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하 네오)가 과거 출시한 ‘Abutment Positioner’가 임플란트가 대중화된 지금, 임상의 필수도구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네오 관계자는 “유사한 컨셉의 제품이 존재하긴 하지만, ‘Abutment Positioner’는 좁은 구강 내 구치부 쪽에서도 한 손으로 체결할 수 있는 원조격의 제품으로 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고 말했다. 좁은 구강 내에서 Abutment를 위치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한 손에는 Abutment를, 다른 한 손에는 드라이버를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Abutment Positioner’는 한 손으로 Abutment와 스크루를 동시 체결 가능하게 만들어졌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시술에 적합한 Hex 드라이버를 선택한 후 그에 맞는 ‘Abutment Positioner’를 체결한다. 체결된 ‘Abutment Positioner’와 Hex 드라이버에 스크루를 체결한 후, Abutment를 체결하면 1차적인 준비가 완료된다. 구강 내에서 체결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Abutment 스크루로 픽스처와 고정을 시킨 후, Abutment의 자리
디지털 장비나 소프트웨어 없이도 활용 가능한 덴티움의 아날로그 가이드 제품인 △Implant Guide Kit △Polymer Guide가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덴티움에 따르면 해당 제품은 디지털 장비에 대한 막대한 투자 없이도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콘트롤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먼저 ‘Implant Guide Kit’는 Spacer와 Parallel pin으로 인접치아와 임플란트 사이의 거리를 고려해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제품이다. Spacer의 경우 실리콘 재질로 돼 있어 주변조직의 손상 없이 드릴링이 가능, 인접치가 존재하는 싱글 케이스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아울러 다양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Multi Guide는 기준점에서 수평으로 Drilling point를 제시하는 구조로 고안돼, Bridge case implantation 시 초보자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다. 한 번 구매하면 추가 비용 없이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두 번째 ‘Polymer Guide’는 석고모형을 이용해 Surgical Guide를 제작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제품이다. ‘Polymer Gu
신흥이 스마트한 구강 카메라 ‘Qraypen (제조사:아이오바이오)’을 출시했다. ‘Qraypen’은 치과용 구강카메라로, Qray기술을 통해 청색광과 백색광에 상관없이 큐레이 촬영과 일반촬영, 연속촬영을 모두 가능하게 해주는 진단 장비다. 특히 기존의 다른 구강 카메라와 달리 큐레이 촬영을 통해 치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 꼽힌다. 또한 헤드의 탈부착 없이도 손쉽게 LED 변경이 가능한 일체형 구조를 갖고 있으며, 자동초점기능과 간편한 원터치 촬영 버튼을 탑재하고 있어 보다 편리한 촬영이 가능하다. 촬영한 결과물도 모니터를 통해 환자와 함께 구강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아이오바이오 윤홍철 대표는 오는 23일 신흥연수센터에서 ‘실전 Qray A부터 Z까지 정복하기’ 세미나를 개최한다. 윤 대표는 이번 세미나에서 △Qray의 원리와 임상적 의미 △크랙 진단과 치료 △치태관리에서의 Qray 활용 등을 주제로 강연한다. 또한 강의 중 Qray 기술의 원리를 임상에서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는 임상 증례가 제시될 예정이며, 보험 프로그램과 연동된 촬영, 저장 및 확인 방법 등 촬영 전 과정을 살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
조광덴탈(대표 김용주)이 착용 시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오토클레이브 멸균으로 반복사용이 가능한 신개념 개구기 ‘ComfortView’를 출시했다. 개구기는 우선 술자의 시야확보라는 본래의 기능에 충실해야 한다. 조광덴탈에 따르면 ‘ComfortView’는 볼 안쪽과 치은 치료에 용이하도록 볼과 입술을 효과적으로 벌려주는 역할을 한다. 덕분에 술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기구 등의 접근성이 매우 용이하다. 또 하나의 장점은 인체공학적인 설계에 있다. 우수한 해부학적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하는 부분에 쿠션이 달려 있어 착용 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한다. 덕분에 장기간 착용한 상태에서도 큰 무리 없이 진료가 가능하다. 무엇보다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ComfortView’의 가장 큰 특징이다. 치과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개구기는 일회용. 하지만 ‘ComfortView’의 경우 오토클레이브 살균이 가능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체와 쿠션을 분리해 오토클레이브에 넣기만 하면 된다. 더불어 반복 사용으로 인해 쿠션이 헐거워지거나 푹신함이 줄어드는 것에 대비, 조광덴탈에서는 쿠션만을 별도로 판매하고 있다. 조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체어용 전기모터 ‘Power prep’을 출시, 기존 에어 하이 스피드 핸드피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Power prep은 기존 유니트체어에 전기모터를 추가 탑재하는 방식으로, 강력한 절삭력 구현, 세련된 디자인, 합리적인 가격 등으로 출시 직후부터 개원가의 관심을 받고 있다. Power prep은 강력한 절삭력으로 손쉽게 보철물 제거가 가능하다. CAD/CAM 등 디지털 장비 보급이 늘어나면서 보철물 강도 또한 높아 이를 제거하거나 절삭하는데, 적지 않는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 Power prep은 강력하면서 일정한 토크 값을 유지해 기존 에어 방식 대비 5배 강력한 파워를 자랑한다. 기존 에어 터빈 방식이나 토크 값이 불안정한 전기모터의 경우 임상의가 직접 힘을 조절하면서 세심하게 보철물을 삭제해야 했다. Power prep은 힘 조절에 크게 신경 쓰지 않더라도 강력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일정한 토크 값을 유지해 보다 쉽고 안전하게 보철물을 제거한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Power prep은 강력하면서도 미세한 프렙 및 정밀한 마진형성도 용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RPM값 조절이 가능
덴티움이 튼튼한 강도는 물론, 고투과로 심미성을 가미한 지르코니아 블록 ‘rainbow™ Shine-T’를 개발, 출시했다. 지르코니아는 PFM의 대체재로 비교적 간편한 기공과정과 환자들의 만족도 향상 등 치과보철의 패러다임 전환에 크게 기여해왔다. 하지만, 지르코니아의 특성상 치아 특유의 투명감이 표현되지 않아 적용부위가 구치부에 한정되는 것이 단점으로 작용해왔다. 덴티움은 기공사의 니즈를 충족시키면서 투과성을 높인 지르코니아 블록 샤인티를 출시해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전치부 지르코니아 블록 선택에 있어 투명도는 매우 중요한 기준이다. 지르코니아를 전치부에 적용할 경우 추가적으로 기존의 복잡한 포세린 빌드업 과정이 필요하고, 파절의 위험성을 동반한다. Shine-T는 복잡한 포세린 빌드업 과정 없이 전치부의 심미적인 재현이 가능해 기공사의 업무 편의성을 극대화 시킨 제품이라는 게 덴티움 측의 설명이다. Shine-T는 A0, A2 Shade 블록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A0 블록 기준으로 투과율 45%, 1,100MPa이상의 강도를 보여, 싱글 케이스뿐만 아니라 브릿지 등 크로스 아치도 안정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Disk type과 Step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김인호, 이하 네오)이 임플란트 주위염 해결을 위해 혁신제품을 꾸준히 개발, 출시하고 있다. 네오는 지난 2012년 ‘i-brush’를 시작으로, 2013년에는 ‘R-brush’를, 2016년에는 ‘i-brush2’를 통해 지속적으로 관련 제품을 업그레이드해오고 있다. 올해는 ‘T-Brush’를 출시해 임플란트 주위염 처치를 위한 꾸준한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i-brush와 i-brush2는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 부위에 무절개 시술이 가능하며, 임플란트 표면의 염증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Bone Loss를 차단해 GBR 후 신생골 생성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R-Brush는 i-brush 제품군에 비해 빠른 속도로 임플란트 표면의 염증을 제거할 수 있다. Round 형태의 Brush가 임플란트 표면을 감싸면서 회전해 빠른 속도로 염증을 제거, i-brush 제품군에 비해 약 10배정도 빠른 속도로 염증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게 큰 특징이다. 최근 출시된 ‘T-Brush’는 i-brush와 R-Brush의 단점인 1회용 사용을 다회용으로 개선한 제품이다. 임플란트 주위염 처치기구를 재사용할 경우 교차 감염의 위험성이 있
로벨코리아(이하 로벨)가 지난 2일부터 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IDEX 2017을 통해 획기적인 구강마취 시스템인 ‘QuickSleeper5’를 국내에 론칭했다. 로벨 측은 QuickSleeper5에 대해 “구강마취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 것”이라고 자신감을 표하고 있다. 특히 로벨은 이번 SIDEX 2017에서 QuickSleeper5의 론칭 및 홍보를 더욱 적극적으로 펼치기 위해 제품 개발에 참여하고, 코어 유저로서 다양한 교육활동을 하고 있는 프랑스의 Dr. Eric Le Guedard를 초청했다. Dr. Guedard는 로벨 부스를 찾는 치과의사들에게 제품의 유용성을 직접 설명하는 등 전시회 기간 동안 QuickSleeper5 홍보에 적극 나섰다. QuickSleeper5는 마취에 관한 매우 효과적인 기술이 돋보인다. 골수강 내 마취는 치근과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시술하는 골내 마취로, QuickSleeper5는 해면골의 중앙에 마취제를 주입하기 때문에 다른 마취 기술보다 훨씬 효과적이라는 게 Dr. Guedard의 설명이다. QuickSleeper5는 마취제 주입량 조절로 마취 범위와 마취 지속 시간,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그 효과
메디컬 디바이스 마케팅 및 컨설팅 전문기업 메디허브(대표 염현철)가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의료기기 R&BD 플랫폼(이하 서울대플랫폼)과 공동개발한 자동 마취기 ‘I-JECT(아이젝)’ 출시를 앞두고 지난 22일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기자간담회는 서울대플랫폼 총괄책임을 맡고 있는 조병훈 교수(서울치대 보존과)와 메디허브 염현철 대표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서울대플랫폼 책임 연구원인 임재관 교수가 이번 개발 프로젝트 과정 전반을 설명하고, 서울대플랫폼 사업의 의의 및 방향성 등에 대해 브리핑했다. 이어 염현철 대표가 아이젝 제품을 개발부터 시제품 출시까지 과정, 그리고 제품의 특장점에 대해 설명했다. 염현철 대표는 “아이젝은 인체공학적인 디자인과 편리한 작동 매뉴얼로 치과에서의 국소마취 시술에 날개를 달아줄 스마트한 디지털 무통마취기다”며 “5건의 특허기술을 바탕으로 서울대플랫폼과 공동 연구 개발한 아이젝은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그립 시 손의 무게 중심을 완벽히 구현해 시술자가 느끼는 손의 피로도를 해소하고, 가볍고 심플한 작동법으로 쉽고 편리한 사용이 큰 장점”이라고 소개했다. 아이젝은 시린지를 쥐는 동작과 같은 익숙한 포즈로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지난해 말 출시한 생활미백제 ‘BeauTis White’가 우수한 효과와 낮은 부작용을 앞세우며 시장에서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심미치료에 대한 환자수요가 꾸준히 늘고, 가정에서 사용하는 생활미백의 활성화로 시장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매년 신제품이 활발하게 출시되고, 다양한 유통경로를 통해 적극적인 소비가 이뤄지고 있을 정도다. 하지만 보통의 히트상품들은 스테디셀러로 이어지지 않고, 리네이밍 및 포장을 변경해 재포지셔닝하는 사례가 많을 정도로 제품수명이 짧다. 미백성능 면에서 소비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BeauTis White’는 생활미백제로서 다른 제품들과 동일하게 Hydrogen Peroxide 3%가 주성분이지만, 효과는 전문가 미백에 버금갈 정도로 우수하다. 더불어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치아미백관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생활미백제는 팬 또는 패치타입이다. 하지만 ‘BeauTis White’는 누르는 주사기 방식으로 돼 있어, 미백제 양 조절이 용이하고, 구석까지 꼼꼼히 바를 수 있다. 사용법도 매우 간편하다.
매클립스(대표 심윤섭)가 구강내 특징을 고려한 인체 공학적 설계로 만들어진 코골이·수면무호흡 장치 ‘MACLiPS®7’을 선보였다. 매클립스가 출시한 ‘MACLiPS®7’은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춤형으로 제작된 코골이·수면무호흡 환자를 위한 장치다. 상악과 하악에 착용하는 두 개의 스플린트로 구성, 조절이 가능한 클립으로 갈아 끼움으로써 하악턱의 위치를 앞으로 전진하게 돼 수면 무호흡을 경감시켜주는 원리다. ‘MACLiPS®7’은 기존 장치와 달리 메탈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사용자들의 착용감을 높였다. 또한 구강내 체온과 장치의 온도 친밀도가 뛰어나 타사 장치에 비해 이물감이 적은 게 특징이다. 특히 상·하악을 고정하지 않아 개구운동이 자유로워 사용자가 편하게 대화를 할 수 있다. 매클립스 관계자는 “‘MACLiPS®7’ 출시 기념 이벤트를 진행중이다. 주문 의뢰 시 바이트 채득 전용 게이지 GAUGE10을 증정하며, 제조상 결합에 대해서는 24개월간 품질을 보증해준다”고 전했다. ◇문의 : 1599-5969 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판매하고 있는 이보클라비바덴트의 Ivoclean, Monobond N, Multilink Speed가 지르코니아 시멘테이션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개원가의 인기를 끌고 있다. ‘Ivoclean’은 보철물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한 유니버셜 세척제로, 수복물의 결합표면을 효과적으로 세척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오스템 담당자는 “물이나 인산으로 세척작업을 진행할 경우, 구내 시적 후 생겨난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힘들다”며 “‘Ivoclean’은 탁월한 세척제 역할을 하며, 강력한 보철물 합착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만들어 준다”고 설명했다. 작업 프로세스가 매우 간단한 것도 장점이다. 사용 전 충분히 흔든 ‘Ivoclean’을 20초 간 적용한 후 물로 세척하고 말리기만 하면 된다. ‘Monobond N’은 메탈, 세라믹, 지르코니아 등 다양한 종류의 수복물에 대해 전처리가 가능한 만능 프라이머로, 종류에 따라 여러 개의 프라이머를 구매해 사용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경제적인 것이 특징이다. 오스템 담당자는 “△Silane methacrylate △Pho- sphoric acid methacrylate △
필립스의 어린이용 프리미엄 음파칫솔 ‘소닉케어 키즈’가 인기 아동 애니메이션 ‘다이노코어 시즌2’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필립스 소닉케어 키즈 스페셜 에디션’을 선보였다. 블루투스 모드를 지원하는 ‘HX6321 모델’ 패키지는 7만원, 일반 음파칫솔인 ‘HX6311모델’ 패키지는 5만9,000원이다. ‘필립스 소닉케어 키즈 스페셜 에디션’은 총 1,000대 한정 수량으로 전국 백화점과 온라인몰에서 구입 가능하다. 현재 SSG닷컴과 롯데닷컴에서 어린이날 특별 기획전을 통해 최대 17%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소닉케어 키즈’는 힘줘 닦지 않아도 혁신적인 음파기술이 만들어내는 미세하고 강력한 공기방울이 칫솔이 닿지 않는 곳까지 부드럽고 효과적으로 세정해 아이들의 여린 잇몸을 보호하면서 일반칫솔 대비 최대 3배까지 플라그를 제거해준다. ◇문의 : 080-600-6600 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오스템임플란트가 인기리에 판매하고 있는 인상재 ‘HySil’의 대용량 라인을 추가했다. 오스템 관계자는 “점도와 적응증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Light body, Mono body, Heavy body 등을 50ml 카트리지 형태로 공급해 왔는데, 사용량이 많은 치과의 경우 Auto Mixer용 대용량 제품에 대한 출시 요구가 꾸준히 있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에 출시된 대용량 인상재 ‘HySil Auto’는 Auto Mixer용 Mono body, Heavy body로, 380ml 대용량 타입이다. 비용적으로도 50ml 카트리지 제품을 따로 구매하는 것 보다 30% 수준의 절감 효과가 있다. 기존에 점도가 높은 Mono body, Heavy body의 경우, 카트리지를 디스펜서 건에 장착해 사용하다 보니 많은 악력이 요구되어 힘들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HySil Auto’는 Auto Mixer 장비로 Tray에 자동주입 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고 작업시간도 훨씬 단축된다. 오스템은 대용량 인상재와 더불어 Auto Mixer 장비인 ‘HyMix’도 출시했다. ‘HyMix’는 재료 배출 속도가 분당 150ml로, 10초
스피드덴탈(대표 김기수)이 5년간의 연구 끝에 개발에 성공한 세라믹 자가결찰 브라켓 ‘원셀프’를 출시했다. 자가결찰 브라켓은 호선을 쉽게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으로 현 교정시장에서 대세로 자리 잡았다. 거기에 심미성까지 더한 세라믹 자가결찰 브라켓에 대한 수요는 지금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피드덴탈 역시 시장의 대세로 자리 잡은 세라믹 자가결찰 브라켓 개발에 사활을 걸었다. 적지 않은 시행착오도 겪었다. 실제로 5년 전에는 시제품 6,000세트를 전량 폐기하는 일까지 벌어지도 했다. 이렇게 출시된 스피드덴탈의 ‘원셀프’. 세라믹 자가결찰 브라켓의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은 극대화한 제품이라고 김기수 대표는 밝혔다. ‘원셀프’의 가장 큰 특징은 뛰어난 심미성이다. 세라믹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심미성은 물론이고, 클립 부분에서도 최대한 치아색에 가까운 색상을 구현, 심미성을 끌어올렸다. 더불어 국산 세라믹 자가결찰 브라켓 중 높이가 가장 낮아, 이물감을 최소화했으며, 메쉬 구조에 샌딩처리까지 가미한 베이스는 적절한 본딩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최적화했다. 김기수 대표는 “일반적으로 세라믹에 샌딩처리를 할 경우 크랙이 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부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