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논 단] 아임(牙任) 권훈

URL복사

권 훈 논설위원

치과의사 David Burbank(1821-1895)는 고사성어 호사유피 인사유명(虎死留皮 人死留名)과 가장 잘 어울리는 사람이다. 왜냐하면 미국 LA 인근 도시의 지명 Burbank가 David Burbank의 이름에서 탄생했기 때문이다. Burbank가 취미삼아 목장을 운영하기 위해 구입한 1,000만평을 상회하는 대지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1906년 시로 결정되었다. 현재 버뱅크에는 영화 회사 월트디즈니 프로덕션과 방위 산업체 록히드마틴 등이 위치하고 있다. 치과의사 Burbank 그 이름 길이길이 기억되리.


부모님이 지어주신 이름 외에 또 다른 이름(별호:別號)이 필자에게 생겼다. ‘아임(어금니 牙, 맡길 任)’이다. 호(號)에는 사람의 가치관과 취향 등이 반영되어 만들어진다. 다소 부끄럽지만 ‘아임(牙任)’의 탄생 이야기를 소개해본다. ‘어금니 아’는 필자의 강력한 의지로 선택되었고, ‘맡길 임’은 친한 형님이 추천해 주셨다. ‘나에게 맡겨진 치아를 받들어 모신다’는 뜻이고 영어 친화적인 호(號)라는 친절한 설명도 곁들어 주셨다. 치과의사에게 이보다 더 좋은 호가 있을까 싶다.  전남 장성에 개원 중이신 아곡(妸谷) 김재성 형님 고맙습니다.


1981년 필자가 중1때 영어 교과서는 이렇게 시작했다. ‘I am Tom. I am a student.’ 35년이 흐른 지금은 ‘I'm 권훈, I am a dentist’라는 낙서를 하며 상념에 잠겨있다. ‘나는 가수다’라는 방송이 떠오르면서 무대에 올랐던 가수들의 열정, 노력과 눈물이 머릿속에 오버랩 된다. 앞으로 어떤 치과의사가 되고 싶은지, 사회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에 관한 목표 설정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꼭 필요하다. 어떤 자리나 위치보다는 OOO 치과의사로 기억되는 것이 더 중요하고 빈칸에 들어갈 낱말은 각자의 몫에 달려있다.


한국인 최초의 치과의사 함석태(1889-?). 3만 명에 육박한 대한민국 치과의사들 중에서 그의 이름을 아는 사람은 몇 명쯤 될까?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는 필자의 예상이 틀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5년 치과신문(土禪 함석태와 澗松 전형필, 제621호) 논단을 참조 바란다. 함석태는 도자기 골동품에 심취되어 ‘토선(土禪)’이라는 호를 가졌다. 도자기를 닦고 부비며 애상하던 그의 모습은 마치 도공과 대화를 나누는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치과 피겨린(figurine)을 수집중인 필자는 토선 함석태의 일화를 읽으면서 진한 동질감이 느껴진다.


일제강점기에는 여성 독립운동가로, 해방 후에는 여성운동가로, 한국전쟁 이후부터는 전쟁  미망인을 위한 사회사업가로 일생을 바친 여자 치과의사 매지(梅智) 최금봉(1896-1983)은 진흙 속에 묻힌 진주 같은 존재이다. 최금봉은 1929년 동양여자치과의전 전공과를 졸업하였고 1938년 안동, 1951년 부산, 1967년 서울에 치과적인 발자취를 남긴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치과적 흔적을 찾아내는 것이 치과계가 해야 할 숙제라 생각된다. 매서운 겨울을 이겨내고 피어난 매화처럼 엄혹한 시절에도 꿋꿋이 국민들에게 지혜를 나눠주신 매지 최금봉을 이제서야 알게 되었다. “선생님 죄송합니다. 앞으로는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소암(素巖) 기창덕(1924-2000)은 의사들이 외면하던 의사학(醫史學) 자료를 정리하는 데 평생을 바쳐 의사학계에서는 국보급 인물로 인정받고 있다. 넉넉한 수입과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여건이었지만 의사학 뿐만 아니라 치과의사학 자료를 수집하는데 금전적, 시간적 열정을 쏟았다. 그는 자신의 호 소암(素巖)이 ‘돌대가리’란 뜻이라며 겸손한 농담을 하셨지만 임종 직전까지 돌부처처럼 앉아 우직하게 의료문화역사에 관해 집필 활동을 계속했다고 한다. 그에 대한 존경과 감사가 저절로 생겨난다.


토선(土禪) 함석태, 매지(梅智) 최금봉, 소암(素巖) 기창덕 세 분의 삶을 추적하면서 필자의 치과의사 인생 네비게이션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었다. 필자의 호 아임(牙任)은 아직 잉크도 마르지 않은 상태이지만 아임(牙任)이 입력해준 경로를 잘 따라가서 내 인생의 목적지까지 잘 안착하기를 소망해본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9월 S&P500 자산배분 전략 | 금리인하 사이클과 조정 신호

2025년 9월, 미국 증시는 다시 한 번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 대표 지수인 S&P500 역시 단기적 반등과 조정 사이에서 고점을 조금씩 높여가며 불안정한 균형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기일수록 자산배분 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단순히 마켓 타이밍을 맞추려는 시도가 아니라, 거시적 흐름 속에서 각 자산이 어떤 위치에 있으며 어떤 비중을 가져가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냉정하게 판단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자산배분 전략은 특정 종목에 집중하거나 단기 매매로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행위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그 핵심은 금리 사이클, 유동성 흐름, 투자 심리와 같은 거시적 요인 속에서 장기적인 위험을 관리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틀이 바로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이다. 금리 인상과 인하, 경제위기와 회복이라는 순환 과정 속에서 자산은 서로 다른 성과를 보여 왔으며, 투자자는 각 국면에서 불리한 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앞으로 유리해질 자산을 선제적으로 편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시장은 금리인하 사이클의 B에서 C로 넘어가는 후반부에 놓여 있다. 연준은 2023년 7월 금리 고점(A)을 기록한 이후 202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