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가 모든 종류의 픽스처부터 보철까지 처리 가능한 플라즈마 임플란트 표면처리기 ‘Plasma X motion (플라즈마 엑스 모션)’을 출시해 주목을 받고 있다. 보다 빠른 골융합 촉진 메가젠은 임플란트 표면 SLA에 칼슘이온을 결합시켜 임플란트 시술 후 뼈와 임플란트가 잘 붙을 수 있도록 골융합 성능을 향상시킨 표면처리 특허기술 ‘XPEED(엑스피드)’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임플란트 표면 처리기 ‘Plasma X motion’을 활용해 임플란트 표면을 활성화해 XPEED 표면을 XPEED Active(엑스피드 엑티브)로 만들어 임플란트 표면에 흡착돼 있는 공기 중 탄화수소를 제거해 임플란트의 표면 친수성을 높이고, 골유착 성능을 향상시킨다. 기존 UV처리에 비해 XPEED Active는 임플란트의 깊은 나사산 안쪽까지 모두 처리가 되기 때문에 조골세포 증식력 개선을 통한 빠른 골융합 촉진이 가능하다는 것. 폭 넓은 호환성으로 더욱 주목 Plasma X motion은 폭넓은 호환성이 특징이다. 메가젠 임플란트 제품은 물론, 타사 임플란트부터 픽스처, 어버트먼트, 크라운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최근 치과계는 AI와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이 접목되면서 다양한 진단과 함께 치료 가능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최첨단 장비와 치료기술이 연이어 등장하며 디지털 덴티스트리가 치과시장의 중심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디오(대표 김진백)는 디지털에 대한 연구개발을 오랜기간 집중해왔고, 임플란트부터 보철진료, 교정 등 모든 분야에 대한 디지털 기술을 아우르는 풀 디지털 솔루션을 완성하며 디지털 치과진료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다. 압도적인 정확도 디오나비&디오나비 풀아치 디오가 지난 2014년 출시한 디지털 임플란트 솔루션 ‘디오나비’는 뛰어난 시술 정확성과 안전성, 편의성을 앞세워 디지털 가이드 시스템 최초로 60만홀을 돌파하는 등 디지털 치과진료를 본격화한 주역으로 자리매김했다. 올해 말에는 70만홀을 가뿐히 넘길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2015년부터 모든 디지털 장비를 도입해 사용하고 있는 정유석 원장(서울프라임치과)은 ‘디오나비’와 관련 “공차가 심해 수술 중 부러질 위험과 오차율도 다소 높던 타사 가이드와 달리 1도 이내 오차로 더욱 정확하고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다”며 우수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로봇앤드디자인(이하 RND)이 자사 최초의 체어사이드 밀링기 ‘Chairman(이하 체어맨)’을 출시했다. RND는 반도체 로봇을 전문적으로 개발 및 제조하는 회사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굴지의 반도체 기업에 장비를 납품하며 그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그런 RND가 반도체 로봇 개발 노하우를 토대로 지난 2008년 덴탈 캐드캠 시장에 진출했다. 지금까지는 치과기공소를 타깃으로 밀링기를 공급해왔다면, 체어사이드 밀링기 ‘체어맨’을 필두로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반도체 로봇의 기술력이 투영된 체어사이드 밀링기 ‘체어맨’을 자세히 살펴보자. 글라스 세라믹 15분만에 가공…비니어 등 얇은 보철물 가공 최적화 ‘체어맨’은 원데이 덴티스트리를 위해 제작된 글라스 세라믹 전용 습식 밀링기다. △글라스 세라믹 △하이브리드 세라믹 △PMMA 재료로 된 보철 등을 평균 15분만에 제작할 수 있다. 제작 가능한 보철물은 △크라운 △인레이 △온레이 △비니어 △브릿지 등이다. ‘체어맨’은 가공시간을 단축하고 정밀한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 10만 RPM으로 회전하는 스핀들을 2개 장착하고 있다. 자동으로 툴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새로운 진단의 영역, 치료의 큰 그림을 그리다”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된 서울국제치과기자재전시회 SIDEX 2022에서 많은 호평과 찬사를 받았던 ㈜레이의 3차원 안면스캐너 RAYFace가 국내에 공식 론칭됐다. 환자의 3D 안면정보를 치아 정보와 자동으로 정합해 종합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향후 치과계에서 활약이 기대된다. ‘더 빠르게, 더 쉽게’ 0.5초 만에 3차원 데이터 확보 기존 2D 카메라 및 이를 통한 3D 변환 앱은 각도, 자세, 흔들림, 센서 성능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로 일관된 영상이 나오지 못한다. 이런 영상은 임상에 활용하기 쉽지 않다. 일부 안면 3D 스캔 장비가 있기는 하지만, 기존 장비들은 X-Ray영상 또는 구강스캐너 영상과의 정합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복잡하고 어려운 SW 수작업으로 정합해야 해서 임상적으로는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단순한 환자 상담 정도의 기능만을 보였다. 그러나 RAYFace는 다르다. 2개의 치아 카메라와 4개의 얼굴 카메라로 0.5초만에 3차원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렇게 획득된 안면 데이터를 기준으로 CT나 구강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무통마취기 전문 개발기업 메디허브가 유니트체어 빌트인 타입의 무통마취기 ‘아이젝 BTS(BuilT in System)’를 전격 출시했다. 메디허브 측은 “지난 17년간 ‘이조아’를 시작으로 치과 무통마취기를 연구개발해온 기업으로, 치과원장들의 임상적 니즈를 적극 반영해 이번 체어 빌트인 타입의 무통마취기를 개발하게 됐다“고 출시 배경을 밝혔다. 배터리 충전 등 번거로움 해소 아이젝 BTS는 체어에서 전원을 바로 연결해 빌트인 타입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기존 무선형 제품의 베터리 충전과 교체에 따른 불편함과 이동의 번거로움을 해소했다. 또한 제품의 무게도 줄일 수 있어 기존 메탈시린지(약 70g)와 같은 무게를 구현해 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아이젝 BTS는 브랜드에 관계없이 모든 유니트체어에 설치가 가능하며, 국소마취를 위한 모든 준비를 체어 사이드에서 할 수 있어 동선에 따른 체어타임을 줄여준다. 메디허브 측은 “내원환자의 마취주사에 대한 공포감을 줄이고 심리적 플레세보 효과와 치과홍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음성 안내기능(시작/종료 음성)을 추가한 점도 개원가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지털 덴티스트리는 이제 국내를 넘어 전 세계에서 치과시장의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이미 수많은 치과에서 디지털이 활용되고 있고, 더 나아가 AI, 빅데이터, 3D프린팅 같은 4차 산업 기술과 결합하며 지금도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디지털 덴티스트리 선도기업 디오(대표 김진백)는 이미 오래 전부터 디지털 치과 진료에 대한 연구에 집중해왔고, 임플란트, 보철, 교정 등 모든 치과 분야에 디지털을 접목한 풀 디지털 솔루션을 개발하며 디지털 덴티스트리 시장을 선점했다. 신기록 경신 행진! 디오나비와 디오나비 풀아치 디지털 덴티스트리 시대의 시작을 알린 것은 ‘디오나비’였다. 디오는 지난 2014년 디지털 임플란트 솔루션 ‘디오나비(DIOnavi.)’를 출시, 뛰어난 시술 정확성을 자랑하며 빠른 속도로 성장해왔다. 그리고 지난 4월, 디지털 가이드 시스템 최초로 60만홀을 돌파하며 모두를 놀라게 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70만홀 돌파가 유력시되며, 그 상승세는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디오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2018년, 디지털 무치악 솔루션 ‘디오나비 풀아치(DIOnavi. Full Arch)’를 출시하며, 디지털 덴티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의 유니트체어 ‘N2’가 출시 8개월 만인 지난해 6월 1,000대 판매를 달성하는 등 개원가의 관심과 인기가 심상치 않다. 최적화된 진료 포지셔닝 설계를 통해 임상가에게는 편안하고 정확한 진료를, 무중력 모드로 환자에게는 최적의 안락함을 제공함으로써, 편안하고 확실한 치과진료 파트너로 부상하고 있다. ‘N2’, 듀얼 라이트로 기능성 높여 술자의 손이나 머리의 움직임으로 생기는 그림자는 치료를 방해하는 주요인이다. 메가젠이 개발한 ‘듀얼 라이트’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빛을 하나로 모아 그림자를 막을 수 있다. 한 쪽의 빛을 막거나 간섭해도 다른 쪽의 빛이 진료 부위를 지속적으로 비춰 무영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라이트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 영향으로 레진이 원하는 시간보다 빠르게 굳는 경우가 많은데, 이 또한 골칫거리. N2 듀얼 라이트는 ‘Cure Safe’ 레진 모드 기능을 탑재해 원하지 않는 Cure를 더디게 막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카메라 기능은 편리하게 진료 기록을 담을 수 있어 치료 전과 후를 비교하기에도 용의하다. 동영상 촬영도 가능해 녹화로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최근 한국3M이 국내에 새롭게 출시한 인상재 ‘Imprint™4’는 우수한 친수성 및 편리한 작업을 위한 여러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에 한국3M 측은 “‘Imprint™4’가 임상의들이 인상채득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많은 스트레스를 해소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성공적인 보철수복, 인상채득부터 기술 발전에 따라 치과 진료의 많은 부분이 변하고 있지만, 보철치료과정 중 인상재를 활용한 보철물의 제작 과정은 여전히 가장 대중적인 방식이다. 한국3M 측은 “디지털 구강스캐너를 통한 보철물의 제작 절차가 조금씩 보편화되고 있지만, 아직은 전통적 방식인 인상채득을 통한 보철물 제작 절차를 완전히 대체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인상재의 선택은 여전히 중요한 보철치료의 절차이고, 좋은 보철물 제작을 위한 출발점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한국3M은 최근 국내에 출시한 ‘Imprint™4’가 성공적인 보철수복을 위한 정확한 인상채득에 최고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표하고 있다. 인상채득, 오류 최소화가 관건 좋은 인상체를 얻기 위해서는 인상채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치과에서의 감염관리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치과 필수 의료장비이자 감염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지만, 멸균관리가 까다로운 게 바로 핸드피스다. 덴츠플라이시로나의 핸드피스 멸균기 ‘Nitram revolution’은 무엇보다 완벽한 멸균, 사용 편의성에 중점을 둔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높은 기술력으로 검증된 살 바이러스 효과 치과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핸드피스는 환자의 구강에 근접 사용되기 때문에 감염관리가 철저하게 필요한 기구다. Nitram revolution은 높은 기술력과 검증된 살 바이러스 기능으로 전 세계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덴츠플라이시로나의 핸드피스 멸균 오일링 장비다. Nitram revolution의 완벽한 감염관리를 가능하는 세 가지 키포인트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 번째, Nitram revolution은 ‘All-in-one system’을 갖추고 있다. Nitram revolution의 자동 시스템은 한 번의 프로세스로 6개의 핸드피스에 대한 △내·외부 세척 △134도 고온멸균 △오일링 과정 등을 약 21분 만에 수행한다. 이러한 A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가 지난해 출시한 플라즈마 임플란트 표면 처리기 ‘Plasma X(플라즈마 엑스)’에 대한 임플란트 임상의들의 관심이 높다. Plasma X는 임플란트 표면을 플라즈마로 활성화해 Xpeed 표면을 Xpeed Active(엑스피드 엑티브)로 만들어 임플란트 골융합을 더욱 증대시킨다고 메가젠 측은 설명했다. 우수한 친혈성, 혈액공급 활성화 극대화 메가젠은 임플란트 표면 S-L-A에 칼슘이온을 결합해 골융합 성능을 증진한 표면처리기술인 ‘Xpeed’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표면에 칼슘 이온을 코팅하는 경우는 있지만, 결합기술로 골융합 성능을 향상한 것은 메가젠이 유일하다는 것. 이 표면 처리를 통해 잔존 산의 위험성을 낮추고, 조골세포 증식력이 2배 증가하며, 단백질 흡착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메가젠 관계자는 “더욱이 Xpeed 표면 처리 기술에 플라즈마로 표면을 활성화하면 우수한 친혈성으로 혈관 형성 및 혈액 공급 활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기존 표면처리 대비 극대화된 표면 성능이 가능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메가젠 측에 따르면, P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최근 UV 표면처리에 대한 다양한 연구결과로 그 우수성이 입증되며 UV 임플란트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UV 표면처리 시스템이 대거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디오는 이미 한 발 앞서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 필요한 골융합 기간을 단축하는데 필수적인 표면처리 기술을 선보였다. ‘UV Activator2’가 바로 그 주인공으로, 단 20초의 UV 조사로 임플란트 표면에 광촉매 효과를 만들어내는 표면처리 기술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여기에는 7년이라는 연구개발기간이 소요됐다. 출시 전부터 기대를 한몸에 받은 ‘UV Activator2’는 획기적인 진료기간 단축으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독보적인 판매량을 기록했다. 또한 검증된 친수성 효과와 출시 이후 임상 증례까지 누적되며 그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UV를 주제로 한 세미나를 개최, 임상에서의 다양한 활용법에 대해 공유하며 높은 활용도를 증명하기도 했다. 따라올 수 없는 독보적인 기술력 UV 조사 시스템의 원조 격인 ‘UV Activator2’는 지속적으로 UV 임플란트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전 세계의 임상가들이 ‘UV Acti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스(대표 심기봉)의 골이식재 브랜드 ‘Ovis(오비스)’가 술자의 편의성과 시술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등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골이식재 시장에서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GBR 종합 솔루션 ‘Ovis’는 어떠한 케이스에도 활용 가능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GBR은 환자 케이스나 상황에 맞는 적절한 골이식재 선택이 중요한데 ‘Ovis’는 다양한 라인업으로 사용자들로부터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게 덴티스 측의 설명이다. ‘Ovis’ 라인업은 △합성골 ‘Ovis BONE BCP’ △합성골 ‘Ovis BONE HA’ △동종골 ‘Ovis ALLO’ △이종골 ‘Ovis XENO’(Bovine), ‘Ovis XENO-XP’(Porcine)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Ovis BCP/Collagen MEMBRANE’, ‘Ovis MEMBRANE-P’ △비흡수성 PTFE 멤브레인 ‘Ovis TRM’ 등 총 8가지로 구성돼 있다. ‘Ovis BONE BCP’는 HA(Hydroxyapatite)와 β-TCP를 2:8의 황금비율로 혼합해 만든 Biphasic Calcium산 Phosphate 계열의 합성골 이식재다. HA는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환자들의 심미보철에 대한 수요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심미보철물 중 세라믹 보철물에 대한 접착을 해결하기 위한 임상의들의 고민은 여전하다. 접착 절차가 복잡하고, 접착 강도 또한 높아야 하기 때문.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 3M은 단순한 절차로 가장 강력한 접착강도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Adhesive Resin Cement ‘RelyX™ Ultimate’ RelyX™ Ultimate 시멘트와 Single Bond Universal을 사용하면 단 2개의 구성품으로 세라믹 보철물을 세팅 할 수 있고, 강도 또한 RMGI 시멘트, 자가접착형레진시멘트보다 강력하다. RelyX™ Ultimate 시멘트는 무엇보다 글래스 세라믹 보철물에 특화된 시멘트로 Single Bond Universal과 함께 사용하면 모든 보철물 표면의 모든 인디케이션에 사용 가능하다는 게 큰 특징이다. RelyX™ Ultimate 시멘트를 Single Bond Universal과 사용하면 본딩제를 광중합하지 않고서도 보철물 세팅을 할 수 있다. 이는 본딩제의 피막두께(Flim Thickness)로 인해서 보철물의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오(대표 김진백)가 지난해 11월 출시한 ‘New Dr. SOS+ Kit’가 개원가에서 화제다. 임플란트가 점차 보편화되면서 임플란트 관리와 유지 보수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자연스럽게 관련 툴도 점차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데, 이런 가운데 디오의 ‘New Dr. SOS+ Kit’가 개원가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한 툴로 평가받으며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New Dr. SOS+ Kit’는 임플란트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는 키트로, 구성품의 개수를 간소화해 복잡함을 없애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픽스처만 제거하는 게 아닌 △어버트먼트 파절 △스크루 파절 △힐링 어버트먼트 마모 △1.2 헥스 뭉개짐 등 다양한 케이스를 키트 하나로 해결할 수 있게 구성, 특별함을 더했다. 구성품은 △Universal Driver △Screw Guide △Screw Remove Bar △Reverse Cutting Drill △Screw Remove Tip △Screw Holder △Square Wrench 등으로 심플하지만, 모든 케이스를 커버할 수 있는 툴로 구성해 식립 실패 케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2005년 설립된 덴티스(대표 심기봉)는 1년 후 ‘Cleanlant’를 출시하면서 임플란트의 본격적인 개발 및 생산을 알렸다. 초기 임플란트 모델인 ‘Cleanlant’라는 브랜드에서 알 수 있듯이 덴티스만의 독자적인 클린공정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해 안정적이고 일관적인 고품질의 임플란트를 생산하고 있다. 덴티스는 SLA 및 상온 초박막 HA 코팅 등 독자적인 표면 기술을 연구 개발해 보유하고 있다. 2019년에는 국가로부터 신기술로 인정받은 나노 표면 기술(ENF)도 확보했다. 이번호에서는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요인으로 재조명되고 있는 덴티스의 임플란트 솔루션 덴티스 ‘SQ’, ‘OneQ’, ‘I-FIX’를 집중 소개한다. ‘SQ’ 임플란트의 번거로움 한 번에 해결 ‘OneQ’ 출시 이후 6년 만에 선보인 ‘SQ’는 15년 이상의 임상으로 검증받은 임플란트 기술력을 집약해 2018년도에 공식 출시한 제품이다. 출시 4년차에 접어든 ‘SQ’는 강력한 골유착, 빠르고 편리한 식립감, 심미성 모두를 커버하는 완벽한 솔루션으로 여전히 임상가들 사이에서 각광받고 있다. ‘SQ’는 ‘Submer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