 쉐라톤팔래스호텔에서 개최됐다. 국제적으로 GAO 그룹을 대표하는 핵심 오피니언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이번 미팅에는 6개국에서 14명이 참여했다. 미팅은 각 참석자가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해 짧게 발표를 하
덴티스(대표 심기봉·이하 덴티스)가 운영하고 있는 Global Dental Implant Academy(이하 GDIA)가 오는 28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총 4회에 걸쳐 ‘IMPLANT PRACTICAL COURSE’를 진행한다. GDIA는 지난 5월 상반기 세미나를 진행, 큰 호응을 얻었고, 당시 세미나에 참석하지 못한 이들의 문의가 쇄도해 하반기 코스를 마련했다. 이번 하반기 세미나도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이정근 교수(아주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와 하승룡 교수(단국치대죽전치과병원 보철과), 김재윤 원장(연수서울치과) 등 3명의 연자가 각각 임플란트 관련 수술, 보철, 치주 파트를 맡아 교육을 진행한다. 3인의 멘토가 제시하는 임플란트 길라잡이 이번 ‘Implant Practical Course’도 상반기에 이어 3인의 전문 멘토가 함께 한다. 임플란트 수술 파트의 이정근 교수, 보철 파트의 하승룡 교수, 치주 파트의 김재윤 원장이 멘토로 나서 강연과 핸즈온 그리고 라이브 서저리까지 임플란트 초보자들에게 최적화된 커리큘럼을 마련했다. 하반기 세미나는 상반기와 동일하게 ‘Back to the Basic’을 주요 테마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상반기 세미나에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회장 여환호·이하 KAOMI)가 오는 22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산업연구원 대강당에서 ‘2017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KAOMI는 이번 추계학술대회 대주제를 ‘#Implantology’로 선정. 임플란트와 관련해 최근 가장 많이 이슈가 되고 있는 토픽들을 ‘질문’ 형식으로 다루고,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이에 대한 자신의 지견을 피력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먼저 학술대회에서는 ‘상악동 거상술에서 골이식은 필수적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이에 장호열 교수가 ‘상악동 골이식,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를 주제로 강연하고, 이어 양승민 교수가 ‘상악동 골이식 체계적으로 하는 것이 낫다’를 통해 지견을 밝힌다. 이어 ‘구치부에서 발치와 보존술 꼭 필요한가?’에서는 이중석 교수와 김현종 원장이 각각 ‘발치와 보존술, 필요하다’, ‘발치와 보존술, 필요없다’를 통해 각자의 임상지견을 피력할 예정이다. 세 번째 질문은 ‘임프란트 틀니 어떤 방식으로 해야 하는가?’이다. 이성복 교수가 ‘임프란트 피개의치’를, 성무경 원장이 ‘임프란트를 지대치로 한 틀니’를 통해 각자 오랜 임상경험에서 얻은 결론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날
이노바이오써지(이하 IBS)가 운영하는 ‘IBS 국제임상교육원’이 지난 9일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Flapless Surgery’ 연수회 2기를 시작했다. 이번 2기 연수회는 10월 14일까지 총 5회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2기 코스에서는 지난 1기와 마찬가지로 민승기 원장(민승기브이라인치과)이 코스 디렉터를 맡았다. 또한 오상천 교수(원광치대 치과보철학교실)와 이영욱 원장(덴타피아치과), 이영한 원장(유진치과), 이은택 원장(고구려치과), 장호열 교수(건양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등이 연자로 나서 강연과 실습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3일 진행된 3회 차 코스에서는 민승기 원장이 연자로 나서 △Flapless Surgery in Implantology △발치 후 Immediate implant placement △효율적인 골 이식술 이해하기 △쉽게 발치하는 방법에 관하여 △Magic Guide System 활용 △Immediate implant after extraction 등을 다뤘다. 민 원장은 이론 강의는 물론, 환자의 골질과 매우 유사하게 제작한 모형을 이용해 실제 임상 적용 가능한 실습교육을 병행해 참가자들이 세미나 후에 실제 임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운영하는 Global Dental Implant Academy, GDIA가 지난 19일 ‘2017 GDIA CHINA SYMPOSIUM(이하 차이나 심포지엄)’을 진행했다. GDIA는 지난 2013년 미국에서 발족한 이후, 전세계적으로 실력 있는 연자들을 섭외하고 이들을 통해 전문적인 양질의 교육을 제공, 임플란트 등 다양한 임상 치의학을 세계에 전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중국 상하이에서 진행된 이번 차이나 심포지엄에서는 ‘SIMPLE GUIDE’ 개발자인 Dr. Amr가 제품과 관련한 강연으로 포문을 열었다. 또한 중국의 Dr. 푸깡이 SIMPLE GUIDE 관련 케이스를 공유하는 강연을 이어갔다. 또한 최제원 원장이 ‘Corticotomy’ 급속 교정 및 디지털 교정에 관해 다뤘으며, Dr. 황위엔띵이 임플란트와 관련된 기본적이면서도, 심미가 강조되는 위치에서의 임플란트 식립을 심도 있게 분석했다. Dr. 탄잉윈의 3D 프린터 ‘ZENITH’ 솔루션 강연으로 마무리 됐다. 심포지엄 강연 후에는 다양한 핸즈온 코스도 진행됐다. 실제 가이드 시술을 한 환자의 CBCT 데이터를 활용해 ZENITH로 본을 출력하고, 핸즈온
디오(대표 김진철·김진백)의 중국합작법인(JV)과 상해푸싱의료가 지난 12일 중국 대표 SNS ‘위챗’에서 모바일 ‘디오 디지털 세미나’를 개최,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모바일 세미나에는 중국 대표 치과의료기업인 랑랑덴탈그룹 100여개 치과에서 150여명의 치과의사가 참석해 새로운 세미나 플랫폼을 개척했다는 평가다. 또한 모바일 플랫폼을 적극 활용, 세미나 강연 중 자유롭게 질문과 의견을 실시간 공유하는 상호 소통의 장을 펼쳤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모바일 세미나에서는 디오중국법인 이청원 차장이 풀디지털 임플란트 ‘디오나비’를 활용한 무치악 케이스 성공사례와 발치 즉시 임플란트 식립 케이스를 영상과 함께 소개해 호평을 받았다. 디오 관계자는 “모바일 세미나 후에는 ‘디오나비’ 전문가 육성 과정인 ‘디오 디지털 아카데미(이하 DDA)’ 참여 요청이 쇄도해중국 화동지역을 시작으로 실습 중심 핸즈온 DDA를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행사를 총괄한 디오중국법인장 이윤기 상무는 “이번 세미나는 모바일에서 이뤄진 만큼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누구나 부담 없이 참석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며 “각종 동영상과 임상자료, 연자 음성도 함께 들을 수 있어 실제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운영하고 있는 Global Dental Implant Academy, GDIA가 손영휘 원장(군포e-좋은치과)을 초청 GBR 세미나를 개최한다. ‘임상에 바로 적용 가능한 손영휘 원장의 GBR 119’로 명명된 이번 세미나는10월 28일 대구(덴티스 의료기기사업부)를 시작으로 오는 12월 2일에는 서울(덴티스 서울영업본부), 12월 3일 대전(원광대대전치과병원), 12월 16일 광주(김대중컨벤션센터) 등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손영휘 원장은 ‘Bone graft material & membrane selection guide’를 주제로 골결손부에 적합한 골이식재 선택 및 사용법을 심층적으로 다루고, ‘Current concept & principles of GBR’을 통해 GBR의 개념 및 트렌드 등을 짚어줄 예정이다. 또한 ‘Immediate im plant placement’를 통해 발치즉시식립 동시 시행 테크닉을 공유하고, 노하우를 공유한다. 특히 핸즈온에서는 덴티스의 Ovis(오비스) 골이식재와 OneQ(원큐) 임플란트를 이용해 실질적인 교육이 이뤄진다. 세미나에서는 HA와 β-TCP를 2:8 비율의 합성골이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가 매년 다양한 주제로 수준 높은 강연과 심도 있는 토론으로 전 세계 치과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The 13th Annual MegaGen International Symposium(이하 메가젠심포지엄)’을 올해는 일본 도쿄에서 진행한다. 13번째로 진행되는 메가젠심포지엄은 다음달 14일과 15일 양일간 일본 도쿄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열릴 예정이다. 메가젠 관계자는 “메가젠심포지엄은 치과계 트렌드의 변화에 발맞춰 매해 참신한 주제로 전세계 주요 도시에서 개최해 왔고, 해를 거듭할수록 세계 치과의사들에게 그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며 “도쿄에서 열리는 이번 메가젠심포지엄에서는 ‘DIGITAL SMILE’을 대주제로 15명의 연자들이 강연을 펼칠 계획이다”고 전했다. 메가젠은 메인 강연에 앞서 ‘메가젠 워크숍’을 진행할 예정이다. 3개의 세션이 동시에 진행되는 워크숍에서는 Dr. Yoshiharu Hayashi와 Dr. Mitsias E. Miltiadis 그리고 한창훈 원장과 김종철 원장 등이 연자로 나서 전치부 심미수복을 위한 루트멤브레인 테크닉 및 R2GATE 등을 다루게 된다. 메가젠심포지엄 첫날에는
덴티움이 다음달 21일부터 29일까지 총 4회에 걸쳐 GBR & Sinus 세미나를 서울 삼성동 세미나실에서 개최한다. 세미나에는 민경만 원장, 양승민 교수, 김우현 원장, 김형섭 원장, 이창균 원장, 유정훈 원장, 남세진 원장, 김정범 원장, 이성원 원장 등 총 9명의 연자가 나선다. 이론은 물론이고 핸즈온 중심의 강연을 진행함으로써 참가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GBR 파트에서는 Pig jaw를 이용한 발치 후 즉시 식립과 Lateral augmentation, 그리고 비흡수성 차폐막을 이용한 Advanced GBR(Vertical augmentation) 등이 다뤄질 예정이며, Sinus 파트에서는 Sinus Bone Graft와 관련한 Lateral & Crestal approach, Suture technique 등에 대한 실습이 진행된다. 특히 이비인후과 전문의인 이성원 원장이 Sinus Complication 케이스를 선보인다. 이번 세미나에 대한 자세한 일정 및 커리큘럼은 홈페이지(www.dentium.co.kr)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문의 : 070-7098-6349 전영선 기자 ys@sda.or
덴티움이 지난 16일 자사 세미나실에서 ‘라이브 서저리’를 개최했다. 이날 라이브 서저리에는 정성민 원장이 연자로 나서 ‘Full arch rehabilitation of Man dible’을 주제로 수술을 진행했다. 첫 번째 케이스는 상악 구치부 GBR과 CTG를 병행한 Augmentation을 진행, GBR 과정 중 OSTEON 3 Collagen이 차폐막 역할을 하는 과정을 알기 쉽게 설명했다. 두 번째 케이스에서는 하악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가이드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을 시행했다. 이를 통해 하악 구치부 식립 시 하치조신경과 근접한 경우 사용되는 Short 임플란트의 적절한 활용 예를 소개했다. 모더레이터를 맡은 이창균 원장은 라이브 서저리에 대한 해설과 더불어 수술 중 사용되는 덴티움 제품의 특장점을 곁들여 이해도를 높였다. 특히 라이브 서저리와 관련한 자신의 경험을 덧붙여 참석자들의 임상 식견을 넓히는 데 일조했다. 따로 마련된 전시 부스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장비를 접해볼 수 있었다. Rainbow CT 뿐만 아니라 CAD/CAM, Digital Guide, Implant Guide, polymer Guide, 그리고 Osteon Ⅲ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지난달 시작해 총 4회에 걸쳐 진행한 ‘김용진 원장 Sinus Surgery Course’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세미나는 김용진 원장(일산앞선치과)이 코스 디렉터로 나섰으며, 김진구 원장(연세구치과), 신준모 원장(닥터신치과), 김준영 원장(서울그랜드치과)이 패컬티로 교육을 도왔다. 또한 이비인후과전문의 김영진 원장(열린이비인후과)이 특별연자로 참여하기도 했다. 김용진 원장은 증례를 통해 다양한 임상 케이스를 소개하면서, 그동안 쌓아온 임상 노하우를 개성있는 강의로 참가자들과 공유했다. 특히 코스에서는 핸즈온 실습은 물론, 참가자들이 직접 진행하는 라이브 서저리 등 실질적인 교육이 이어졌다. 김용진 원장은 상악동 처치 관련 라이브 서저리에서 직접 참가자들의 수술을 지원하는 등 상악동 수술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줬다. 한편 오스템은 오는 11월 김용진 원장이 디렉터로 나서는 베이직 코스를 진행할 예정이다. 신종학 기자 sjh@sda.or.kr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지난 8일과 9일 양일간 오스템 부산생산본부 오렌지타워에서 전인성 원장과 조용석 원장을 디렉터로, ‘홍콩 치과의사 초청 연수회’를 진행했다. 이번 연수회는 ‘발치 즉시 식립 및 기타 임상 Advanced’를 주제로 진행됐다. 이번 연수회에 참가한 홍콩 치과의사들은 대부분 이전부터 오스템 AIC의 다수 강연을 통해 임플란트의 기본 개념을 정립해왔다. 따라서 연수회에서는 임플란트의 기초적인 내용보다 디렉터들의 노하우가 심도 있게 다뤄졌다. 연수회에 참가한 한 홍콩 치의는 “첫날 강의부터 연자들의 수준 높은 임상 노하우를 전수받게 돼 기쁘다”며 “특히 코스별로 연계되는 각 강의들을 수강하면서 디렉터들과의 친밀도 역시 매우 높아졌다”고 만족감을 표했다. 오스템 관계자는 “참가자들은 연자들의 노하우가 담긴 임상 자료를 접하면서 새로운 수술법 및 위급 상황 대처방법을 비롯한 일반 임상에 대한 질문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등 연수회 내내 열기가 뜨거웠다”고 전했다. 이번 연수회 일정 중에는 오스템 부산 생산본부인 오렌티타워 투어도 진행됐다. 홍콩 치과의사들은 오스템 생산 현장을 직접 확인하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오스템 관계자는 “특
스누콘 임플란트의 국내외 공급을 맡고 있는 스누콘코리아(대표 고영환·이하 스누콘)가 지난 2일과 9일 두 번에 걸친 임플란트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국내는 물론 해외서도 활발한 강연을 펼치고 있는 전인성 원장(서울H치과)이 연자로 나선 세미나는 ‘Full Mouth Rehabilita tion & GBR’을 주제로 열려 사전등록부터 관심이 집중됐다. 스누콘 관계자는 특히, “이번 세미나에 많은 관심을 가져준 모든 분께 감사의 뜻을 전하고, 조기 마감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이번 세미나에 참석하지 못한 많은 분들을 위해 전국적으로 순회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전인성 원장은 첫 세미나가 열린 지난 2일, ‘Full Mouth Re habilitation’에 대해 다뤘다. 두 번째 세미나가 열린 지난 9일에는 오랜 기간 임상을 통해 정립한 GBR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참가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관련 술식을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 전 원장은 “지금까지 임상을 통해 얻은 결론은 발치 후 즉시식립은 99.9%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다만, 발치 후 즉시 식립 시 픽스처와 홀 사이의 수평 갭과 수직 갭의 유형에 따라 골익식재의 선택 기
이노바이오써지(대표 왕제원·이하 IBS)가 운영하는 IBS국제임상교육원이 지난 7월 2일부터 총 5회에 걸쳐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Flapless Surgery’ 연수회를 개최, 지난 2일 마지막 세미나를 진행했다. IBS 대전 본사 세미나실에서 진행된 이번 연수회에서는 민승기 원장(브이라인치과)을 코스 디렉터로, 오상천 교수(원광치대)와 이영욱 원장(덴타피아치과), 이영한 원장(유진치과), 이은택 원장(고구려치과) 그리고 장호열 교수(건양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등이 연자로 나섰다. 이들 연자들은 수준 높은 커리큘럼으로 연수회를 구성해 임플란트 시술에 아직 익숙하지 않은 임상의들에게 정립된 이론 교육은 물론, 무절개 임플란트 시술을 실전에서 쉽고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핸즈온 실습까지 체계적으로 진행했다. 세미나는 ‘더 쉽고 더 편한 임플란트 시술법’을 주제로 IBS Implant system 소개와 임플란트 식립을 쉽고 편하게 하는 노하우를 시작으로, 골밀도와 상관없이 단 한 번의 드릴링으로 식립구를 형성하면서 환자의 자가골을 채취하는 방법인 ‘P.B.R(Peripheral Bone Removal)’ 테크닉과 1~2㎜의 잔존골에서 누구나 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