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어딜 기웃거려도 별 재미가 없다. 그냥 나이 탓이거나 아니면 더 핫(HOT)해지는 화끈한 세대의 흐름에 뒤처져 정신 줄을 놓아버린 탓일 수 있다. 소위 전문직이라는 타이틀은 이미 과잉이라는 단어에 치여 서비스와 눈칫밥에 길들여진지 오래고 게다가 자부심을 갖지도 못하게 하는 우리의 현실은 내심 사회적으로 씹어줘야 할 대상이 되기 십상인 처지가 되었다. 존재가 소유보다 앞서야 한다는 배고픈 소크라테스의 고백을 하는 이는 루저의 길을 걸어야 하는 시대다. 무엇보다 자본의 힘이 절대 권력을 지니는 우리의 역사는 점점 그 푸르름을 더해만 간다. 단지 지금이 최선이고 미래는 생각할 필요 없다는 시대의 결정 역시 불확실한 미래 탓인지 아니면 절박한 현실에 감염된 증상인지 점점 사람들을 사파리 같은 세상으로 몰아가고 있다. 그래서 기다렸던 봄처럼 무엇이 오기는 오는 것 같은데 그리 달갑지 않은 미래가 손을 벌리고 이 사회를 노리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장자 내편 16편에는 사당에 있는 엄청난 크기의 상수리나무를 보고 제자가 칭찬하는 말이 나온다. 그러자 장자는 일부러 그 나무를 일컬어 아직까지 아무짝에도 쓸모없었기 때문에 베어지지 않았다고 그 무용(無用)함의 조건을 나열한다. 그러자 그 나무는 장자의 꿈에 나타나 짜증을 내며 자신이 쓸모없다는 것이 단지 과실 맺는 나무와 비교해서 그런 것이냐고 반문하며 변명을 늘어놓는다. 도리어 과실 맺는 나무와 식용 작물들은 꺾이고 뽑히는 괴로움을 당한다고 한다. 그러면서 ‘此以其能 苦其生者也-이는 과실 맺는 재주로 인한 괴로움이다’는 표현을 하는데 간혹 이 말의 일부를 인용해서 능력 많은 사람이 고생이 심하다고 빗대기도 한다. 나아가 장자에게 ‘너도 똑같이 하찮은데 뭐 나를 구박하느냐? 게다가 너는 나보다 빨리 죽을 텐데 나의 무용(無用)함을 네가 어찌 알겠는가?’ 라고 자신을 옹호하며 장자를 공격한다. 그런데 꿈을 깬 뒤 이를 말하자 제자는 ‘아니 그러면 그렇게 쓸모없는 상수리나무가 왜 사당나무죠?’ 라고 묻는다. 장자는 ‘실은 내가 무용(無用)하다고 한 상수리나무는 사당에 있어서 그 힘으로 장수하면서도 스스로 겸손한 척 버티는 것이다. 이런 이중성을 가진 나무를 사람들이 사당나무로 또한 신성시하는 것도 어리석은 것이다.' 라고 말한다. 권세를 의지하고 살면서도 겸손하고 낮은 척 하며 가늘고 길게 사는 무리의 정곡을 찌르고 또한 그런 간교함을 모르고 존경을 보내는 백성들의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글이다. 그리고 우스갯소리처럼 말하는 이능고생(以能苦生)은 실은 간사한 상수리나무의 궤변일 뿐이다.
죽음보다 무서운 공포가 있다면 버려짐 일 것이다. 우리는 정직한 진료를 진리로 배웠고 그 구현의 현실을 위해 밤낮없이 공부하고 달려온 세월이 그대로 흔적이 되었다. 그럼에도 대부분 개원의 현실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나락으로 추락했고 또 추락 중이다. 이 사회의 냉대와 숙덕거림은 우리 치과계를 소외되어도 무방할 소수 지식인정도로 생각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결국, 우리가 지어놓은 집은 이미 그 어느 양동이로도 새는 빗물을 받아낼 수 없는 처지에 이르렀고 이젠 새로 지붕을 올리든지 아니면 집을 새로 지어야 할 판이다. 그 어느 영험한 지도자도 이 찌들고 꼬이고 뒤틀린 매듭을 과연 풀 수 있을지 묻고 싶다. 그래서 우리에게는 새로운 시각으로 선택하고 밀어야 할 우리 치과계의 수장이 과연 어떤 철학으로 우리 치과계를 바라보고 있는가가 중요한 선택이 되어야 할 것이다. 대다수 회원은 무관심 그 이상의 절망으로 치과계의 리더들을 보고 있다. 선택하기 위해서는 집중해야 하는데 우리 회원이 아예 길을 잃은 것은 아닌지 되짚어야 한다. 이제 우리 치과호(齒科號)의 선장을 뽑지 않으면 안 되는 날이 필연적으로 코앞에 다가왔다. 부디 많은 회원이 절망스러운 미래 때문에 길을 잃지 않고 바른 선택을 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