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심리학이야기

명의(名醫), 신의(神醫), 심의(心醫)

URL복사

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이야기 (105)

유명하여 이름이 널리 알려진 의사를 ‘명의’라 한다. 신이 내린 실력을 지닌 의사를 ‘신의’라 한다. 우리나라 최고의 명의는 허준이며, 중국 최고의 명의에는 화타와 편작이 있었다. 그들은 ‘신의’의 경지를 넘어 마음으로 치료하는 의사 최고의 경지인 ‘심의(心醫)’이신 분들이었다. 환자를 치료하느라 과거 시험을 못 본 허준의 일화는 유명하다. 의성 화타에게는 어느 부잣집 하인이 왕진을 부탁한 일화가 있다. 주인이 감기 정도로 부른 것인데 화타가 직접 왕진을 하였다. 이에 굳이 직접 가지 않아도 되는데 왕진하는 것에 제자가 돈 때문인가 하고 묻자, 화타는 본인이 가지 않으면 하인이 추궁당할 것을 염려하여 간다는 말을 하였다. 그렇듯 마음의 의사였고 삼국지의 조조가 주치의로 지속적으로 군영에 머무를 것을 명령하자 자신을 필요로 하는 백성을 치료하러 가야한다며 명령을 거부하여 사형을 당하였다. 그리고 의사는 환자 앞에 있어야 한다는 말을 남겼다. 의료인의 마음의 자세를 말한 것이다. 의사의 경지가 아닌 성인의 반열에 이르신 분이라 하여 ‘의성(醫聖)’이라 하였다. ‘신의’ 편작은 병이 시작하기 전에 미리 질환을 다루는 것이 최고의 의사라 하였다.

 

그런 편작도 6가지의 불치병을 이야기하였다. 첫째, 환자가 교만하고 방자하여 의사의 치료에 어긋나는 주장을 하는 사람은 고칠 수 없다(驕恣不論於理 一不治也). 내 병은 내가 안다고 하면서 의사의 진료와 충고를 따르지 않는 교만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둘째, 자신의 몸을 가벼이 여기고 돈과 재물을 더욱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은 병을 고칠 수 없다(輕身重財 二不治也). 돈과 명예를 중시하여 몸을 가벼이 여기는 현대인들에 대한 경종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옷과 음식이 적절함을 벗어나는 것 또한 불치병이다(衣食不能適 三不治也). 몸매를 위해 다이어트하고 유행에 따라 계절에 벗어난 옷을 입는 요즘의 세태이다. 넷째, 음양의 평형이 깨져 오장의 기가 안정되지 않은 경우다(陰陽幷 藏氣不定 四不治也). 다섯째, 몸이 극도로 쇠약해져 도저히 약을 받아들일 수 없는 상태다(形羸不能服藥 五不治也). 여섯째, 무당의 말만 믿고 의사를 믿지 못하는 환자다(信巫不信醫 六不治也). 즉, 한마디로 환자가 의사를 믿지 않으면 고칠 수 없다는 말을 한 것이다. 요즘 매스컴은 치료에 임하는 의사들이 헌신적이지 않다는 내용을 강조하면서 환자의 역할은 이야기 하지 않는다. 아마도 의사와 환자의 관계를 갑을관계로 생각하기 때문일 게다. 원래 환자와 의사의 관계는 질병이라는 공통의 적을 무리치기 위한 동반과 협력의 관계이어야 한다. 아니 의사가 환자를 돕는 관계이어야 치료에 효과가 좋다. 그런데 그것이 거래관계로 변질되며 의사의 위치가 장사꾼으로 변하게 되었다. 이런 상황이 더욱 더 의사다운 의사의 모습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요즘 의사들의 이야기가 연일 매스컴에 등장한다. ‘명의’라는 다큐멘터리가 있고, ‘닥터진’, ‘골드타임’ 등 드라마가 인기이고, ‘신의’라는 드라마도 방영을 시작했다. 더불어 뉴스에는 어느 산부인과 의사의 이해하기 어려운 행동으로 환자의 사망이 의료사고인지 살인인지를 가리기 위한 내용이 계속해서 방송된다. 그리고 현실성을 무시한 응급의료법이 시행됨에 따라 혼란을 겪고 있는 응급실이야기들이 다뤄지고 있다. 사회의 관심이 의사에게 집중되는 듯한 느낌이다. 의료인의 한 사람으로 그리 반가운 일은 아니다. 이야기들이 대부분 현실과 동떨어진 슈바이처와 같은 이야기로 끝나기 때문이다. 물론 시대가 너무 삭막하기에 헌신적으로 봉사하며 정이 흐르는 마음이 간절하여 메시아를 기다리는 심정으로 허준과 같은 명의를 기다리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제 시대는 ‘명의’를 넘어 ‘신의’를 요구하는 시대이건만 의료계의 현실은 점점 어려워만 간다. 그래서 세상과 의료인과의 거리도 점점 멀어져만 간다. 의료인에게도 메시아가 진정 필요한 때이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같은 시간에 다른 시대를 살고 있다
외국에서 근무하는 딸이 오랜만에 집에 와 모처럼 대화가 이어졌다. 딸과는 따로 지낸지 오래다 보니 늘 공통의 화제가 적었고 생각의 차이도 컸다. 모처럼 가족이 모두 모인 식탁에서 최근 유행한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좋은 대화 소재가 되었다. 드라마의 인상적인 장면이 가족 모두 달랐다. 덕분에 각자의 생각이 다름을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딸은 서울서 상처받고 제주 집에 돌아온 금명을 가족이 돌봐주는 장면을 말하였고, 필자는 관식이가 병원에서 마취에서 깨어나며 자신이 돌을 쌓으러 가지 않았어야 한다고 혼잣말을 하는 장면이 가장 생각난다고 했다. 딸은 외국생활을 하다가 집에 돌아왔을 때 자신의 모습을 금명을 통해서 본 듯했다. 필자는 아버지 관식이의 삶에 대한 생각을 말했다. 관식은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에 막내아들 동명을 잃는 최악의 불행을 맞았다. 게다가 자신이 바다에 돌을 쌓으러 나가지 않았으면 죽지 않을 수도 있었다. 가장 행복한 순간에 가족에게 가장 큰 불행을 경험하게 되면, 삶에서 행복지수가 올라가는 순간이 오면 불안지수도 같이 올라가게 된다. 행복할수록 더 불안해지는 아이러니한 마음상태가 된다. 관식이 마음의 반은 평생 자신의 잘못으로 막

재테크

더보기

2025년 2분기 미국 주식 자산배분 전략

미국 증시가 최근 급격한 변동성을 보이면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25년 3월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본격화하면서 시장에 정책적 불확실성을 커졌기 때문이다. 이번 칼럼에서는 현 시점의 패시브 자산배분 전략을 중심으로 미국 주식 투자자들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에 따르면, 현재 미국 증시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에서 B ~ C 구간 후반부에 위치한 상황으로 분석된다. 현재 구간은 경제위기(C)로 접어들기 직전 단계로 볼 수 있지만, 최근의 급락이 본격적인 경제위기보다 일시적인 조정으로 판단되는 이유는 연준의 정책 방향성과 달러인덱스 및 미국채 금리 흐름 때문이다. 아직 연준의 긴급 금리 인하나 대규모 완화 정책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하락은 경기침체 없는 단기적 주가 조정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자산배분 전략을 수립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마켓 타이밍을 맞추기보다 장기적인 방향성과 자산의 사이클 순환을 고려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난 금리고점(A)인 2023년 8월 이후로 미국 주식의 비중을 줄이고 금과 달러 현금 비중을 늘리는 전략을 소개했고, 이를 통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