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측두하악장애학회(회장 김대중·이하 측두하악장애학회) 추계학술대회가 지난 11월 16일 관악서울대 치의학대학원에서 ‘턱관절장애의 진단과 치료, 영상과 주사치료로 다시 보다’를 주제로 개최됐다.
110여명의 치과의사들이 참가한 이번 학술대회는 △턱관절장애의 영상진단 △턱관절장애의 주사치료 △Topic Seminar 등 세 개의 세션으로 풍성하게 꾸려졌으며, 오전 시간부터 뜨거운 열기를 자아냈다.
이승표 교수(서울대 구강해부학교실)의 ‘턱관절의 해부 및 조직학’ 강연을 시작으로, 이채나 교수(연세대 영상치의학과)는 ‘턱관절장애에서 MRI와 CT 영상검사’를 통해 다양한 MRI와 CT 소견을 바탕으로 진단의 방법과 중요성을 강조했고, 박현정 교수(조선치대 구강내과)는 ‘턱관절장애에서 초음파 영상검사’ 주제 강연을 진행했다.
또한 턱관절장애 주사치료에서는 김영균 원장(케이구강악안면외과치과)이 프롤로테라피, 윤종일 원장(연치과)이 PDRN의 임상 적용을 다뤄 최근 주목받는 주사치료의 실제를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이 됐다. 강연 후에는 실제 임상에서의 주사치료 활용과 주의점에 대한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최신정보를 읽는 토픽 세미나는 수면질환에 초점을 맞췄다. ‘턱관절장애와 수면장애’에 대해 박지운 교수(서울대 구강내과)가, ‘턱관절장애와 이갈이’에 대해서는 심영주 교수(원광치대 구강내과)가 강연했다.
한편, 포스터 시상에서는 원광대 산본치과병원 송찬우 교수가 최우수 학술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측두하악장애학회 김대중 회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턱관절장애의 영상진단부터 최신 주사치료, 수면질환의 관련성을 짚어보는 스토리있는 강연으로 구성해 집중도있게 진행됐다”면서 “턱관절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새로운 시각과 첨단기술을 접목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고 전했다. 또한 “학술대회에서 선보인 주사치료와 관련해서는 내년 초 연수회도 준비할 계획”이라고 전해 기대를 모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