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김인혜 기자 kih@sda.or.kr] 치과대학병원에 내원한 만 1세 미만 영아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예방검진보다 구강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최근호에 실린 ‘소아치과에 내원한 영아들에 대한 후향적 연구(오예랑 외)’에서는 지난 2006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10년 동안 경희대치과대학 소아치과에 내원한 만 1세 미만 영아 419명을 대상으로 연구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영아가 처음으로 치과에 내원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치아 외상이 47.5%로 1위에 랭크됐다. 아울러 선천치·신생치도 19.8%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치아 우식 8.1% △유치 맹출과 관련된 문제들 4.3% △순소대/설소대 이상 3.6% △연조직 부종 3.6% △Bohn’s nodule 3.3% △구순구개열 2.9% 등이 뒤를 이었으며, 구강검진으로 내원한 경우는 단 1.4%에 그쳤다.
연구팀은 “아직까지 예방보다는 증상의 유무가 치과를 방문하는 계기가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소아치과 의사의 조기 개입과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성장 시기별 구강건강 위험 요소들을 미리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을 도입하면 조기 구강검진의 비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