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협이 지난 9일 UD대표인 김종훈 원장을 형사고소했다. 허위사실을 적시해 고소인들의 명예를 중대하게 훼손했다고 판단한 것이다. 치협의 불법의료신고센터에 따르면 UD네트워크 중 확인 가능한 지점들을 조사한 결과 7월의 매출이 직전월보다 30% 이상 급감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 중 하나의 지점은 개설원장을 구하지 못하여 지난 8일 이후 문을 닫고 있다고 한다. 이달 중 수도권 3개 지점 등 여러 지점이 추가로 영업을 중단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는 말도 덧붙였다.
또, 치협 소식통에 의하면 치협이 수개월간 미디어에 공을 들인 결과가 오는 16일 PD수첩에 나온다고 한다. 치협과 불법네트워크 간의 갈등을 마치 치과계의 밥그릇 싸움이라고 본 과거 다른 프로그램들의 시각과 얼마나 다를지 사뭇 기대된다. 이런 가운데 UD치과와 소송과 고발을 주고받던 치개협은 숨고르기(?)에 들어갔다는 소식이다.
3개월 전 불법네트워크 척결을 캐치프레이즈로 회무를 시작한 김세영 집행부는 정견발표 때 ‘감옥 갈 각오로’ 이 공약사업에 매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었다. 그러나 지난 3개월간의 행적은 권투로 말한다면 UD치과가 날리는 잽들을 가드도 제대로 안 하고 맞아주는 꼴이었다.
지금까지의 점수로만 말한다면 판정패다. 반면 치개협은 불법네트워크에 근무하는 치과의사들의 신상을 공개하고, UD치과가 발송한 유인물을 공정거래위원회에 보내 ‘경고’ 조치를 받아내는 등 일반 개원의의 눈에는 펀치든 잽이든 어퍼컷이든 닥치는 대로 날리는 열성적인 인상을 주었다.
물론 그동안 치협은 많은 자료를 모았고, 많은 동조자를 얻었으며, 치과계의 단결을 이끌고, 불법네트워크에서 진료하는 치과의사들을 나오게 하는 등 나름대로 많은 일을 하였지만, 외부에 알려진 것은 치의신보를 통해 기획취재기사를 내보낸 것 정도다.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다. 그리고 할 수 있는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도 있다. 그러나 긴급한 상황에서는 순서를 바꿀 수도 있고, 대의를 위해서라면 약간의 손실도 감수해야 한다. 서울지부가 불법네트워크 근절 성금으로 1억 원을 선집행하기로 한 것은 긴급한 상황에 대의를 위한 선택일 것이다. 많은 개원의는 지난 1~2년 사이 급감한 치과수입으로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치협은 불법네트워크들로 인한 문제점과 또 그들로 인한 개원의들과 치과계 전체의 고통을 누구보다도 정확하게, 그것도 많이 알고 있다. 치과계는 불법네트워크라는 공동의 적 앞에 과거 어느 때 보다도 잘 단결되어 있으며, 전국의 시도지부도 역대 어느 때 보다 더 적극적인 협조를 치협에 보내고 있다.
지금이야말로 치협에는 투우사가 소의 급소를 찌르는 순간, 피하려 해도 피할 수 없는 순간, 실패가 허용되지 않은 매우 중요한 순간, 진실의 순간, Moments of Truth이다. 회원들은 무한정 기다려 주지 않는다. 다음은 없다. 치협은 이제 최대한의 자원과 정보를 동원하여 최후의 펀치를 날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