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 이물감도 없는 Plate ‘BAP’
돌기 디자인으로 조직 괴사 방지…다양한 교정력 전달은 기본
(주)씨원덴탈(대표 최상문)이 기존의 단점을 극복한 Skeletal Anchor Plate, BAP(Bi-tripod Anchor Plate)를 출시했다. (주)씨원덴탈에 따르면 BAP는 Skeletal Anchor Plate의 단점으로 지적됐던 조직 괴사에 의한 염증 발생을 방지하고, 시술이 간단하면서도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돌기 디자인으로 염증 최소화
최근 교정치료에서 스크루와 Skeletal Anchor Plate 같은 TADs의 사용횟수가 급증하고 있다. 브라켓만을 이용한 교정치료 보다 더욱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정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크루의 경우 탈락의 위험성, 그리고 Skeletal Anchor Plate는 염증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실제로 그리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교정용 스크루가 탈락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스크루가 탈락되면, 동일한 위치에 다시 식립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전반적인 치료계획을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정중구개부에 식립하는 Skeletal Anchor Plate를 사용하기도 한다. 정중구개부는 스크루가 식립되는 위치인 치간 사이보다 우수한 골과 연조직을 갖추고 있고, 치근에 영향을 받지 않는 등 최적의 식립조건을 갖추고 있다.
문제는 Skeletal Anchor Plate의 단점인 염증인데, BAP는 침습면적을 최소화하는 디자인으로 염증 문제를 말끔히 해결했다는 게 (주)씨원덴탈 측의 설명이다. BAP를 살펴보면 돌기 나아 있는 두 개의 삼각형을 가지고 있다. 스크루를 사용해 삼각형 가운데 있는 구멍으로 식립을 하게 되는데, 이때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자리하고 있는 돌기만이 조직에 침투하게 된다. 돌기의 높이는 대략 1㎜에 불과하다. 즉 조직에 침투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식립 시 압박에 의한 조직 괴사를 방지하는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삼각형에 자리한 돌기는 침습면적 최소화 외에도 Skeletal Anchor Plate이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주춧돌 역할을 한다. 교정치료 시 양방향에 일정한 힘을 가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비대칭적인 힘을 가해야 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때 삼각형 형태의 돌기가 Skeletal Anchor Plate의 변형 없이 교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한다.
갈퀴 디자인으로 다양한 교정력 전달
돌기 외에도 BAP 디자인의 또 다른 특징은 양쪽으로 나아 있는 갈퀴라 할 수 있다. 양쪽에 각각 다섯 개의 갈퀴가 자리하고 있는데, 이는 케이스에 따른 다양한 교정력을 전달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정중구개부에 위치한 BAP에 고무링을 연결해 교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갈퀴는 고무링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고리인 셈이다.
다양한 교정력을 구사할 수 있는 만큼, BAP의 적용증례는 매우 다양하다. 특히 △비발치교정 △상악치열의 후방 또는 후상방 이동 △2급 고무 대체 효과 △개방교합 개선 △상악교합평면 후방경사 증가로 인한 2급 개선 △설측교정에서의 전치부 견인 △상악구치의 압하(편측 적용 가능) 등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문의 : 02-318-2877
전영선 기자 ys@sda.or.kr
[개발자인터뷰] 한병주 원장(한병주치과)
“술자와 환자 모두를 만족시키는 시스템”
2급 부정교합과 같은 상악돌출 증례를 비발치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상악구치의 후방이동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상악구치 후방에 존재하는 공간이 제한적이라는 해부학적 한계로 인해 Skeletal Anchor Plate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 데 식립 시 발생하는 압박에 의해 조직 괴사와 염증이 문제로 지적됐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하고, 유저가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 끝에 BAP를 개발하게 됐다.
Q. BAP의 특징은? 앞서 설명했듯이 기존의 Skeletal Anchor Plate와 차별화되는 BAP의 특징은 염증의 최소화다. 물론 이러한 노력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기존에도 염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Skeletal Anchor Plate가 출시됐었다. 하지만 정중구개부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다 보니, 정중구개부와 Skeletal Anchor Plate 사이에 공간이 발생, 음식물이 자주 끼이고 이물감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BAP는 돌기 디자인으로 침투면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정중구개부와 정확히 밀착시킬 수 있어 이물감 문제까지 해결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Q. 전하고 싶은 말은? BAP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술자와 환자 모두를 만족시키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술자에게는 스크루를 식립하듯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교정력을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 장치와의 호환성도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환자에게는 염증 등의 부작용 최소화와 이물감 및 발음지장 등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전영선 기자 ys@sda.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