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즐거운 치과생활

가방에 담는 것은 물건 만이 아니다

URL복사

세상의 모든 것은 연결되어 흘러간다
글·사진_황원민 대표(주식회사 포벨)

 

가방은 소지품을 넣고 안전하게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월이 흘러도 그 목적은 변하지 않는다. 익숙함에 속아 눈치채지 못한 것일 뿐, 우리가 들고 다니는 가방엔 문화, 라이프 스타일과 취향까지 녹아 있다.

 

유럽에서 생활 혹은 여행을 해본 경험이 있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유럽의 경우 가방의 입구를 뚜껑, 지퍼 등으로 단단히 잠가야 한다. 빈틈이 조금이라도 보이면 훔쳐가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는 어떨까? 카페에 가만히 앉아 창밖을 바라보며 사람들을 관찰해 보면 가방을 제대로 닫지 않고 다니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다. 심지어 몇몇은 가방에서 짐이 떨어질 것만 같다. 치안에서부터 비롯된 문화의 차이다. 한국에선 카페, 음식점, 공원 벤치 등에서 자리를 맡는다며 가방을 두고 잠시 자리를 비우기도 한다. 그럼에도 훔쳐가는 사람이 거의 없다. 외국에선 절대 상상하지 못하는 행위다. 그런 이유로 한국 문화에서 비롯된 가방 디자인, 가방의 사용법은 보다 자유로운 편이다.

 

 

*스위스 금속 장식 브랜드 ‘아미애트’의 장식 디자인엔 대부분 비밀번호, 열쇠가 달려있다.

 

치안 외에도 재밌는 문화 차이가 있다. 대한민국은 IT 강국이다. 일부 외국인은 서울을 미래 도시라 표현하기도 한다. IT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도 많이 바뀌었다. 그에 맞춰 가방도 바뀐다. 가방에 넣는 내용물을 한 번 살펴보자. 2000년대 초반만 해도 가방에 짐을 많이 넣고 다녔다. 학생들은 여러 권의 책을, 직장인들은 두꺼운 서류를 넣고 다녔다. 현대 사회에서는 패드, 태블릿PC, E-BOOK 등 작은 기계 하나로 해결된다. 그만큼 가방에 넣는 내용물의 부피와 무게가 많이 줄었다. 생활이 변화한 만큼 우리의 가방도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다시금 느낄 수 있다.

 

 

당신의 가방엔 무엇이 담겨있나요?

멀리서 바라본 대한민국에서의 삶은 대체로 비슷하다. 학창 시절에는 학업에 몰두하고, 20대에는 스펙업과 취준에, 취업하고 나면 사회에 발맞춰 적응하느라 바쁘다. 우리는 정신 없이 달리는데 익숙하다. 다들 빨리 달려가니까. 나만 안 뛰면 뒤처지는 것 같으니까. 우리는 어디로 달리는지 모른 채 뛰기 바쁘다. 그렇게 ‘나’를 방치한 채 앞으로 달리는 데만 몰두하던 사람들은 뒤늦게 ‘공허함’을 느낀다.

 

현대에 들어서는 주 4~5일, 워라벨 등을 외치며 공허함을 없애기 위해 ‘나만의 시간’을 가지려고 노력한다. ‘멍… 멍… 멍…’ 그거 어떻게 하는 걸까? 그렇다. 시간적 여유를 가져도 막상 ‘나를 찾기’란 쉽지 않다. 나를 찾으려면, 나를 찾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가는 것을 추천한다. 공간과 주변 사람들이 주는 힘이 있으니 말이다.

 

포벨 가죽 공방 정규반은 나를 찾아보고 가죽 작품, 가방에 표현한다고 말한다. 자신에 대해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갖고, 선생님과 대화하며 조금씩 더 깊게 나를 찾는 방식을 배운다. 그렇게 찾은 내가 좋아하는 질감, 색감, 라인, 포인트 등을 디자인 요소요소에 담아 가방을 만들며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나를 모아본다. 그렇게 작품이 하나, 둘, 쌓여가면 점점 선명해지는 나를 발견할 수 있다. ‘어? 나. 이런 거 좋아했네!’라며 몰랐던 나를 발견하곤 한다. 내가 선명해지는 것뿐인데, 이 작은 변화에 정신적 여유와 안정감이 생긴다. 평소에 정신없이 지나가는 출퇴근길도, 앞만 바라보며 달려가던 약속 장소도 조금씩 달리 보인다. 목적지로 가는 길 곳곳에 숨어있는 재밌는 요소들이 눈에 보이고, 그런 요소들을 어떻게 가방에 담아 만들어볼까? 상상을 하기 시작한다. 지루하던 일상에 에너지가 생기는 것이다.

 

 

그렇게 점점 짙어지는 나만의 색깔. 개성 있는 나만의 색을 담은 가방과 다양한 작품. 만들고 끝내기엔 너무 아쉽다. 포벨은 그런 수강생들의 작품들을 한데 모아 사진으로 담고 전시를 하며 선보이기도 하고 페어, 플리마켓에도 나가 판매도 한다. 외부의 시선이 아닌 온전히 나에게 집중했을 뿐인데, 오히려 많은 사람들이 그 가치를 바라본다. 판매를 목적으로 만든 작품은 아니지만, 가방에 담긴 나의 이야기와 가치를 인정받아 사람들에게 칭찬을 받고 판매까지 이뤄졌을 때, 지금까지 느껴보지 못했던 감정, 높아지는 자존감을 느낄 수 있다.

 

포벨은, 가방을 만들면서 수강생들이 자신을 담을 수 있게 도와준다.가방, 이제는 더 이상 타인에게 자랑하기 위한 아이템이 아닌, 나를 찾고 가방에 담는 것이다.

 

업이 가치를 부여하는 행위라면, 취미는 나를 찾아가는 행위다. – 포벨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9월 S&P500 자산배분 전략 | 금리인하 사이클과 조정 신호

2025년 9월, 미국 증시는 다시 한 번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 대표 지수인 S&P500 역시 단기적 반등과 조정 사이에서 고점을 조금씩 높여가며 불안정한 균형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기일수록 자산배분 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단순히 마켓 타이밍을 맞추려는 시도가 아니라, 거시적 흐름 속에서 각 자산이 어떤 위치에 있으며 어떤 비중을 가져가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냉정하게 판단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자산배분 전략은 특정 종목에 집중하거나 단기 매매로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행위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그 핵심은 금리 사이클, 유동성 흐름, 투자 심리와 같은 거시적 요인 속에서 장기적인 위험을 관리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틀이 바로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이다. 금리 인상과 인하, 경제위기와 회복이라는 순환 과정 속에서 자산은 서로 다른 성과를 보여 왔으며, 투자자는 각 국면에서 불리한 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앞으로 유리해질 자산을 선제적으로 편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시장은 금리인하 사이클의 B에서 C로 넘어가는 후반부에 놓여 있다. 연준은 2023년 7월 금리 고점(A)을 기록한 이후 202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