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일간지가 개원비용은 높아지고 극심한 경쟁으로 경영난에 시달리는 일부 극소수 치과의사들이 불법 사채에까지 손을 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광주에서 개원하고 있는 A원장은 지난해 11월 사채업자 B씨로부터 2,000여만원을 빌렸다. A원장은 연 240%에 달하는 이자를 감당해야 했지만 치과를 개업하며 제1금융권의 대출 한도를 거의 다 채워 울며 겨자 먹기로 사채를 쓸 수밖에 없었다. A원장은 개업 후 경영난에 시달렸고 또다시 돈을 빌려 앞서 대출한 원금과 이자를 갚아 나가기 급급한 상황을 반복해야 했다.
A원장은 3개월여간 1,000만원이 넘는 이자를 감당하다가 견디지 못하고 지난달 B씨를 경찰에 고소했다. 이달 초 B씨는 대부업법 위반 혐의로 입건, 검찰로 송치됐다.
치과 폐업도 쉽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수도권에서 개원중인 C원장은 치과를 부동산 중개업소에 매물로 내놨다. 개업한 지 5년이 지났지만 ‘반값 임플란트’를 내세운 일부 대형 네트워크의 출혈 공세에 속수무책이었다.
C원장은 “아파트 단지가 늘어날 때 권리금으로 수억원까지 얹어주며 개원했지만 아파트보다 경쟁 치과가 더 많이 늘어난 것 같다”며 “권리금을 일부 조정해서 내놨지만 방문해서 둘러보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고 한숨을 쉬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개한 ‘2010∼2012년 전국 시도별 요양기관 개폐업 현황’에 따르면 지난 3년간 3,444개의 치과의원이 개업하고 2,321곳이 영업을 중단, 하루 평균 2곳이 문을 닫고 있다.
김희수 기자 G@s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