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6.5℃
  • 맑음강릉 14.4℃
  • 맑음서울 9.6℃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0.1℃
  • 구름많음울산 11.7℃
  • 맑음광주 12.8℃
  • 구름많음부산 14.4℃
  • 구름조금고창 8.4℃
  • 흐림제주 16.3℃
  • 맑음강화 6.7℃
  • 맑음보은 7.0℃
  • 맑음금산 7.9℃
  • 구름많음강진군 10.7℃
  • 구름조금경주시 8.7℃
  • 구름많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심리학이야기

실락원(失樂園)

URL복사

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이야기 (72)

잃어버린 낙원이란 의미의 ‘실락원’은 영국의 시인 존 밀튼이 17세기에 지은 서사시로 영어 원제는 Paradise Lost이다. 존 밀턴은 부유한 집에서 태어났으나 혁명에 실패하여 파산하고 실명하였을 때, 인간의 원천적인 선악의 문제와 자유의지에 대한 기독교적인 원죄를 내용으로 이 책을 썼다. 존 밀턴은 셰익스피어에 이어 2인자의 자리를 내어준 적이 없는 대단한 문호이며 ‘실락원’ 또한 단테의 신곡에 버금가는 명작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1997년 유학생이던 필자가 레지던트 2년차 때, 일본에서 전 국민의 반 이상이 보며 대히트 했던 영화의 제목도 ‘실락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심혜진, 이영하 주연으로 리메이크 했으나 실패했던 작품으로 기억한다. 당시 불륜 내용에 과도한 애정 표현으로 문제가 되기도 하였던 영화였다. 필자도 호기심으로 그 영화를 보러갔는데 마지막 장면에서의 내레이션은 영화를 보는 모든 이들로 하여금 본인들의 삶을 돌아보게 하는 가슴 아픈 공감을 주었다. 필자 또한 그 자리에서 두 번을 연속하여 보았고 15년이 지난 지금도 마지막 장면의 내레이션은 귓가에 쟁쟁하게 들려온다.

 

영화의 내용인 즉, 30대 중반의 주부와 50대의 평범한 가장이 우연히 만나고 그때서야 두 사람의 사랑이 진정한 사랑이란 것을 깨닫고 그 사랑을 유지하기 위하여 결국 눈 덮인 산으로 떠나는 것으로 끝난다. 간통죄가 없는 일본적 정서가 한국과는 조금 달라서 한국 사람이 영화의 내용을 이해하기에는 스토리 전개상 안 맞는 부분들이 많아 실패했을 거라 생각이 든다. 그 영화의 파괴력은 일반적인 내용이나 스토리보다는 그것이 모든 관객의 아픔을 대신 표현해주었다는 데 있었다.

 

마지막 내레이션은 두 사람이 교대로 이야기를 한다. ‘남 : O년 O월 O일 나는 가족들의 축하 속에서 태어났다. 엄마는 기뻐하셨고, 아빠는 직장일로 조금 늦으셨다’. ‘여 : 여섯 살 때 엄마의 손을 잡고 유치원에 입학하였다. 아빠는 꼭 참석하겠다고 하였으나 일이 바쁘셨는지 못 오셨다. 꼭 보고 싶었는데…’. ‘남 : 열세 살, 중학교에 입학하였다. 낯선 하루였다’. ‘여 : 열여덟 살,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날이다. 오늘도 역시 아빠는 바쁘다는 이유로 또 참석하지 못하였다, 아쉬움이 남는다’, ‘남 : 스물다섯 살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을 하였다’. ‘여 : 스물다섯 살 선을 보았다.

 

 그냥 나쁘지 않았다, 그리고 결혼을 하였다’. ‘남 : 오늘 아이가 태어났다, 너무 기쁜 날이다. 빨리 집에 가서 보고 싶다’ ‘여 : 서른 살, 하루하루 남편과 아이를 돌보며 별일 없이 지내는데 지루하다’. ‘남 : 오늘 아이가 유치원에 입학을 하는 날이다. 정말 꼭 참석하고 싶은데 일이 끝나지 않아서 도무지 갈 수가 없다. 약속한 아이에게 너무나 미안하다’. ‘여 : 오늘은 아이가 중학교에 입학을 했다. 기쁜 날이다’. ‘남 : 내일은 아이가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날이다. 진심으로 축하를 해주고 싶으나 내일 출장으로 참석이 어렵다.

 

미안하다…’. 이 같은 내레이션은 현 시대를 살고 있는 모든 이의 자화상이었다. 결국 영화를 보는 모든 관객들이 과거에 겪었고 현재 겪고 있는 사연들이어서 진한 공감을 얻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쫛년 쫛월 쫛일 나는 그대(그녀)를 만났다. 그리고 그것이 진실한 사랑임을 알았다’라는 말로 이야기가 끝난다. 이 영화는 다람쥐가 쳇바퀴를 돌 듯 매일매일을 행복감조차 잃어버리고 매너리즘 속에 사는 현대인의 모습을 표현하였고 그것을 파괴하는데 자극적인 사랑을 동원했던 영화였다.

 

지금도 우리는 그 내레이션의 내용처럼 그렇게 아침에 병원으로 출근을 하고, 환자를 보고, 그리고 다시 집으로 간다. 매일 반복되는 일이다. 또한 아빠가 우리 입학식에 참석 못했듯이 본인도 자식의 입학식에 참석을 못하는 아픔을 반복한다. 필자 역시 두 아이의 입학식을 못 보았고 졸업식도 못 보았다. 그리고 오늘 출근하였고 내일도 마찬가지로 출근할 것이다. 결국 어떻게 사는가는 정해져 있으므로 그 안에서 어떻게 느끼며 살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다. 잃어버린 낙원인 현실 속에서 아주 작은 행복이라도 느끼는 순간, 우리는 이미 진정한 낙원을 찾은 것은 아닐까?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10월, 반감기 사이클과 비트코인 자산배분의 전환점

2025년 10월, 비트코인은 다시 한 번 중대한 사이클의 갈림길에 서 있다. 2024년 4월 반감기 이후 약 1년 6개월이 흐르며, 시장에는 반감기 사이클에 따른 상승장에 대한 기대감과 동시에 하락장 진입에 대한 경계심이 공존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ETF 자금 유입과 글로벌 유동성 확대가 가격을 지지하고 있지만, 금리 사이클 측면에서는 이미 위험자산이 정점에 근접한 국면에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비트코인의 반감기 사이클과 연준의 금리 국면을 함께 살펴보며, 현재 시장의 위치를 진단하고 자산배분 투자자에게 필요한 전략적 대응 방안을 모색해본다. 연준의 기준금리 흐름을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으로 단순화해보면, 현재는 금리 인하기의 후반부, 즉 B~C 구간의 끝자락에 위치해 있다. 금리 인하는 일반적으로 경기 둔화와 물가 안정이 동반되는 시점에 시작되지만, 이번 사이클은 물가가 완전히 진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위기 국면이 도래하기 전까지 유동성 확장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으며, 암호화폐 시장의 반등 역시 점차 피로감을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이제 더 이상 리테일 중심의 투기 자산이 아니다. ETF 승인과 기관 자금의 유입으로 주식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