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수술기구 다양화로 1세대 멸균기인 오토클레이브의 일부 기기 대응이 어려워짐에 따라 플라즈마 멸균기를 보완재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고온 멸균하는 오토클레이브는 플라스틱과 고무 및 실리콘 기구의 형태 변화가 일어나지만, 플라즈마 멸균기는 저온 멸균처리로 물리적·화학적 변화가 거의 없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9분 급속 멸균이 가능한 ‘STERLINK Lite’가 독보적인 경쟁력을 자랑하며 개원가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FDA 인증 기업인 플라즈맵이 출시한 ‘STERLINK Lite’는 저온 진공상태 기술을 통해 별도의 가스 사용 없이 플라즈마를 생성해 진공상태를 유지한다. 균일한 플라즈마 효과로 기존 제품 대비 차별화된 공간·비용 효율성을 갖췄으며, 강력한 멸균력과 표면 처리력을 보장한다. 과산화수소를 활용해 복잡한 기기의 멸균과 관리를 진행하고 빠른 멸균시간을 통해 기구의 손상 부담을 줄였으며, 금속과 스테인리스의 내구성을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기기와 고무 및 실리콘 기기를 형태 변화 없이 안전하게 멸균처리한다. 380㎜의 최적화된 챔버 사이즈와 6ℓ 용량으로 경제성을 높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보바인이 오일주입형 핸드피스 멸균기 ‘마이스터_미니(myster_mini)’를 출시했다. ‘마이스터_미니’는 고압증기를 활용한 멸균은 물론 핸드피스 세척, 오일링 기능까지 갖춘 멸균기로 외산장비에 의존해 왔던 국내 핸드피스 멸균기 시장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각오다. ‘마이스터_미니’의 가장 큰 장점은 단 한 번의 터치로 핸드피스 오일 주입 및 멸균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기존처럼 수동으로 오일을 주입할 경우 그 과정에서 분사되는 미세한 오일 입자를 사람이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양의 오일 분사로 잔여오일이 남을 수 있다. 하지만 ‘마이스터_미니’는 손으로 세척할 수 없는 핸드피스 내부를 고압의 물과 에어로 세척하고, 정량의 오일을 분사해 잔여오일을 최소화한다. 핸드피스 제조사별 전용 어댑터를 이용해 카보, 엔에스케이, 더블유엔에이치 등 하이와 로우 핸드피스의 모든 앵글을 장착할 수도 있다. 게다가 외산 보다 2개 더 많은 최대 8개의 핸드피스를 장착, 한 번에 많은 양의 핸드피스를 멸균할 수 있다. 건조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도 ‘마이스터_미니’의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다. 물론 핸드피스 전용 트레이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신흥이 다음달 3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하는 임플란트 심포지엄 ‘제14회 SID 2023’에서 DV World 전시회를 진행한다. DV World에서는 신흥 임플란트 제품 SIS를 비롯한 다양한 치과용 기기 및 재료를 특별한 프로모션으로 만나볼 수 있다. 가장 먼저 눈 여겨 볼 것은 SIS 임플란트 프로모션이다. ‘SIS Learn with Experts’ 강연에서 소개되는 SIS 제품을 토탈 패키지로 구매할 수 있으며, 전시 특가로 선보인다. 구매 금액에 따라 추가 사은품을 제공하며, 골드니안 패키지 프로모션(SIS 임플란트 구매 시 골드니안 60% 이상 할인)도 준비돼 있다. 지난 6월 2023 DV Space World Seoul에서 첫 선을 보인 ‘S-Oss’도 특가 판매를 진행한다. ‘S-Oss’는 BSE 안심 국가인 호주에서 만들어진 소뼈 100%로 만들어진 순수 이종골 이식재다. ‘S-Oss’는 이번 SID 2023에 유료 등록한 참석자에 한해 SIS 부스에서 사은품으로 제공된다. 인상 채득과 바이트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Bite Impression Coping’도 프로모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켄뷰 코리아(대표이사 백준혁)’의 구강청결제 브랜드 리스테린이 신제품 ‘리스테린 토탈케어 캐비티케어 마일드’를 출시했다. ‘리스테린 토탈케어 캐비티케어 마일드’는 기존 치약 대비 7배 더 강력한 충치예방 효과를 자랑한다. 18% 높은 불소 흡수율로 더욱 튼튼한 치아 관리가 가능하고, 에탄올이 첨가되지 않아 자극이 적어 처음 사용하더라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치약 속 계면활성제와 결합 시 치아 변색을 일으키는 CPC(세틸피리디늄) 대신 유칼립톨, 레보멘톨, 티몰, 살리실산메틸 등 4종류의 에센셜오일 성분이 포함돼 있어 양치질 직후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고, 칫솔질로 닿지 않는 입속 면적의 75%까지 침투해 구강 내 세균을 99.9%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치실 대비 5배 더 강력한 프라그 억제 효과를 자랑한다. 리스테린 관계자는 “최근 과도한 디저트 섭취 및 잘못된 식습관으로 충치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는 1020세대 소비자들의 구강 건강 개선을 위해 충치 예방 구강청결제 ‘리스테린 토탈케어 캐비티케어 마일드’ 신제품을 선보이게 됐다”면서 “이번 신제품은 강력한 충치 예방효과뿐만 아니라 저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오스코가 신제품 ‘마크 CC’ 인레이 버를 출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마크 CC’는 버의 끝에서 2㎜ 부분의 0.5㎜ 폭의 레이저 마킹을 기준으로 와동을 형성을 함으로써 CAD/CAM 인레이에 필요한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제품의 끝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Round taper 형태로, 다이아 끝으로부터 2.0㎜ 부분에 0.5㎜ 폭의 흑색 눈금을 표시했고, 이를 기준으로 인레이 와동을 1.5~2.0㎜의 균일한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인레이 2급 와동의 인접면 박스 형성 시에도 흑색 눈금의 상부가 바 끝에서 2.5㎜에 위치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 오스코 측의 설명이다. 또한 ‘마크 CC’는 축면의 길이가 짧은 CAD/CAM 크라운이나 금속관 등 유지 형태가 필요한 증례에서도 2㎜~2.5㎜의 눈금을 기준으로 부족함이 없는 정밀한 그루브나 홀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오스코 관계자는 “심미적인 수복물에 대한 니즈가 증가함에 따라 크라운 및 인레이 와동 형성시 정밀하면서도 섬세한 프렙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 치관 축면 형성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오스비스(대표 이원준)가 지난 5월 출시한 ‘Lilivis Implant’가 뛰어난 초기 고정력과 보철 편의성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Lilivis Implant는 오스비스가 개발한 첫 번째 임플란트로, Self-tapping 능력, 안정적인 초기 고정력, 최적의 식립감 등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보철 편의성을 극대화했다는 평가다. 최적의 식립감과 표면 안정성 ‘Lilivis’ 임플란트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단연 폭넓은 임상 적응증을 커버한다는 점이다. Ø 4.0~7.0에 7~15㎜까지 구성된 픽스처 라인업을 통해 좁은 골폭, 전치, 구치부 발치 후 즉시 식립 등 전 케이스를 커버하는 구성은 거의 모든 임플란트 케이스에 최적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게 오스비스 측의 설명이다. Lilivis는 Tapered body 디자인을 적용해 고경 확보가 어려운 구치부 접근에 유리하게 설계됐다. 추가적인 드릴링 없이 픽스처의 Self-Tapping으로도 Crestal Bone 하방에 식립이 용이하며, 낮은 고경에서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Double Thread는 빠르고 부드러운 식립감을 제공하며, 식립 깊이를 조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네오덱스(대표 윤성준)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에서 지원하고 서울대치과병원(원장 이용무)에서 수행하는 ‘2023년 국산의료기기 신제품 사용자 평가 지원사업’에 선정돼 서울대치과병원 치주과 조영단 교수를 비롯한 연구원이 연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신제품 의료기기 평가 결과는 향후 네오덱스의 1인 치과진료 시스템 ‘HIPPO-D’의 개발 및 업그레이드에 적극적으로 반영될 예정이다. 네오덱스가 선보이고 있는 ‘Hippo-D’는 석션 장치와 연조직 견인이 가능한 부분이 함께 연결돼 있어 진료 보조인력의 도움 없이도 술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환자의 입크기와 모양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 가능한 탄성 재질로 제작된 ‘Hippo-D’는 교정치료 뿐만 아니라 치주나 보철 등 대부분의 치과치료에 사용할 수 있어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네오덱스 관계자는 “기존 ‘HIPPO-D’ 제품 역시 연결 고리 중 상대적으로 취약했던 플라스틱 부분을 메탈 소재로 업그레이드해서 판매를 시작했다”면서 “서울대치과병원과 협력해 자사의 제품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을 개조 및 변경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하 네오)이 덴탈 분야에 최적화된 LCD 3D프린터 ‘NeoSpeed Ⅱ’를 론칭했다.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3D프린터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나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빛 조사방식으로 출력물을 제작하기 때문에 빛이 조사되는 면적이나 균일도가 출력물의 퀄리티를 결정한다. ‘NeoSpeed Ⅱ’는 DLP와 LCD의 장점을 결합한 통합 광원 시스템으로 95%의 빛 균일도가 구현되도록 설계됐다. 면 단위의 빛이 조사돼 출력속도가 빠르고, 일체형 광원을 사용해 재료를 굳히는 LCD에 빛이 균일하게 조사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핵심 부품인 LCD 패널의 내구성이 높아 타사 제품에 비해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덴탈 분야에 최적화 되도록 인쇄 높이를 100㎜로 제한하고, 듀얼 리니어 가이드 레일과 볼 스크루의 이중 구성으로 흔들림 없는 Z축 리프팅 시스템을 적용, 장비의 불필요한 부담은 줄고 Z축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등 출력물의 정확도가 높아지도록 설계됐다. 3D프린터의 수조에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푸르고바이오로직스(대표 윤창배·이하 푸르고)가 다음달 28일부터 3일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EAO 2023(부스번호 E41)에 참가한다. 푸르고는 자산의 대표제품 ‘THE Graft’에 대한 전 세계 50여개국의 수출허가를 획득했으며, 유럽시장에서 이미 10년 넘게 판매를 이어오고 있다. 푸르고는 이번 EAO 2023에서 ‘THE Graft’를 비롯해 콜라겐을 함유한 △‘THE Graft Collagen(국내 판매 제품명 : Lego Graft)’ △멤브레인 ‘THE Cover’ △Suture ‘Biotex’ 등을 선보인다. 무엇보다 돼지유래 타입-1 콜라겐과 ‘THE Graft’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낸 ‘THE Graft Collagen’은 세계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영역에 비슷한 제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THE Graft Collagen’처럼 블록이나 링 타입으로 제조되는 제품은 없기 때문. 한 발 더 나아가 푸르고는 향후 ‘THE Graft Collagen’을 삼각형이나 판상형 등 다양한 형태로도 출시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EAO 2023 푸르고 부스에서는 독일, 영국,
‘Super Bond C&B’를 처음 사용한 때는 공보의 1년차였던 2005년이었습니다. 현재까지 계속 사용하고 있으니 17년째 제품을 사용해온 것이지요. 사실 ‘Super Bond C&B’는 워낙 유명해서 오랜 세월 개원의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임상에서는 1. Casting Post Setting 2. Fiber Post Setting 3. 임플란트 식립 위한 대합치 정출 방지 위한 Wire Splinting 시 Wire가 붙어야 할 곳이 자연치면이 아닌 보철물일 때 4. 자연치 Splinting 5. 교모 시 종종(Bond Fill이 나온 후에는 대부분 Bond Fill만 사용) 6. 보철물 수리 (Porcelain 파절 및 Denture 수리 등) 7. 리텐션이 매우 부족한 보철물 Setting 등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중 제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케이스는 1번과 2번, 3번 사례입니다. Casting Post와 같은 경우 매우 뛰어난 시멘트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보철과 출신 원장님들도 Casting Post에서 적용하기 좋은 시멘트라는 의견을 주고받곤 합니다. 근관 내 와동까지 잘 흘러 들어갈 수 있고, 자가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지털 전문 치과기공소 지르카(ZIRCAR)가 다음달 23일과 24일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GAMEX 2023에 출품한다. 치과계는 디지털 기술의 등장으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덴탈 소재, 부품, 장비 등이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디지털 워크폴로우에 적합한 치과기공소를 찾는 것도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다. 지르카는 수년간 수십 개의 디지털 치과와의 협업을 통해 디지털 치과기공의 남다른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그간의 노하우와 인프라를 바탕으로 디지털 환경이 각기 다른 치과에 최적화된 맞춤형 치과기공물을 제공한다. 이번 GAMEX 2023에서도 디지털 치과기공과 관련된 지르카의 노하우를 모두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지르카 관계자는 “디지털 전환을 준비 중이거나 디지털 전문 치과기공소를 찾는 치과의사를 위해 특별한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현장 방문을 통해 혜택을 누리길 바란다”고 말했다. GAMEX 2023 지르카 부스를 방문해 설문에 참여한 치과의사에게는 ‘임플란트 가이드 1회 제공권’을 증정한다.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지난달 24일 공식 론칭한 ‘루비스 체어’의 1호 설치 고객이 탄생했다. 대구 서구에 위치한 손형민 원장(서대구오늘치과)이 그 주인공. 손형민 원장은 ‘루비스 체어’ C 클래스의 오렌지 컬러를 선택했다. C 클래스는 진료등 ‘루비스 C700’이 기본 옵션으로 장착된 모델이다. 손형민 원장은 “유니트체어 교체를 고민하던 중 덴티스의 신제품 ‘루비스 체어’를 알게 됐다. 진료 편의성을 높여주는 넓은 닥터테이블을 비롯한 세심한 기능들이 마음에 들어 결정하게 됐다”며 “진료실의 품격을 한층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프리미엄 유니트체어라는 확신이 들었다. 특히 화이트 톤의 진료실 인테리어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오렌지 컬러가 무척 마음에 들었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루비스 체어’는 △기술력 △편안함 △편의성 △안전성 등 4가지 메인 키워드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탑재했다. 클래스 별 제공되는 진료 및 수술등 이외에도 술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수술 키트와 직관적인 작동 인터페이스, 전동식 높이 조절 기능 등을 제공한다. 왼쪽 손잡이에는 통증 알림 시스템이 있어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오스템임플란트(대표 엄태관·이하 오스템)가 운영하는 치과 포털 덴올의 쌍방향 소통 방송 ‘라이브쇼’가 새로운 치과계 유통 플랫폼으로 떠오르고 있다. 합리적 가격과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라이브커머스가 치과의사 니즈에 부합했다는 분석이다. 오스템 측에 따르면 지난 7월 25일 진행한 라이브쇼 ‘A-Oss 스페셜 패키지’ 편은 기대 이상으로 동시 접속자가 몰리면서 트레픽이 급증했다. 일반 가전기기나 가구, 사무용품을 선보였던 것과 달리 처음으로 치과 제품을 판매하면서 치과의사들의 주문이 몰렸기 때문. 실제 ‘A-Oss 스페셜 패키지’는 시청자 대비 주문 전환율이 34.2%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것. 관계자는 “치과재료 제품 특성상 치과계 종사자 대상, 로그인 회원만 시청 가능한 폐쇄몰 형태였음에도 판매량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라이브쇼 시청 후 A-Oss 스페셜 패키지를 구입한 신규 거래처는 25곳. 이는 지난 7월 25일 단 하루 라이브스트리밍 및 덴올 VOD 서비스를 통해 나온 수치로, 라이브쇼가 치과 제품 판매와 영업망 확대에 새로운 경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덴올 라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디오에프연구소(이하 DOF)가 디지털 덴탈 플랫폼 ‘DOF SYNC’를 출시했다. ‘SYNC’는 기존의 종이 의뢰서를 온라인으로 대체하고, 보철물 제작에 필요한 파일 전송 및 통계, 정산, 골드 관리 등 기공소 전반의 업무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자체 개발 플랫폼이다. DOF의 CAD/CAM 장비를 사용 중인 현장 실무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개발 착수, 완성된 신규 플랫폼으로 효율적인 기공소 운영에 필요한 필수 요소를 갖춘 최적의 솔루션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SYNC’는 치과와 기공소, 치과기공사의 손쉬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환자별 보철 제작현황 확인 및 실시간 채팅 기능을 통해 기존에는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일일히 확인해야 했던 과정을 클릭 몇 번으로 대체할 수 있다. 3D Viewer를 통한 파일 업로드, 미리보기 기능과 연동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해 상세 확인 및 수정 또한 가능하기 때문에 파일 누락 및 리메이크 위험을 감소시켜준다. 기공소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경영관리 기능들도 탑재됐다. 기간별 주문 수량, 작업 현황 확인 및 골드 사용량 관리가 가능하고, 인보이스 발행을 포함한 정산 시스
“3분기부터 눈에 띄는 매출성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매출성장 폭은 갈수록 더욱 좋아질 것으로 확신한다.”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스 심기봉 대표가 회사의 성장에 대한 자신감을 피력했다. 그 배경엔 △‘SQ임플란트’의 중국 NMPA 허가를 필두로 한 해외시장의 성장 △자회사 티에네스의 투명교정 ‘세라핀’의 성장 △‘루비스’를 비롯한 메디컬 영역 확장 등 연이은 호재가 자리하고 있다. ‘SQ임플란트’ 中 허가, 연내 800만 달러 매출 목표 이미 200만 달러 출하되며 하반기부터 매출 바로 반영 먼저 ‘SQ임플란트’의 중국 NMPA 허가부터 살펴보자. 덴티스는 지난달 10일 ‘SQ임플란트’의 중국 NMPA 허가를 공식 발표했다. 발표 당일 덴티스는 상한가(1만4,670원)를 기록했으며, 다음날에도 장중 9% 상승하며 1만5,990원까지 올라갔다. 오스템임플란트와 덴티움 등 국내 대표 치과기업들이 중국에서의 성장을 바탕으로 상당한 매출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전해진 ‘SQ임플란트’의 중국 NMPA 허가. 덴티스도 중국에서 매출성장을 이어갈 수 있다는 기대감이 시장에서 상한가로 표출된 셈이다. 하지만 단순 기대감에 그치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