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오(대표 김진백, 한익재)가 지난 21일과 22일 양일간 부산 센텀 소향씨어터에서 ‘DIO International Meeting 2023(이하 DIM 2023)’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DIM 2023은 디오가 주최하는 글로벌 치의학 심포지엄으로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선도하는 대한민국 치의학 산업의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리며 ‘글로벌 빅 이벤트’로 자리매김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5년만에 개최됐음에도 세계 각국을 대표하는 치의학 석학들이 연자로 참여한 것은 물론, 세계 23개국에서 1,000여명이 넘는 치의학 전문가들이 DIM 2023을 찾았다. 심포지엄은 글로벌 치의학 산업의 최신 연구결과와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디오 김진철 회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박형준 부산시장과 대한치과의사협회 박태근 회장의 축사 등 범국가적 차원에서 추진 중인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홍보하는 민간외교의 장으로도 활용됐다. 국제학술대회 연자로 초청된 국내외 치의학 전문가들은 △디지털 임플란트의 진화 △컴퓨터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의 임상 적용 △광기능성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치료 △디지털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덴탈브레인이 다음달 4일 강남 브레인스펙 세미나실에서 ‘치과를 살리는 직원관리’ 세미나를 개최한다. 개원의와 실장급 스탭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김민정 대표(브레인스펙)가 △나는 조직관리자로서 제대로 되어있는가 △조직관리자로서 업무능력을 평가해보자 △성장과 발전을 이끄는 치과 조직문화 만들기 등을 주제로 치과에 필요한 조직문화 만들기와 직원관리 노하우를 전달할 예정이다. 덴탈브레인 관계자는 “조직문화 변화를 위해 무조건 우수한 사례만 가져다 도입하는 것은 겉모습만 모방할 뿐 단순한 이벤트로 끝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근본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기존 프로그램과의 연계성과 지속성을 유지하면서, 개원의 및 중간관리자가 조직 차원에서 직원들에게 변화의 방향을 이해시키고 교육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면서 “이번 세미나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중심으로 조직문화의 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세미나 신청은 덴탈브레인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등록은 다음달 3일까지다.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치과의사 디지털 커뮤니티 덴트포토가 ‘덴트포토 가이드 vol.5’를 발간했다. ‘덴트포토 가이드 vol.5’에는 2022 덴트포토 어워드 수상자 단정배·최대훈 원장, 2022 샤인학술상 수상자 유기영 원장, 2022 덴트포토 아카데믹 프라이즈 수상자 황성연 원장, 그리고 역대 어워드 수상자인 이학철·임필 원장, 덴트포토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오정렬 원장의 원고가 독자들을 기다리고 있다. 단정배 원장의 ‘골격성 구개 확장에 대한 이해와 인비절라인에서의 응용’, 최대훈·명양호 원장의 ‘고정성 보철 수복 치료를 위한 교합조정’, 임필 원장의 ‘상악 구치부 임플란트 각기 다른 접근’, 유기영 원장의 ‘제 근관치료를 소개합니다’, 이학철 원장의 ‘치주치료 가이드’, 황성연 원장의 ‘치과외래에서 약물처방’에 대한 임상케이스가 실렸다. 또한 문화, 치과의료정보학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어 독자들의 관심을 모은다.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회장 김홍기·이하 치과의료관리학회)가 다음달 12일 한성대학교 낙산관 대강당에서 2023년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너의 미래를 보여줄게-미래사회의 키워드로 본 치과의 차별화 전략’을 대주제로 삼았다. 치과의료관리학회는 국내를 대표하는 인지심리학자, 빅데이터 전문가, 치과 경영전문가를 초청, 치의학과 인문사회학 영역을 융합해 미래 치과의 차별화 전략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국내 대표 인지심리학자인 김경일 교수(아주대 심리학과)가 ‘미래사회의 소통, 피드백과 관계주의가 답이다’를 주제로 첫 강의를 진행한다. 이어 빅데이터 전문가 송길영 부사장(바이브컴퍼니)이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를 통해 미래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른 치과 대응 방법을 모색할 예정이다. 또한 정기춘 원장(일산뉴욕탑치과)이 ‘터프한 개원환경에서 살아남기-Sucessful Dental Management In Tough Times’을 통해 현재 개원환경에서의 치과경영, 환자응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 학술대회 마지막 강연은 ‘의료인을 위한 경영학 수업’의 저자인 이정우 원장(인천시카고치과)이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코웰메디가 다음달 18일 부산치과의사신협에서 ‘디지털 세미나’를 개최한다. ‘구강스캐너&3D프린터 활용, 누구나 간편하게!’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천세영 원장(디지털허브치과)과 박종민 소장(3D민치아덴탈랩)이 연자로 나서 구강스캐너와 3D프린터의 활용법을 소개한다. 연자들은 클라우드를 활용, △보철 △덴처 △가이드 △교정장치 등 출력이 가능한 ‘All In One System’의 특장점 등에 대해 강의하고, 버튼 하나로 누구나 쉽게 라미네이트, 인레이, 덴처 등을 제작할 수 있는 디지털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이다. 참가비는 무료며, 선착순 50명으로 인원이 제한되므로 세미나 참가 희망자는 등록을 서두르는 것이 좋다. 코웰메디 관계자는 “지난 9월 서울에서 열린 1차 디지털 세미나에서 치과 디지털에 대한 참가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이와 같은 호응에 힘입어 더 많은 인원이 세미나에 참여할 수 있도록 부산에서 2차 디지털 세미나를 이어가게 됐다”며 많은 치과의사들의 참여를 당부했다. 세미나 등록 및 자세한 사항은 코웰메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베리콤이 오는 28~29일 양일간 대구 엑스코에서 개최되는 ‘YESDEX 2023’ 치과기자재전시회 부스에서 배진우 원장(W치과) 초청 세미나를 진행한다. YESDEX 둘째 날인 29일 오전 11시에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에서 배진우 원장은 ‘Hybrid Ceramic의 쉬운 접착 수복을 위한 Tip & Trick’을 주제로 ‘MAZIC Duro’와 ‘U-Cem Premium’을 활용한 효율적인 접착 수복 노하우를 아낌없이 공개할 예정이다. ‘MAZIC Duro’는 자연치의 느낌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어 환자의 만족도가 높고, ‘U-Cem Premium’은 조작이 쉽고 잉여시멘트 제거가 용이해 개원의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베리콤 관계자는 “세미나에 참석하는 모든 분들에게 사은품을 제공할 예정”이라면서 “부스 세미나 이외에도 다양한 YESDEX 프로모션을 통한 특별한 현장 혜택을 준비하고 있다”며 많은 치과의사들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세미나 사전등록은 베리콤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지씨코리아가 ‘제56회 임상의를 위한 Advanced Resin Hands On Course’를 진행한다. 이번 핸즈온 코스는 김덕수 교수(경희치대)와 김선영 교수(서울치대)의 명쾌한 강의를 통해 실전 임상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먼저 김덕수 교수는 ‘치과용 접착제에 대한 이해와 종류에 따른 올바른 사용법, 뒤탈 없는 구치부 복합 레진 수복법, 올바른 Glass Ionomer 임상 적용’을 강의한다. 이어 김선영 교수는 ‘전치부 수복 Class Ⅲ, Ⅳ, Ⅴ, Diastema Closure’를 다룰 예정이다. 코스 등록은 선착순 15명으로 제한한다. 참가자에게는 50만원 상당의 제품이 실습재료로 제공된다. 지씨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코스에서는 복합 레진과 상아질 접착제의 올바른 선택과 이용 방법에 관한 최신지견을 소개할 예정”이라며 “임상에서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증례와 함께 제시하고, 실습을 통해 성공적인 수복방법을 숙지함으로써 바로 임상에 적용 가능한 노하우를 익히는 유익한 강연을 마련했다”며 많은 치과의사들의 참여를 당부했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병원경영 전문 컨설팅 기업 인파워병원교육컨설팅(대표 신인순)이 오는 22일 ‘인파워 원장경영스쿨: 성공병원의 차별화된 경영전략 비밀노트’ 세미나를 개최한다. 강남 메가젠임플란트에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는 우리치과 성장을 위한 다양한 주제강연이 마련된다. 먼저 이용권 원장(서울좋은치과)은 ‘새로운 패러다임 수면치과치료’를 연제로 △수면치료의 최신동향 △1차의료기관에서의 수면치과치료를 위한 준비 △수면치과치료 프로세스와 후 관리 등을 다룬다. 이어 박경아 원장(알프스치과)이 ‘성장으로 이끄는 알프스치과 시스템’을 연제로 △알프스치과의 철학 △500% 성장의 비밀 △전악치료의 시작, 알프스틀니 등에 대해 강의한다. 끝으로 김동석 원장(춘천예치과)은 ‘성공병원의 비밀노트’에 대해 다루며, △성공병원을 위한 ‘원장만족’ 경영 △30% 매출 증대를 위한 ‘환자만족’ 경영 △직원 선발과 이직을 줄이는 ‘직원만족’ 경영 등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인파워병원교육컨설팅 관계자는 “병원 성장을 위해서는 우리병원의 강점을 찾아 차별화된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이번 세미나는 세 연자의 강연을 통해 효율적인 경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구강보건협회(회장 박용덕·이하 구보협)가 다음달 4일 서울대치과병원 승산강의실에서 ‘2023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건강은 국민과 함께’를 주제로 8개의 강의가 진행된다. 학술 프로그램은 △더불어 행복해지는 구강보건활동(동남대 안세연 교수) △Caries preventive on children by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in urban areas of Ho Chi Minh City(호치민국립대 Vu Thu Huong 패컬티) △Satisfaction of dental hugienist students after taking lesson about dental radiology(몽골국립의과대학 Rashsuren Oyuntugs 강사)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Program in Laos(라오스 국민보건과학대학 Phommavongsa Nitthasack 패컬티) △한국의 아동치과주치의사업 소개(단국치대 김종빈 교수) △우리에게 요구된 품위란?-윤리교육(구보협 박용덕 회장) 등으로 구성됐다. 학술대회 등록은 다음달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심신치의학회(회장 최용현·이하 심신치의학회)가 지난달 15일부터 17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Indonesia Dental Exhibition & Conference(IDEC) 2023’에 참가했다. 특히 학회 강나라 부회장과 백한승 부회장이 초청연자로 강연을 펼쳐 주목받았다. IDEC는 세계 최대 치과전시회인 IDS의 주최사 쾰른메쎄가 인도네시아치과협회와 함께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에서 순환 개최하고 있다. IDEC 2023는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되는 최대 규모 치의학 산업 전시회로, 18개국 250개 브랜드가 출품하고, 5,000여명이 참가했다. 학술대회의 ‘Psychosomatic Dentistry: Treatment Approach and Research Trends’를 주제로 한 학술 세션에는 5명의 초청연자가 발표에 나섰다. 심신치의학회 강나라 부회장(순천향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은 ‘Psychosoci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Consultation using t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노년치의학회(회장 고석민·이하 노년치의학회)가 다음달 4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노인치과치료 난제-시린이 완전정복’을 주제로 4명의 연자들로부터 각 분야별 노인환자의 시린이 해결책이 공유될 전망이다. 먼저 라성호 원장(서울미소치과)이 ‘고령자의 시린이, 원인에 따른 대응책’을 주제로 첫 번째 강연에 나선다. 이어 김성훈 원장(김성훈치과)이 ‘레진시멘트의 종류와 보철물 접착 후의 민감성’을 강연한다. 또한 양성은 교수(가톡릭의대 서울성모병원)가 ‘시린이와 crack tooth-진단, 치료, 예후는?’을 주제로 강연하고, 이어 권정승 교수(연세치대 구강내과)가 ‘이갈이 및 이악물기에 의한 시린이의 진단과 치료’를 다룬다. 이번 학술대회 참가자는 치과의사 보수교육 2점이 부여되며, 사전등록은 다음달 3일까지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산하 임상회(회장 김선경)가 오는 28일 하반기 보수교육을 개최한다. 이번 하반기 보수교육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최대 150명까지 등록할 수 있다. 강연은 두 가지 주제로 진행된다. 먼저 허경회 교수(서울치대 영상치의학과)는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이 알려주는 것들 Ⅱ’를 주제로 강의한다. 허 교수는 치과에서 가장 기본이면서도, 많은 정보와 진단을 내릴 수 있어 중요한 과정으로 꼽히는 파노라마 영상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이어 김용건 교수(경북대치과병원 치주과)는 ‘치주과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임상적 상황과 해결’을 주제로 치주과의 여러 수술 및 치료 중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과 이에 대처하는 전문적 대응 및 해결 방법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번 교육은 보수교육 4점이 인정되며, 사전등록은 오는 21일까지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이보클라가 오는 29일, 가철성 보철 전문가를 위한 ‘제8회 이보클라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A Big Step Towards Digital Dentistry’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가철성 보철 분야 최고의 연자들과 이보클라의 BPS 인스트럭터로 활발하게 활동 중인 국내외 연자들이 BPS 워크플로우에 따라 주제별 강의를 진행하고, 디지털 치의학의 미래와 방향성에 대해 조명할 예정이다. 심포지엄은 오전과 오후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오전에는 이훈재 원장(이다듬치과)의 ‘Why BPS? How BPS!’ 강연을 시작으로 김현웅 소장(이미지치과기공소)의 ‘The Most Important Patient Information for Perfection’, 전정호 실장(연세치대중앙기공실)의 ‘덴쳐 제작의 시작: 모델분석’, 노관태 교수(경희대치과병원)의 ‘총의치 난증례를 위한 티슈 컨디셔너 인상법’, 이정진 교수(전북대치과병원)의 ‘디지털 시대와 BPS’ 등의 주제강연이 진행된다. 오후 세션에서는 장일환 소장(JD치과기공소)이 ‘젊어 보이는 치아배열과 페스투닝 : Tips & Tricks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단국대학교치과대학(학장 김종수)이 주최하고 단국대학교치과대학동창회(회장 홍준석)가 후원하는 ‘2023년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종합학술대회’가 오는 29일 개최된다. 서울 학여울역 SETEC에서 펼쳐질 이번 학술대회는 학술대회 개최 소식이 알려짐과 동시에 등록이 쇄도하고 있다. 이제는 단국치대 동문만의 축제가 아니라 치과계 전체가 즐기는 종합학술대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번 학술대회의 대주제는 ‘Painless, Stressless & Happiness’.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온라인 학술대회로 전환해 성공적으로 이어왔고, 오랜만에 대면으로 찾아가는 학술대회에도 치과계의 관심이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현시점 개원가의 관심과 요구를 반영한 연제로 인기 연자들이 대거 참여한다는 점에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안 아픈 전치부 부분교정(박철완 원장·보스턴완치과) △스크루 미케닉스로 풀어보는 임플란트 보철의 문제(김종엽 원장·보스톤스마트치과) △Screw hole free Detachable Prostheses(허영구 원장·닥터허치과) △시멘트와 나사가 필요없는 YK Link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치과위생학회(회장 김민정·이하 치과위생학회)가 다음달 12일 온라인 실시간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 ‘치과 디지털화의 미래와 치과 법치의학 이야기’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세미나에는 박지만 교수(서울대치과병원)와 이상섭 교수(가톨릭의대)가 강연을 펼친다. 먼저 박지만 교수는 ‘치과 디지털화의 미래 어디까지 상상 가능한가?’를 주제로 구강스캐너를 포함한 다양한 스캔 장비와 캐드 S/W, 가공 장비 등의 역사와 최신 트랜드 등을 소개하고, 향후 치과계의 디지털 방향을 제시한다. 이어 이상섭 교수는 ‘A Brief Introduction to Forensic Odontology for Dental Hygienists’를 주제로 법치의학의 정의와 분야, 법치의학의 영역 등을 소개하고 법치의학 실무와 그와 관련된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치과위생학회 관계자는 “이번 교육을 통해 치과위생사의 전문적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