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상거래는 보편화를 넘어 이제는 없어서는 안되는 새로운 유통구조로 자리잡았다. 취급되는 품목도 식품에서부터 생활용품, 옷 등 없는 것이 없다. 그럼에도 오프라인 매장이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는 소비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구매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옷 매장인데, 소비자들은 매장을 찾아 마음에 드는 옷을 직접 입어보고 구매를 결정한다. 이런 개념을 도입한 심미보철 시스템이 국내에 처음으로 론칭,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트윈스마일코리아(대표 채새웅)는 지난달 29일 서울 강남에서 트윈스마일 랩을 공식 오픈하고, 국내시장에 본격적인 심미치료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날 오픈식에는 독일 트윈스마일 본사 관계자와 트윈스마일코리아 채새웅 대표, 그리고 트윈스마일 시스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치과의사들이 참석했다. 지금까지 치과에서는 라미네이트와 같은 심미보철 치료 시 환자들의 시술 동의율을 끌어내기 위해 포토샵과 같은 프로그램을 활용, 치료 후의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전부였다면, 트윈스마일은 테스트니어라고 명명된 보철물을 환자가 직접 착용하고, 변화된 모습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매우 독특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리뉴메디칼(대표 김성호)이 광중합형 치과용 임시충전재 ‘원스필(제조원 : 메디클러스)’을 출시했다. 현재 임플란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타입은 스크루형이라 할 수 있다. 식립 후 관리하기가 편리하기 때문인데, 스크루형 임플란트에도 환자의 저작습관으로 인한 스크루 풀림 현상과 이물질 침투에 의한 악취 등의 단점이 존재한다. 리뉴메디칼에 따르면 ‘원스필’은 스크루형 임플란트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임시충전재다. 우선 탁월한 흐름성으로 깊은 치아 와동까지 적용할 수 있고, 우수한 탄성력과 강도로 효과적인 마진부의 실링을 기대할 수 있다. 덕분에 저작습관으로 인한 스크루 풀림 현상과 이물질의 와동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임시충전재는 보철물 장착까지 임시적으로 치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만큼, 차후 제거에 있어 부스러기가 남지 않아야 한다. 리뉴메디칼 관계자는 “깨지는 성질의 임시충전재의 경우 제거 시 부스러기가 남기 마련이다. 하지만 ‘원스필’은 찢어지는 성격을 가지고 있어 부스러기 없이 손쉬운 제거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스크루 풀림 현상 방지 △이물질에 의한 악취 제거 △손쉬운 제거 등 세 가지 장점을 모두 가지고
캐드캠을 보유하고 있는 치과기공소가 늘어나면서 지르코니아와 티타늄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타입 커스텀 어버트먼트 제작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오스템임플란트(회장 최규옥·이하 오스템)가 Ti-Base 기반의 커스텀 어버트먼트 ‘TS Link Abutment’를 출시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오스템 관계자는 “캐드캠 장비 덕분에 많은 치과기공소가 지르코니아 보디는 직접 제작하고 Ti-Base만 공급받길 원하고 있다”며 “이번 ‘TS Link Abutment’의 출시로 보다 심미성이 뛰어난 전치부와 소구치부 임플란트 보철을 제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TS Link Abutment’는 TS 픽스처에 꼭 맞는 구조로 돼 있어,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캐드 소프트웨어인 3Shape, ExoCAD에 맞는 공식 라이브러리를 제공해 Ti-Base와 지르코니아 보디의 적합도를 향상시켰다. 오스템 관계자는 “공식 라이브러리를 통해 어버트먼트와 상부 보철물과의 오차율을 최소화했으며, 이를 통해 제작시간까지 단축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는 장비에 맞게 선택·사용할 수 있는
좋은보코(대표 이원우)가 교합에서부터 악안면 근육의 움직임, 턱관절의 이상유무까지 한 번에 진단할 수 있는 ‘BioPAK 시스템’을 출시했다. 좋은보코에 따르면 출시되자마자 연세치대 보철과에 도입돼 이미 진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연세치대 외에도 몇몇 치과대학병원이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BioPAK 시스템’은 △T-Scan △BioEMG △BioJVA △JT-3D 등으로 구성된다. 이미 국내에 많이 소개된 교합 진단 시스템 T-Scan을 필두로, 악안면 근육과 턱관절의 움직임을 데이터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합, 치료 계획 수립에서부터 치료 후의 임상결과 평가에 이르기까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먼저 BioEMG는 악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전기적 신호로 측정할 수 있는 장비로, 하악이 운동을 시작할 때나 운동을 하지 않을 때 어느 근육이 불필요한 움직임을 보이는 지 체크할 수 있다. 턱관절의 소리를 감지 및 분석해 파장 형태로 데이터화하는 BioJVA는 저작 운동으로 전달되는 소리를 통해 TMJ 증상을 간단하고 빠르고 진단할 수 있는 장비다. JT-3D는 하악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측정해 3D 모델로 스캔할 수 있는 장비로, 특수 자석을 부
오스템임플란트(회장 최규옥·이하 오스템)가 탁월한 미백효과를 자랑하는 미백제 ‘BeauTis 15’를 최근 출시했다. 오스템에 따르면 ‘BeauTis 15’는 1시간 시술로 뛰어난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오스템 관계자는 “‘BeauTis 15’는 15% 농도의 과산화수소가 함유된 미백제”라며 “특수 활성제가 첨가돼 동일한 농도의 과산화수소를 가진 다른 미백제보다 빠른 시간 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식약처의 정식 허가를 받은 제품으로, 무허가 미백제 유통으로 인한 부작용과 환자들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안전한 미백제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시린 증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미백 시술 중 시린 증상을 완화시켜 주는 지각과민 방지제가 함유돼, 타 제품 대비 시린 증상을 30% 가량 완화시켰다는 게 오스템 측의 설명이다. 함께 출시된 ‘BeauTis whitening System’과 함께 사용할 경우 효과는 더욱 극대화된다. 오스템 관계자는 “‘BeauTis 15’는 단품으로도 구매가 가능하지만, 광조사기 ‘BeauTis Light’ 그리고 ‘BTS kit’로 구성된 ‘BeauTis whitening
(주)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김인호, 이하 네오)이 지난 2012년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기구인 ‘i-brush’ 출시에 이어 최근 업그레이드 제품 ‘i-brush2’를 선보여 관심을 모으고 있다. i-brush는 Peri implantitis를 처치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제품으로 출시부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i-brush는 임플란트 픽스처 표면의 염증을 직접 제거해 임플란트 표면을 새로운 Rough Surface로 만들어 GBR 후 Osseointegration이 될 수 있도록 했다. 팁 부분이 Brush 형태로 되어 있고 1회용으로 교차 감염도 예방하는 제품이다. 네오는 i-Brush2를 통해 기존 제품의 단점을 개선했다. 기존 i-brush가 Brush 형태라면 i-brush2는 L자 형태로 변경된 것. i-Brush2의 주요 특징은 기존 i-brush 보다 내구성이 높아 여러 개의 임플란트를 클렌징해도 마모가 적고, 팁 모양이 임플란트 thread에 잘 맞고 날카롭게 디자인돼 있어 임플란트 사이의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팁 모양이 thread 표면에 접촉해 클렌징할 수 있고, 팁 끝이 가늘어 Non surgery 방법으로
오스템임플란트(회장 최규옥·이하 오스템)가 판매하는 ‘SONICflex(제조사: KaVo)’가 통증 적은 스케일러로 호평을 받고 있다. 일반 초음파 스케일러가 24KHz의 고주파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압축공기를 동력으로 하는 ‘SONICflex’는 6KHz의 저주파 상태로 팁이 진동하기 때문에 환자가 체감하는 통증과 소음이 매우 적다. 오스템 관계자는 “팁 측면으로 스케일링이 가능해 치석제거 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시술 후 시린 증상도 적다”며 “저주파에 맞는 팁 설계로 shank가 길고 가늘어 구치부 접근이 용이하다”고 말했다. 또한 3단계로 파워 조절이 가능하고, 진동크기가 다양해 환자 상태에 따라 진료가 가능하다. 사용 편의성이 높은 것도 장점이다. 2만5,000 Lux의 밝기 덕분에 구치부 스케일링, 정밀 프렙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선명한 시야확보가 가능하고, KaVo사 고유의 플라즈마텍 코팅을 적용해 부식 등의 변질 우려 없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SONICflex’는 스케일링팁 4종을 비롯해 48종의 팁을 추가로 제공, 스케일링뿐 아니라 △치주치료 △근관치료 △보철치료 △임플란트 수술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KaVo 핸드
치과용 골이식재를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있는 리뉴메디칼(대표 김성호)이 ‘OrthoBlast Ⅱ’의 국내총판계약을 마무리 짓고 본격적인 판매에 나섰다. 미국 INTEGRA사에서 제조한 ‘OrthoBlast Ⅱ’는 10년 동안의 임상경험으로 안정성을 확보한 겔 타입의 골이식재로, 자체정착성으로 인해 적용 이후에도 수용부와 지속적인 접착력을 유지시켜준다. 특히 사이너스 시술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상온에서는 부드럽지만, 온도가 높은 인체에 이식되는 순간 골이 단단해져 우수한 골이식 형태가 유지된다. 또한 ‘OrthoBlast Ⅱ’는 면역 거부 반응 없는 골 형상 단백질 BMP의 뛰어난 골형성을 유도하고, 기존 동종골 이식재 보다 빠른 골형성 능력과 탁월한 골재생 효과를 자랑한다. 실제로 INTEGRA의 자체 연구결과, △골이식 없이 8주 경과 △골이식 후 8주 △골이식 후 16주의 임상결과를 비교할 때 뛰어난 골유착을 나타냈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리뉴메디칼은 이번 ‘OrthoBlast Ⅱ’의 국내총판계약 체결로 보다 다양한 제품을 유저들에게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리뉴메디칼 관계자는 “‘OrthoBlast Ⅱ’의 국내총판계약 체결로 △Alloma
신덴탈(대표 신봉희)이 광중합형 글라스 화이버 ‘Quartz Splint’를 출시했다. Quartz Splint는 가는 글라스 화이버로 광중합 레진이 글라스 화이버에 첨가돼 있는 제품이다. 동요치 고정이나 교정치료 후 치아 이동을 방지하는 리테이너, 임시치관의 보강재, 틀니의 수리 및 보강 등 용도로 사용된다. Quartz Splint는 △Pre-impregnated glass fiber △치아의 만곡도에 따라 손쉽게 압착할 수 있는 유연성 △가볍고 단단한 소재 △우수한 굴곡강도(631MPa)와 탄성계수(24GPa) 등의 특장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미국의 임상 평가기관인 CR REPORT(2015년)에 따르면 21명의 평가위원 중 86%가 사용하기 쉽고, 유용한 재료로 평가했다고 보고됐다. Quartz Splint는 용도별 다양한 제품을 구성하고 있다. 먼저 ‘Quartz splint Woven’은 동요치 고정 및 교정치료 후 유지용 리테이너로 활용된다. Quartz splint UD는 임시치관의 보강 용도로, 손상된 의치의 수리 및 보강에는 Quartz splint Mesh를 적용하면 된다. ◇문의 : 02)757-6901 신종학 기자 sjh@sda
지르코니아 풀 크라운의 등장과 캐드캠의 사용이 늘면서 보철물 제작의 기본이 되는 교합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뛰어난 정확도를 자랑하는 교합기 ‘Kavo Protar Evo Articulator’가 화제다. 오스템임플란트(회장 최규옥·이하 오스템)가 판매하고 있는 ‘Kavo Protar Evo Articulator’는 중앙에만 접촉하는 Mounting Plate로 교합고경의 변화 없이 정밀한 교합 작업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오스템 관계자는 “Mounting Plate와 석고 사이 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다른 교합기와 달리, ‘Kavo Protar Evo Articulator’는 중앙 부분에 있는 강한 자력 덕분에 이물질 유입을 원천 차단, 교합고경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한 Inox Steel로 제작된 Centric latch가 교합기 중앙을 강하게 잡아줘 중심교합위를 정확히 재현한다. ‘Kavo Protar Evo Articulator’의 라인업인 Protar Evo2부터 Protar Evo9까지 모든 교합기의 하부 모델이 동일하기 때문에 치과기공소나 치과에서 상부 교체만으로 다양한 모델을 사용할 수 있
오스템임플란트(회장 최규옥·이하 오스템)가 판매하고 있는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 ‘Variolink N LC+1(제조사: 이보클라비바덴트)’이 뛰어난 심미성과 접착력을 앞세워 인기몰이 중이다. 최근 심미적인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러운 치료가 가능한 라미네이트가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합착 시 사용하는 시멘트로 인해 변색이나 파절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치료 시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Variolink N LC+1’은 라미네이트 전용 시멘트로, 무색 투명한 쉐이드를 통해 수복물에 최적의 심미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오스템 관계자는 “변색을 일으키는 BPO, Amine 성분이 없어 수복물에 변색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색조의 안정성은 물론이고 심미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접착력이 뛰어난 것도 장점이다. 피막이 두꺼우면 수복물이 들뜨기 마련인데, ‘Variolink N LC+1’은 피막이 2㎜로 매우 낮아 높은 본딩력을 제공한다. 또한 ‘Variolink N LC+1’은 이보클라비바덴트의 Tetric N Bond나 Syntac과 같은 토탈 에칭 본딩제뿐 아니라, 치과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른 토탈 에칭 본딩제와도 호환 가
리뉴메디칼(대표 김성호)이 GBR 시술에 최적화된 수술 키트 ‘SD-GBR-COMFIX(제조사 : 써지덴트)’를 출시했다. GBR 수술 시에는 골이식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고, 만들어진 공간이 틀어지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작업이 동반된다. 문제는 이와 관련된 수술 키트가 거의 외산이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개원가에서는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외산 제품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이번에 리뉴메디칼이 출시한 ‘SD-GBR-COMFIX’는 써지덴트에서 제조한 국산제품으로 외산의 1/3에 해당하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된다. 품질 또한 외산에 비해 절대 떨어지지 않는다는 게 리뉴메디칼 관계자의 설명이다. ‘SD-GBR-COMFIX’는 SD-SCR EW(티타늄스크루)와 SD-MESH-TACK으로 구성된다. 먼저 SD-MESH-TACK은 골이식재와 멤브레인이 쉽게 탈락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처해진 환경에 따라 메시를 절단해 사용하는데, 기존 제품의 경우 절단면이 매우 날카로워 수술부위에 2차 상처를 내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SD-MESH-TACK의 경우 절단면이 매우 부드러워 날카로운 절단면으로 인한 2차 상처를 방지할 수 있다. 해당 기
지난 41년간 의료용 멸균기만을 고집해온 한신메디칼(대표 김정열)이 최근 자외선소독기 ‘HU’를 출시했다. 자외선소독기 ‘HU’의 강점은 단연 살균력이다. 한신메디칼에 따르면 ‘HU’는 253.7nm 파장의 자외선 살균등과 120℃의 건열을 동시에 사용, 모든 균에 대한 우수한 살균력을 자랑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제어방식으로 전 사이클이 자동으로 진행되며, 사이클 진행 중 쳄버 내부온도, 예상 잔여시간 등 멸균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자동 온도조절 기능과 시간설정 기능, 그리고 상황에 맞게 선택이 가능한 네 가지 소독방식 등 유저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기능이 탑재됐다. 특히 동작 중 문제가 발생하면 경보음이 울리는 자기진단기능을 탑재, 피소독물의 안전한 소독을 위한 첨단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한신메디칼 관계자는 “‘HU’의 출시는 자외선소독기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의료기관의 규모 등 유저의 개별환경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도록 32리터, 53리터, 107리터의 세 가지 라인업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의 : 032-500-8846 전영선 기자 ys@sda.or.
바이오세텍이 교정용 미니임플란트 종주국의 자존심을 건 신제품 ‘Bio-Tack™’을 출시했다.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는 우리나라에서 개발돼, 지금은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치료방법이다. 실제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는 국산 제품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부분이 있어 개선의 여지가 필요한 실정이다. 바이오세텍이 개발한 ‘Bio-Tack™’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2년간의 공동연구 끝에 완성한 제품이다. ‘Bio-Tack™’은 기존에 문제로 지적됐던 단점을 대부분 해소했다는 게 바이오세텍 측의 설명이다. 먼저 ‘Bio-Tack™’의 특징은 높은 파절저항성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의 공동연구로 △잇몸 식립토크 △고정력 △탈락 부위 △Loading Force의 방향 △weak point △식립 저항성 등에 대한 수많은 테스트와 시뮬레이션으로 최적의 보디 디자인을 구현했다. 그 결과 식립 토크를 적절히 감소시켜 안정적인 초기 식립이 가능하게 하고, 식립 후에는 고정력을 극대화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교정치료가 가능하게 됐다. 초기 식립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sharp strong apex self dr
오스템임플란트(회장 최규옥·이하 오스템)가 덴탈 CT ‘X1’을 필두로 치과 이미징 시장에 뛰어들었다. ‘X1’은 덴탈 CT의 골드 스탠다드로 알려진 Varian과 동일한 센서를 사용,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한다. 또한 금속물 제거 기능을 탑재해 진단을 방해하는 보철물 등을 제거하고 노이즈 없이 깨끗한 영상을 구현해 주는 것이 특징이다. 오스템 관계자는 “‘X1’은 무엇보다 Multi-FoV를 채택해 개원의들이 가장 선호하는 8×8 ~ 16×10 사이즈의 영상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또한 15×9와 같은 대형 사이즈 등 원하는 크기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편리한 진단이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오스템에서 자체 개발한 ‘OneClinic3D 프로그램’을 탑재해 CT에서 촬영한 데이터를 통해 사전에 시뮬레이션하고 편리하게 진단할 수 있다. 특히 ‘임플란트 식립 프로그램’을 통해 식립 오차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오스템 관계자는 “‘X1’을 필두로 영상장비의 기본 세팅 품목인 스탠다드 엑스레이, 포터블 엑스레이, 구강카메라 등을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라며 “이번 CT시장 진출로 임플란트부터